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019Y1 - 분리형 카오디오 착탈장치의 슬라이딩버튼 - Google Patents

분리형 카오디오 착탈장치의 슬라이딩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019Y1
KR200157019Y1 KR2019940032191U KR19940032191U KR200157019Y1 KR 200157019 Y1 KR200157019 Y1 KR 200157019Y1 KR 2019940032191 U KR2019940032191 U KR 2019940032191U KR 19940032191 U KR19940032191 U KR 19940032191U KR 200157019 Y1 KR200157019 Y1 KR 200157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escalation
sliding button
car audio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845U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40032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019Y1/ko
Publication of KR9600188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8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019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카오디오의 슬라이딩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상하부에 걸림홈(10a)이 형성된 프론트 패널(10)과, 상기 프론트 패널(10)이 착탈되어지고, 배면 상하부에 축부(20a)가 형성된 에스커션(20)과, 상기 지지간(20a)에 축부(30b)가 각각 끼우져 회동하며, 프론트 패널(10)의 걸림홈(10a)에 걸려져서 프론트 패널(10)을 에스커션(20)에 결합시키는 돌기(30a)가 각각 형성된 회동편(30)등으로 구성된 분리형 카오디오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30)의 측면 모서리에 걸림턱(30c)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30c)의 측면에 접촉되는 절곡 누름편(50a)이 "ㄱ"자 형상으로 배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버튼(50)을 마련하여서 상기 슬라이딩 버튼(50)을 슬라이딩 시키면 절곡누름편(50a)이 걸림턱(30c)을 밀어줌으로써 회동편(30)이 회동하여서 프론트 패널(10)이 에스커션(20)에서 착

