KR200157253Y1 -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 - Google Patents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253Y1
KR200157253Y1 KR2019970018532U KR19970018532U KR200157253Y1 KR 200157253 Y1 KR200157253 Y1 KR 200157253Y1 KR 2019970018532 U KR2019970018532 U KR 2019970018532U KR 19970018532 U KR19970018532 U KR 19970018532U KR 200157253 Y1 KR200157253 Y1 KR 200157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dhesive tape
transparent adhesive
ta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232U (ko
Inventor
박성길
Original Assignee
박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길 filed Critical 박성길
Priority to KR2019970018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25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2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3Cutting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7/00Inking apparatus
    • B41J27/10Inking apparatus with ink applied by rollers; Ink supply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에 문자나 도형을 단색 또는 다색으로 인쇄하면서 그 투명 접착테이프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0)으로부터 횡설된 제 1샤프트(31)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투명 접착테이프(32)가 고정되는 테이프 고정롤러(33)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로부터 횡설된 제 2샤프트(34)상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그 둘레면(36a)에 상기 테이프 고정롤러(33)로부터 풀려나오는 투명 접착테이프(32)의 접착면(32a)에 접촉되면서 이 그 접착면(32a)에 인쇄하는 명판(35)을 가지는 명판롤러(36)와, 높낮이 조절수단(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투명 접착테이프(32)를 상기 명판(35)의 요철 인쇄면(35a) 쪽으로 가압하는 쿠션패드(37)를 갖는 꺾쇠(38)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로부터 횡설된 제3샤프트(39)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롤러 하우징(50)에 삽입되어 상기 명판롤러(36)에 설치되는 명판(35)의 요철 인쇄면(35a)에 접촉되면서 그 요철 인쇄면(35a)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잉크공급롤러(51)와, 상기 잉크공급롤러(51)가 항상 상기 명판롤러(36)측으로 향하는 가압력을 갖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와 롤러 하우징(50)의 사이에서 반발하는 토션스프링(52)과, 상기 명판롤러(36)를 타고 풀리는 투명 접착테이프(32)의 비접착면(32b)과 접촉하여 이를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고정된 고정부재(60)로부터 횡설된 제 4샤프트(61)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테이프 안내롤러(54)와, 상기 테이프 안내롤러(54)를 타고 풀리는 투명 접착테이프(32)를 절단하도록 상기 고정부재(60)에 설치되는 톱날커터(55)와, 접착되는 투명 접착테이프(32)의 비접착면(32b)을 가압하여 그 투명 접착테이프(32)가 고르게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60)에 설치되는 테이프 누름판(56)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에 고정되는 손잡이(70)와, 상기 손잡이(70)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가압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테이프 안내롤러(54)의 외주면에 투명 접착테이프(32)가 밀착되도록 하는 테이프 안내판(57)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
본 고안은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에 문자나 도형을 단색 또는 다색으로 인쇄하면서 그 투명 접착테이프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그 접합부를 밀봉하기 위해 투명 접착테이프가 사용되며, 제조원표시나 광고, 연락처표시 등을 목적으로 문자나 도형이 인쇄된 접착테이프를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접착테이프는 대량주문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수량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을 주문하여야만 이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비용부담을 가져다 주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투명 접착테이프에 도형이나 문자를 인쇄하기 위해서는 인쇄형판을 만들어야 함은 물론이고, 인쇄를 위해 전용 인쇄기를 사용하여야 되므로, 기본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이 많게 되어 적은 수량으로도 많은 비용을 치르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투명 접착테이프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그 투명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에 도형 또는 문자를 연속적으로 인쇄할 수 있는 동시에 임이의 