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400Y1 -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6400Y1 KR200156400Y1 KR2019940039658U KR19940039658U KR200156400Y1 KR 200156400 Y1 KR200156400 Y1 KR 200156400Y1 KR 2019940039658 U KR2019940039658 U KR 2019940039658U KR 19940039658 U KR19940039658 U KR 19940039658U KR 200156400 Y1 KR200156400 Y1 KR 2001564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ensate
- foreign matter
- outlet
- receiver
- load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를 냉난방시키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실내측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측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응축수받이와, 상기 응축수받이에 집수된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응축수받이에 천공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접속된 배수호스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에 있어서,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를 통과하지 않도록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퇴적시키며 응축수의 흐름을 제약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이물질적재부와, 상기 이물질적재부에 이물질이 과다하게 퇴적될 경우 상기 이물질 적재부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물질적재부을 개폐시키는 마개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응축수받이의 배출구의 저부에 먼저 등의 이물질을 적재하는 이물질적재부를 형성시켜서 이물질이 이물질적재부에 퇴적되더라도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구를 통해 배수되도록하므로써 응축수받이에 집수된 응축수가 케이싱의 내부로 넘쳐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실내를 냉난방시키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실내측열교환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응축수받이의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응축수받이에 집수된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난방싸이클을 수행하여서 실내를 냉방 혹은 난방시키는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가 분리구성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유니트와 실외유니트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된다.
도1은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의 내부에 실내측열교환기(2)와 송풍팬(5)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1)의 전면 상측에는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의 하측에는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에서 열교환된 조화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11)와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의 사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11)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시키는 필터(6)가 설치된다.
또,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는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대각선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의 하측에는 상기 공기흡입구(11)를 통해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응축수를 집수하는 응축수받이(3)가 설치된다.
또, 상기 응축수받이(3)의 상부는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하부저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응축수받이(3)로 집수된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배출구(31)가 천공되며, 상기 배출구(31)에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응축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연결관(4)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응축수받이(3)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게 되고, 이 이물질이 응축수와 함께 상기 배출구(31)를 통과하게 되어 상기 배출구(31)가 막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 상기 배출구(31)가 막히면 상기 케이싱(1)의 내부로 응축수가 넘쳐흐르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다른 일예로써는 일본국에서 실용신안출원되어서 1986년 11월 20일자로 공개된 일본국 실개소 61-186017호가 있다.
일본국 실개소 61-186017호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기의 드레인배수관(11)의 도중에 트랩(12)을 설치하고, 이 트랩(12)에 먼지배출용밸브(1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일본국 실개소 61-186017호는 상기 트랩(12)이 대체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배출구(A)가 응축수받이의 배수구(B)보다 낮게 형성되므로써 상기 트랩(12)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퇴적될 경우 응축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지 못해 응축수가 케이싱의 내부로 넘쳐 흐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응축수받이의 배출구의 저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적재하는 이물질적재부를 형성시켜서 이물질이 이물질적재부에 퇴적되더라도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구를 통해 배수되도록하므로써 응축수받이에 집수된 응축수가 케이싱의 내부로 넘쳐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는, 실내측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측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응축수받이와, 상기 응축수받이에 집수된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응축수받이에 천공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접속된 배수호스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에 있어서,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를 통과하지 않도록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퇴적시키며 응축수의 흐름을 제약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이물질적재부와, 상기 이물질적재부에 이물질이 과다하게 퇴적될 경우 상기 이물질적재부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물질적재부를 개폐시키는 마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에 의하면, 응축수받이의 배출구의 저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적재하는 이물질적재부를 형성시켜서 이물질이 이물질적재부에 퇴적되더라도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구를 통해 배수되도록하므로써 응축수받이에 집수된 응축수가 케이싱의 내부로 넘쳐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배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는 도3의 A부분을 확대하여서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5는 도4의 A-A부분을 절결하여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케이싱 20 : 실내측열교환기
30 : 응축수받이 31 : 배출구
40 ; 이물질적재부 41 : 마개
50 : 배수호스 70 : 공기흡입구
80 : 공기토출구 90 : 필터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는 배출구 부분을 제외하고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즉, 케이싱(10)의 내부에는 실내측열교환기(2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10)의 전면 상측에는 공기흡입구(70)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0)의 하측에는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0)에서 열교환된 조화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8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70)와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0)의 사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70)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시키는 필터(90)가 설치된다.
또,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0)는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대각선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0)의 하측에는 상기 공기흡입구(70)를 통해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응축수를 집수하는 응축수받이(30)가 설치된다.