Description

분리형 카오디오 착탈장치의 슬라이딩버튼
제1도는 종래의 착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단면도로서,
(a)도는 프론트 패널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b)도는 프론트 패널의 분해 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 패널 10a : 걸림홈
20 : 에스커션 20a : 지지간
20b : 결착구 30 : 회동편
30a : 돌기 30b : 축부
30c : 걸림턱 40 : 탄설 스프링
50 : 슬라이딩 버튼 50a : 절곡 누름편
본 고안은 전면커버의 릴리이즈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누름식 릴리이즈 버튼을 슬라이드식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에스커션에 착탈되는 프론트 패널을 콤팩트화 하는데 기여하도록 해주는 분리형 카오디오의 슬라이딩 버튼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자동차가 점차적으로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에 발 맞추어서 자동차의 인스투르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카오디오 역시 점차적으로 대형화고급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따라, 카오디오의 외관과 성능이 점차적으로 향상되어지고 그에 따라서 카오디오의 가격이 비싸지게 되었다.
따라서, 인스투르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카오디오를 드라이버 등과 같은 간단한 탈착 공구만을 사용하여 도난해 가는 경우가 접차적으로 빈발하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 발맞추어서 새롭게 개발된 것이 에스커션으로 부터 프론트 패널이 착탈되어지는 분리형 카오디오가 점차적으로 대중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것은 카오디오를 사용할 때에는 프로트 패널을 에스커션에 결합시켜서 사용하다가 운전자가 집으로 들어갈 때에는 에스커션에서 프론트 패널을 분리하여 집으로 가져감으로써 카오디오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착탈장치의 첨부도면 제1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누름식 버튼(30) 및 걸림홈(12)을 갖는 프론트 패널(10)과, 상기 프론트 패널(10)에 착탈되는 에스커션(20)으로 구성된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하부로 돌기(2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양단에 축부(25)를 설치하되,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축부(25) 일측에 경사진 돌출편(22)을 일체로 형성하고, 평면 일측에 탄설 스프링(24)이 고정된 회동편(26)과, 에스커션(20)의 배면 양측에 지지간(27)을 돌출 형성시켜 상기 축부(25)가 유설되게 하고, 탄설스프링(24)의 타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결착구(28)를 형성하며, 프론트 패널(10)의 걸림홈(12)으로 상기 회동편(26)이 좌우 회동될 수 있도록 한 누름식버튼(30)으로 인해 프론트 패널(10)이 에스커션(20)으로 부터 착탈이 용이하게 하는 구성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전하는 중에 카오디오를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프론트 패널(10)을 에스커션(20)의 전면부로부터 삽설시키면 프론트 패널(10)의 상하부에 형성된 걸림홈(12)에 회동편(26)의 상하 내면으로 형성된 상하돌기(21)가 견고하게 걸려지면서 프론트 패널(10)이 에스커션(20)에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카오디오를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프론트 패널(10)의 전면부일측에 설치된 누름식버튼(30)을 누르게 되면 일체로 형성된 핀부(31)가 후방으로 밀려지면서 회동편(26)의 일측으로 경사져 있는 돌출편(22)을 누르게 되고 이와 동시에 지지간(2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축부(25)에 의해 회동편(26)이 탄성 스프링(24)을 잡아당기면서 회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하돌기(21)가 각각 걸림홈(12)으로 부터 이탈되어져서 프론트 패널(10)이 에스커션(20)에서 탈거되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10)에는 카오디오를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버튼과 노브들이 전면부에 부착되어 있는데 특히 프론트 패널(10)을 에스커션(20)으로 부터 탈거시키는 누름식 버튼이 누름 동작으로 인해서 프론트 패널(10)로부터 많이 돌출된 상태로 있으며, 이로인해 분리된 프론트 패널(10)을 별도로 보관할때 걸리적 거리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카오디오의 콤팩트화에도 어긋나게 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누름식 버튼을 슬라이딩식 버튼으로 교체하여서 프론트 패널을 별도로 보관할때 걸리적거리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의 콤팩트화에 기여하도록 해주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프론트 패널, 에스커션과 회동편 등으로 구성된 분리형 카오디오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의 측면 모서리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의 측면에 접촉되는 절곡누름편이 "ㄱ"자 형상으로 배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버튼을 마련하여서 상기 슬라이딩 버튼을 슬라이딩 시키면 절곡누름편이 걸림턱을 밀어줌으로써 회동편이 회동하여서 프론트 패널이 에스커션에서 착탈되도록 구성된 분리형 카오디오의 슬라이딩 버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고안은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 상하부에 걸림홈(10a)이 형성된 프론트 패널(10)과, 상기 프론트 패널(10)이 착탈되어지고, 배면 상하부에 축부(20a)가 형성된 에스커션(20)과, 상기 지지간(20a)에 축부(30b)가 각각 끼워져 회동하며, 프론트 패널(10)의 걸림홈(10a)에 걸려져서 프론트 패널(10)을 에스커션(20)에 결합시키는 돌기(30a)가 각각 형성된 회동편(30) 등으로 구성된 분리형 카오디오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30)의 측면 모서리에 걸림턱(30c)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30c)의 측면에 접촉되는 절곡누름편(50a)이 "ㄱ"자 형상으로 배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버튼(50)을 마련하여서 상기 슬라이딩버튼(50)을 슬라이딩시키면 절곡누름편(50a)이 걸림턱(30c)을 밀어줌으로써 회동편(30)이 회동하여서 프론트 패널(10)이 에스커션(20)에서 착탈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제4(a)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에스커션(20)내에 프론트 패널(10)을 결합시켜 사용할 시에는 프론트 패널(10)을 에스커션(20)으로 서서히 삽입시키게 되면 걸림홈(10a)에 돌기(30a)가 경사면을 타고 걸려지면서 즉 회동편(30)이 걸착구(20b)에 걸려있는 탄설스프링(40)을 안정하여 축부(30b)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돌기(30a)가 걸림홈(10a)내에 결착되어져서 프론트 패널(10)이 에스커션(20)에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카오디오를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슬라이딩 버튼(50)을 잡고서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절곡누름편(50a)이 걸림턱(30c)을 누르게 되고, 회동편(30)이 지지간(20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축부(30b)에 회동되면서 즉 돌기(30a)가 축부(30b)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걸림홈(10a)에 걸려 있는 돌기(30a)가 이탈되어 지게 되면, 프론트 패널(10)을 에스커션으로 부터 이탈시키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의 경우에는 누름식 버튼이 외측으로 많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걸리적 거리거나 콤팩트화에 방해가 되던 것과는 다르게 본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버튼을 사용함으로써 버튼이 프론트 패널에 밀착되어 설치되어서 카오디오의 콤팩터화와 프론트 패널을 보관할때 걸리적 거림을 방지하도록 해주는 고안이다.