길이로 절단할 수 있는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으로부터 횡설된 제 1샤프트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투명 접착테이프가 고정되는 테이프 고정롤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횡설된 제 2샤프트상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그 둘레면에 상기 테이프 고정롤러로부터 풀려나오는 투명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에 접촉되면서 이 그 접착면에 인쇄하는 명판을 가지는 명판롤러와, 높낮이 조절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투명 접착테이프를 상기 명판의 요철 인쇄면 쪽으로 가압하는 쿠션패드를 갖는 꺾쇠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르부터 횡설된 제 3샤프트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롤러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명판롤러에 설치되는 명판의 요철 인쇄면에 접촉되면서 그 요철 인쇄면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잉크공급롤러와, 상기 잉크공급롤러가 항상 상기 명판롤러측으로 향하는 가압력을 갖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롤러 하우징의 사이에서 반발하는 트션스프링과, 상기 명판롤러를 타고 풀리는 투명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과 접촉하여 이를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 고정부재로부터 횡설된 제 4샤프트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테이프 안내롤러와, 상기 테이프 안내롤러를 타고 플리는 투명 접착테이프를 절단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톱날커터와, 접착되는 투명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가압하어 그 투명 접착테이프가 고르게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테이프 누름판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가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테이프 안내롤러의 외주면에 투명 접착테이프가 밀착되도록 하는 테이프 안내판으르 구성되어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가 제공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에서 투명 접착테이프가 각 롤러를 거치면서 인쇄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제3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베이스 플레이트 60 : 고정부재
31 : 제 1샤프트 61 : 제 4샤프트
32 : 투명 접착테이프 54 : 테이프 안내롤러
33 : 테이프 고정롤러 55 : 톱날커터
34 : 제 2샤프트 56 : 테이프 누름판
36a : 둘레면 70 : 손잡이
32a : 접착면 58 : 가압스프링
35 : 명판 57 : 테이프 안내판
36 : 명판롤러 80, 81 : 보조 하우징
40 : 높낮이 조절수단 82, 83 : 보스
35a : 요철 인쇄면 84, 85 : 잉크롤러 고정용 롤러
37 : 쿠션패드 86, 87 : 홀
38 : 꺾쇠 88, 89 : 잉크함침롤러
39 : 제 3샤프트 90 : 스페이서
50 : 롤러 하우징 41 : 스터드 볼트
51 : 잉크공급롤러 42 : 수직장공
52 : 잉크공급롤러 43 : 회전방지용 장공
32b : 비접착면 44 : 고정너트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에서 투명 접착테이프가 각 롤러를 거치면서 인쇄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제3도의 C-C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0)으로부터 횡설된 제 1샤프트(31)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륵 설치되고, 투명 접착테이프(32)가 고정되는 테이프 고정롤러(33)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로부터 횡설된 제 2샤프트(34)상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그 둘레면(36a)에 상기 테이프 고정롤러(33)로부터 풀려나오는 투명 접착테이프(32)의 접착면(32a)에 접촉되면서 이 그 접착면(32a)에 인쇄하는 명판(35)을 가지는 명판롤러(36)와, 높낮이 조절 수단(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투명 접착테이프(32)를 상기 명판(35)의 요철 인쇄면(35a) 쪽으로 가압하는 쿠션패드(37)를 갖는 꺾쇠(38)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로부터 횡설된 제 3샤프트(39)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롤러 하우징(50)에 삽입되어 상기 명판롤러(36)에 설치되는 명판(35)의 요철 인쇄면(35a)에 접촉되면서 그 요철 인쇄면(35a)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잉크공급롤러(51)와, 상기 잉크공급롤러(51)가 항상 상기 명판롤러(36)측으로 향하는 가압력을 갖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와 롤러 하우징(50)의 사이에서 반발하는 토션스프링(52)과, 상기 명판롤러(36)를 타고 풀리는 투명 접착테이프(32)의 비접착면(32b)과 접촉하여 이를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고정된 고정부재(6o)로부터 횡설된 제4샤프트(61)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테이프 안내롤러(54)와, 상기 테이프안내롤러(54)를 타고 풀리는 투명 접착테이프(32)를 절단하도록 상기 고정부재(60)에 설치되는 톱날커터(55)와, 접착되는 투명 접착테이프(32)의 비접착면(32b)을 가압하여 그 투명 접착테이프(32)가 고르게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60)에 