도4는 도3의 A부분을 확대하여서 도시한 확대단면 도이고, 도5는 도4의 A-A부분을 절결하여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받이(30)의 상부는 개방되어서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집수하고, 저부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응축수받이(30)에 집수된 응축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출구(31)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1)에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응축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배수호스(50)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응축수받이(30)는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0)의 하방에서 상기 배출구(31)쪽이 하측으로 위치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응축수가 용이하게 흐를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응축수받이(30)의 저면에는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31)를 통과됨이 없이 한 곳에 퇴적되도록하여 응축수의 흐름을 제약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31)보다 낮은 위치에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이물질적재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적재부(40)에는 상기 이물질적재부(40)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이물질적재부(40)을 개폐시키는 마개(4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가 가동되면 송풍팬이 작동되고, 이 송풍팬의 송풍력에 의해서 상기 공기흡입구(70)를 통해 실내공기가 흡입되며, 상기 공기흡입구(70)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측열교환기(10)를 통과하면서 조화공기로 변환되어 상기 공기토출구(80)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측열교환기(10)에서는 실내공기가 조화공기로 변환되면서 응축수가 생성되게 되고, 상기 실내측열교환기(1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응축수받이(30)로 집수되게 된다.
또, 상기 응축수받이(30)에 집수되는 응축수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함유되게 되며, 이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적재부(40)에 퇴적되게 되어 이물질이 함유되지 않은 순수한 응축수만이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상기 배수호스(50)에 가이드되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이물질적재부(40)는 상기 배출구(31)보다 저부에 형성되므로써,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적재부(40)에 퇴적되게 되므로 순수한 응축수만이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이물질적재부(40)에 이물질이 퇴적되더라도 상기 배출구(31)가 상기 이물질적재부(40)보다도 높게 위치되므로써 응축수는 이물질에 제약을 받음이 없이 원활하게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물질적재부(40)에 다량의 이물질이 퇴적될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마개(41)로 상기 이물질적재부(40)를 개방시켜 상기 이물질적재부(40)에 퇴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에 의하면, 응축수받이의 배출구의 저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적재하는 이물질적재부를 형성시켜서 이물질이 이물질적재부에 퇴적되더라도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구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므로써 응축수받이에 집수된 응축수가 케이싱의 내부로 넘쳐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 실내측열교환기(20)와, 상기 실내측열교환기(2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응축수받이(30)와, 상기 응축수받이(30)에 집수된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응축수받이(30)에 천공된 배출구(31)와, 상기 배출구(31)에 접속된 배수호스(50)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에 있어서,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31)를 통과하지 않도록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퇴적시키며 응축수의 흐름을 제약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3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이물질적재부(40)와, 상기 이물질적재부(40)에 이물질이 과다하게 퇴적될 경우 상기 이물질적재부(40)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물질적재부(40)을 개폐시키는 마개(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39658U KR200156400Y1 (ko) | 1994-12-31 | 1994-12-31 |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39658U KR200156400Y1 (ko) | 1994-12-31 | 1994-12-31 |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23989U KR960023989U (ko) | 1996-07-22 |
KR200156400Y1 true KR200156400Y1 (ko) | 1999-09-01 |
Family
ID=1940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39658U KR200156400Y1 (ko) | 1994-12-31 | 1994-12-31 |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6400Y1 (ko) |
-
1994
- 1994-12-31 KR KR2019940039658U patent/KR20015640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23989U (ko) | 1996-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56254B2 (en) | Tumble dryer with a lint filter | |
CA1168121A (en) | Countertop range with proximity ventilation and electronic air cleaner | |
PL207003B1 (pl) | Układ filtracyjny dla okapu do wyciągania oparów i okap do wyciągania oparów | |
CA2260732C (en) | Gravity assisted lint trap | |
KR101417050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CN114737374A (zh) | 一种冷凝装置及衣物处理设备 | |
KR200156400Y1 (ko) |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 | |
KR101935256B1 (ko) | 공기 조화 장치의 배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 |
KR910008396Y1 (ko) | 공기 조화기의 환기, 배수 장치 | |
KR102152263B1 (ko) | 공기청정기 | |
CN213507698U (zh) | 线屑过滤器及衣物处理设备 | |
JPH0714732Y2 (ja) | 空気調和機 | |
JP3134612B2 (ja) | レンジフード用のフィルター | |
CN112413880A (zh) | 一种空调器的集水装置、空调器 | |
KR200150799Y1 (ko) |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 | |
KR100547674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CN219735592U (zh) | 集水箱及除湿加湿一体机 | |
KR20020010187A (ko) |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 |
JP4421992B2 (ja) | 換気装置 | |
KR0127613Y1 (ko) |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 |
JPH0112104Y2 (ko) | ||
KR0156707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 |
JPH0334569Y2 (ko) | ||
JPH06257778A (ja) | 空気調和機のドレン構造 | |
KR0139329Y1 (ko) |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