Claims (1)

  1. 일측 상하부에 걸림홈(10a)이 형성된 프론트 패널(10)과, 상기 프론트 패널(10)이 착탈되어지고, 배면 상하부에 축부(20a)가 형성된 에스커션(20)과, 상기 지지간(20a)에 축부(30b)가 각각 끼워져 회동하며, 프론트 패널(10)의 걸림홈(10a)에 걸려져서 프론트 패널(10)을 에스커션(20)에 결합시키는 돌기(30a)가 각각 형성된 회동편(30)등으로 구성된 분리형 카오디오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30)의 측면 모서리에 걸림턱(30c)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30c)의 측면에 접촉되는 절곡 누름편(50a)이 "ㄱ"자 형상으로 배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버튼(50)을 마련하여서 상기 슬라이딩 버튼(50)을 슬라이딩 시키면 절곡누름편(50a)이 걸림턱(30c)을 밀어줌으로써 회동편(30)이 회동하여서 프론트 패널(10)이 에스커션(20)에서 착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카오디오의 슬라이딩 버튼.
KR2019940032191U 1994-11-30 1994-11-30 분리형 카오디오 착탈장치의 슬라이딩버튼 KR200157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191U KR200157019Y1 (ko) 1994-11-30 1994-11-30 분리형 카오디오 착탈장치의 슬라이딩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191U KR200157019Y1 (ko) 1994-11-30 1994-11-30 분리형 카오디오 착탈장치의 슬라이딩버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845U KR960018845U (ko) 1996-06-19
KR200157019Y1 true KR200157019Y1 (ko) 1999-09-15

Family

ID=1939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191U KR200157019Y1 (ko) 1994-11-30 1994-11-30 분리형 카오디오 착탈장치의 슬라이딩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0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845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201B2 (en) Safety cutter apparatus and system
US5730342A (en) Mobile telephone fastening
KR200157019Y1 (ko) 분리형 카오디오 착탈장치의 슬라이딩버튼
JP3318046B2 (ja) モール用カバー
JPS6318329Y2 (ko)
JP2000004963A (ja) 簡易脱着機構
KR0127543B1 (ko) 착탈식 카오디오의 착탈 장치
JP3223960B2 (ja) 遠隔操作装置の筐体構造
JP2521831Y2 (ja) 筆用線引き具
JP3973178B2 (ja) 簡易脱着機構
TWM319241U (en) Improved structure for exhibition card
JPS6035264Y2 (ja) プラグインユニツトのロツク機構
CN209884064U (zh) 一种控制板盒及洗碗机
KR0184171B1 (ko) 차량용 재털이의 재털이홀더 구조
KR0127546B1 (ko)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
KR910004678Y1 (ko) 도난방지용 카 오디오 세트의 콘트롤박스 분리장치
JPH0530998Y2 (ko)
JPS6228165Y2 (ko)
JP3675870B2 (ja) ファイル用綴具の蓋部の係脱装置
KR960010724Y1 (ko) 부분 분리형 카 오디오의 착탈장치
JPS6228178Y2 (ko)
JPH0238795Y2 (ko)
JPH044788Y2 (ko)
JP3075121U (ja) コンピュータ本体のパネル係合の改良構造
KR0116735Y1 (ko) Vcr의 디지트론 홀더(digitron holder of vc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