설치되는 테이프 누름판(56)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고정되는 손잡이(70)와, 상기 손잡이(70)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가압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테이프 안내롤러(54)의 외주면에 투명 접착테이프(32)가 밀착되도록 하는 테이프 안내판(57)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잉크공급롤러(51)는 상기 롤러 하우징(50)에 삽입되고 양측으로 분리 또는 결합되는 보조 하우징(80)(81)의 내측 벽면에 보스(82)(83)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동일 축선상에 놓이도록 각각 돌설하고, 양측으로 분리 또는 결합되는 잉크롤러 고정용 롤러(84)(85)의 양단에는 상기 보스(82)(83)가 삽입되는 홀(86)(87)을 각각 형성하여 잉크롤러 고정용 롤러(84)(85)가 상기 보조 하우징(80)(81)에서 공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며, 서로 다른 색의 잉크가 침투된 여러개의 잉크함침롤러(88)(89)를 스페이서(90)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은 상기 꺾쇠(38)로부터 스터드 볼트(41)를 횡설하고, 그 스터드 볼트(41)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수직장공(42)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형성하며, 상기 꺾쇠(38)의 하단부에 상기 제 2샤프트(34)에 의해 안내되면서 미끄러지는 회전방지용 장공(43)을 형성하여 상기 스터드 볼트(41)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44)의 가압력에 의해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도륵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테이프 고정롤러(33)는 그 중앙에 상기 제 1샤프트(31)가 삽입되는 제 1관통구멍(100)을 형성하였으며, 그 둘레에는 투명 접착테이프(32)의 내주면(32e)에 밀착되는 여러개의 리브(33a)를 형성하여 투명 접착테이프(32)가 테이프 고정롤러(33)에 억지끼움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그 테이프 고정롤러(33)의 둘레면에는 오목한 형태의 홈부(33f)(33g)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그 홈부(33f)(33g)에 손가락을 끼운 다음 끼운 손가락으로 이테이프 고정롤러(33)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테이프 고정롤러(33)의 단면에 걸리는 와셔(102)를 구비하여 테이프 고정롤러(33)가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다.
롤러 하우징(50)은 그 일측에 상기 제 3샤프트(39)가 삽입되는 파이프부(50a)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바닥면에는 상기 보조 하우징(80)의 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설된 회전방지용 돌기(80d)가 진입된 다음 미끄러지는 일측이 개방된 슬릿형태의 회전방지용 홈부(50d)를 형성하였다.
또, 그 롤러 하우징(50)의 내측 벽면에는 걸림구멍(50e)을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 걸림턱(30e)에 걸리도록하여 잉크함침롤러(88)(89) 교환시 분리/결합이 용이하도록 잉크함침롤러(88)(89)가 명판(35)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보조 하우징(80)(81)과 잉크롤러 고정용 롤러(84)(85)는 각각 분리결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져 분해조립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그 결합부분의 윤곽을 따라 각각 턱(110)(120)과 홈부(112)(122)를 형성하여 결합시에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손잡이(70)는 상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고정되는 헤드부(72)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취급하기에 용이한 크기를 가지는 협지부(73)로 구성하였으며, 그 헤드부(72)의 측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를 관통하는 스크류(130)가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나사구멍(132)(133)을 형성하였으며, 그 앞부분 중앙에는 상기 테이프 안내판(57)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개구부(76)를 형성하였음은 물론이고, 그 테이프 누름판(56)이 회전안내되도록 하는 핀(77)이 삽입되는 핀 삽입용구멍(78)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재료를 절약하기 위하여 헤드부(72)의 내부를 중공형태로 성형하였고, 그 중공부(7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판형태의 커버(79)를 구비하였으며, 그 협지부(73)는 손에 쥐는 것이 용이하도록 손바닥형상의 미끄럼 방지 돌기부(73a)를 형성하였다.
상기 테이프 안내판(57)은 그 후부로부터 두 개의 암(57a)(57b)을 횡설하고, 그 암(57a)(57b)의 끝부분에 상기 핀(77)이 측방향으로 관통되는 핀 관통구멍(57c)(57d)을 형성하였으며, 그 암(57a)(57b)의 앞부분에는 아래쪽으로 꺾인 상태에서 다소 경사진 형태를 유지하는 평판부(57f)를 두어 이 평판부(57f)의 앞면이 투명 접착테이프(32)와 접촉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명판(35)의 양끝단이 서로 만나지 못하도록 상기 명판롤러(36)의 원주길이가 그 명판(35)의 길이보다 길게 되도록 구성하여 명판(35)에 의해 연속적으로 인쇄되는 투명 접착테이프(32)상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그 명판(35)을 상기 명판롤러(36)에 고정하기 위하여 양면테이프(32)를 사용하였다.
상기 테이프 누름판(56)은 볼록한 만곡형태로 형성하였으며, 약간의 탄성을 부여하는 것이 투명 접착테이프(32)를 보호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꺾쇠(38)는 예컨대, フ자 모양으로 절곡형성된 띠강판을 이용하여 가로부(38a)와 세로부(38b)를 형성하였으며, 그 가로부(38a)의 저면에는 상기 쿠션패드(37)가 위치되도록 구성하였고, 그 세로부(38b)에는 상기 회전방지용 장공(43)과 스터드 볼트(41)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고정부재(60)는 평판 연결부재(62)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를 향해 제 4샤프트(61)와 커터 고정바(64)를 횡성하였으며, 그 커터 고정바(64)에는 상기 톱날커터(55)가 고정되는 평평한 형태의 고정면(64a)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누름판(56)은 그 하단부에 다소 수평하게 꺾이는 플랜지부(56p)를 형성하여 상기 얇은 평판형태의 톱날커터(55)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부재(60)에 형성되어 있는 커터 고정바(64)의 고정면(64a)에 설치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6, 147, 148, 149, 150, 151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을 나타낸 것이며, 140, 141, 145, 155, 156, 157은 상기 스크류를 나타낸것이고, 143, 144는 와셔를 나타낸 것이며, 142는 패스너를 나타낸 것이고, 160은 양면테이프를 나타낸 것이며, 170은 스프링 걸림편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70)를 잡고 명판롤러(36)와 테이프 안내롤러(54)를 타고 인출되는 투명 접착테이프(32)의 끝부분을 상자와 같은 접착부분에 접착시킨 상태에서 뒤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투명 접착테이프(32)가 두루마리 형태의 투명 접착테이프(32)로부터 풀리면서 명판롤러(36)를 첨부도면 제3도의 도면중 화살표 K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풀리는 투명 접착테이프(32)가 명판롤러(36)에 설치된 명판(35)의 요철 인쇄면(35a)에 접촉되면서 문자 또는 도형이 인쇄된다.
이때 명판(35)에 접촉하고 있는 잉크함침롤러(88)(89)에 의해 명판(35)의 요철인쇄면(35a)에는 항상 잉크층이 형성되어 투명 접착테이프(32)에 인쇄하기 위한 잉크를 공급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더욱이 잉크함침롤러(88)(89)가 토션스프링(52)에 의해 명판(35)의 요철 인쇄면(35a)에 예압을 가지고 밀착되어 있으므로, 잉크함침롤러(88)(89)에 함침되어 있는 잉크성분이 압박에 의해 밖으로 쉽게 새어나오게 된다.
그리고, 잉크함침롤러(88)(89)가 각기 다른 색의 잉크를 사용한 경우에는 각 잉크함침롤러(88)(89)에 접촉하는 명판(35)의 요철 인쇄면(35a)에는 다색잉크층이 형성되어 투명 접착테이프(32)에도 다색으로 인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명판롤러(36)를 타고 인출되는 투명 접착테이프(32)의 비접착면(32b)이 는 테이프 안내롤러(54)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안내되어 연속적으로 풀려나오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적당한 길이로 풀린 투명 접착테이프(32)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손잡이(70)를 잡고 고정부재(60)에 설치되어 있는 톱날커터(55)를 도면중 화살표 H방향으로 기울이면서 톱날커터(55)의 톱납부분을 이용하여 투명 접착테이프(32)에 상처를 내면서 잡아당기게 되면, 투명 접착테이프(32)가 절단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부재(60)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프 누름판(56)을 이용하여 투명 접착테이프(32)의 비접착면(32b)에 압박을 가하면서 동시에 미끄러지는 동작을 여러번 가하게 되면, 투명 접착테이프(32)가 접착부분에 고르게 밀착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동작중에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는 꺾쇠(38)의 스터드 볼트(41)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너트(44)를 느슨하게 한 다음 수직장공(42)을 따라 꺾쇠(38)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하게 되면, 꺾쇠(38)에 설치되어 있는 쿠션패드(37)가 투명 접착테이프(32)를 명판(35) 측으로 압박하는 압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있게 되며, 다시 고정너트(44)를 조이게 되면, 꺾쇠(38)가 조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잉크함침롤러(88)(89)의 함침된 잉크성분이 고갈되어 이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먼저 명판(35)에 밀착되어 있는 잉크함침롤러(88)(89)를 이 명판(35)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잡아당긴 다음 롤러 하우징(5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50e)을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0)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 걸림돌기(30e)에 걸게 되면, 토션스프링(52)의 탄성력이 작용되더라도 롤러 하우징(50)이 회전되지 못하고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롤러 하우징(50)으로부터 보조 하우징(80)(81)을 분리해 낸 다음 분리된 보조 하우징(80)(81)을 다시 양측으로 분리하게 되면, 이번에는 보조 하우징(80)(81)의 안쪽에 끼워져 있던 잉크롤러 고정용 롤러(84)(85)가 이 보조 하우징(80)(8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후에 분리된 잉크롤러 고정용 롤러(84)(85)를 다시 양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양측으로 분리되면서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던 잉크함침롤러(88)(89)와 스페이서(90)가 함께 분리된다.
이후에 사용자는 새로운 잉크함침롤러(88)(89)를 스페이서(90)를 사이에 두고 잉크롤러 고정용 롤러(84)(85)와 함께 결합한 후 이를 다시 보조 하우징(80)(81)에 형성된 보스(82)(83)에 끼운 다음 보조 하우징(80)(81)을 결합한 다음 롤러 하우징(50)에 삽입하게 되면, 교환작업이 완료된다.
그 다음 베이스 플레이트(30)에 형성되어 있는 일방향 걸림돌기(30e)에 걸린 상태로 있는 롤러 하우징(50)을 잡아당겨 걸림을 해제한 후 놓게 되면, 처음과 같이 토션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잉크함침롤러(88)(89)가 명판(35)에 밀착된다.
그리고 투명 접착테이프(32)를 교환하여야 되는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고정롤러(33)으로부터 소진된 투명 접착테이프(32)를 도면중 화살표 U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이 투명 접착테이프(32)가 테이프 고정롤러(33)로부터 이탈되며, 이후에 새로운 투명 접착테이프(32)를 분리할 때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삽입하게 되면, 투명 접착테이프(32)의 내주면이 테이프 고정롤러(33)의 외주에 삽입된다.
이때 테이프 고정롤러(33)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리브(33a)는 투명접착테이프(32)의 내주면(32e)을 압박하여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비교적 적은 비용을 요구하는 고무명판을 별도로 제작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투명 접착테이프에 문자나 도형을 인쇄할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인쇄된 접착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고, 명판의 교체만으로 투명 접착테이프에 인쇄되는 문자나 도형을 쉽게바꿀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베이스 플레이트(30)으로부터 횡설된 제 1샤프트(31)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투명 접착테이프(32)가 고정되는 테이프 고정롤러(33)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로부터 횡설된 제 2샤프트(34)상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그 둘레면(36a)에 상기 테이프 고정롤러(33)로부터 풀려나오는 투명 접착테이프(32)의 접착면(32a)에 접촉되면서 이 그 접착면(32a)에 인쇄하는 명판(35)을 가지는 명판롤러(36)와, 높낮이 조절수단(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투명 접착테이프(32)를 상기 명판(35)의 요철 인쇄면(35a) 쪽으로 가압하는 쿠션패드(37)를 갖는 꺾쇠(38)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로부터 횡설된 제 3샤프트(39)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롤러 하우징(50)에 삽입되어 상기 명판롤러(36)에 설치되는 명판(35)의 요철 인쇄면(35a)에 접촉되면서 그 요철 인쇄면(35a)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잉크공급롤러(51)와, 상기 잉크공급롤러(51)가 항상 상기 명판롤러(36)측으로 향하는 가압력을 갖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와 롤러 하우징(50)의 사이에서 반발하는 토션스프링(52)과, 상기 명판롤러(36)를 타고 풀리는 투명 접착테이프(32)의 비접착면(32b)과 접촉하여 이를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고정된 고정부재(60)로부터 횡설된 제 4샤프트(61)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테이프 안내롤러(54)와, 상기 테이프 안내롤러(54)를 타고 풀리는 투명 접착테이프(32)를 절단하도록 상기 고정부재(60)에 설치되는 톱날커터(55)와, 접착되는 투명 접착테이프(32)의 비접착면(32b)을 가압하여 그 투명 접착테이(32)가 고르게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60)에 설치되는 테이프 누름판(56)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고정되는 손잡이(70)와, 상기 손잡이(70)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가압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테이프 안내롤러(54)의 외주면에 투명 접착테이프(32)가 밀착되도록 하는 테이프 안내판(5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롤러(51)는 상기 롤러 하우징(50)에 삽입되고 양측으로 분리 또는 결합되는 보조 하우징(80)(81)의 내측 벽면에 보스(82)(83)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동일 축선상에 놓이도록 각각 돌설하고, 양측으로 분리 또는 결합되는 잉크롤러 고정용 롤러(84)(85)의 양단에는 상기 보스(82)(83)가 삽입되는 홀(86)(87)을 각각 형성하여 잉크롤러 고정용 롤러(84)(85)가 상기 보조 하우징(80)(81)에서 공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며, 서로 다른 색의 잉크가 침투된 여러개의 잉크함침롤러(88)(89)를 스페이서(90)를 사이에 두고 축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은 상기 꺾쇠(38)로부터 스터드볼트(41)를 횡설하고, 그 스터드 볼트(41)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수직장공(42)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형성하며, 상기 꺾쇠(38)의 하단부에 상기 제2샤프트(34)에 의해 안내되면서 미끄러지는 회전방지용 장공(43)을 형성하여 상기 스터드 볼트(41)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44)의 가압력에 의해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
KR2019970018532U 1997-07-14 1997-07-14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 KR200157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532U KR200157253Y1 (ko) 1997-07-14 1997-07-14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532U KR200157253Y1 (ko) 1997-07-14 1997-07-14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232U KR19990005232U (ko) 1999-02-05
KR200157253Y1 true KR200157253Y1 (ko) 1999-09-15

Family

ID=1950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532U KR200157253Y1 (ko) 1997-07-14 1997-07-14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2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232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8351A (en) Ink ribbon cartridge with ribbon tensioning structure
US20100309275A1 (en) Thermal printer
JP2635514B2 (ja) 印刷版の固定装置
EP0919503B1 (en) Improved adhesive tape applying device including printing systems for print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ape
KR200157253Y1 (ko) 투명 접착테이프 인쇄컷팅장치
KR930021405A (ko) 잉크리본 장력균형장치
US4031853A (en) Device for applying ink to a ribbon
KR920002342A (ko) 전사식 프린터
JP2542907Y2 (ja) 軸受装置
US1071626A (en) Stamp.
US1743468A (en) Printing device
US7635230B2 (en) Front cover structure for a label printer
JP2955620B2 (ja) 印刷シリンダ洗浄装置
JP4756772B2 (ja) シリンダ洗浄装置
JPS6220297Y2 (ko)
JPH0513759U (ja) 用紙装着装置
JP2515442Y2 (ja) プリンタにおける印字用紙のガイド装置及びガイド片
US2660114A (en) Repeater printer for strip stock
GB2466334A (en) Width regulation in label printers
JPH0736771Y2 (ja) リボンカセツト保持装置
JPH0721338Y2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KR970011129A (ko) 팩시밀리의 감열기록헤드 가압 장치
JPH0114446Y2 (ko)
JPH0646673Y2 (ja) 圧胴の切替交換装置
JP2500481Y2 (ja) ロ―ル紙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