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396Y1 - 공기 조화기의 환기, 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환기, 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396Y1
KR910008396Y1 KR2019890018673U KR890018673U KR910008396Y1 KR 910008396 Y1 KR910008396 Y1 KR 910008396Y1 KR 2019890018673 U KR2019890018673 U KR 2019890018673U KR 890018673 U KR890018673 U KR 890018673U KR 910008396 Y1 KR910008396 Y1 KR 910008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ilation
discharge
discharged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8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095U (ko
Inventor
길용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8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396Y1/ko
Priority to CA002031732A priority patent/CA2031732C/en
Priority to JP1990400278U priority patent/JPH0737072Y2/ja
Priority to US07/624,101 priority patent/US5117653A/en
Publication of KR910012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0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3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6Drip trays for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환기, 배수 장치
제1도는 공기 조화기의 개략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환기 배수 수단의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정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분해 절결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풍수단 4 : 열교환부
6 : 배수수단 7 : 배출관재
8 : 환기, 배수수단 9 : 흡입부
9-2 : 유입구 10 : 개폐부
10-1 : 개폐판재 10-3 : 연결부재
10-6 : 작동부재 11 : 유도부
11-3 : 카바 12 : 배출부
12-2 : 환기구
본 고안은 공기 조화기의 가동중 발생되는 응축수의 배수와, 혼탁해진 실내 공기의 환기를 동시에 처리할수 있게한 공기조화기의 환기,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 특히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통상 벽면에 설치되므로 응축수의 처리를 위한 별도의 배수호스를 구비하고 있으나, 실내공기를 배출시킬수 있는 환기장치의 설치는 불가능하여 혼탁한 실내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와 교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표출하였다.
또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도 환기장치는 구비되어 있으나 배수장치와는 별도의 배기용 닥트를 설치해야 하므로 제작, 조립공수와 소요자재가 증가하여 생산단가가 상승하며 잦은 고장을 유발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배수장치를 개선하여 환기도 동시에 처리할수 있게된 환기, 배수장치를 제공하기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인바,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공기조화기(A)는 제1도에서와 같이 송풍수단(1)에 의해 본체(2) 전면의 흡입구(3)로 유입한 더운 공기를 열교환부(4)에 의해 냉각시킨뒤 토출구(5)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키고, 열교환부(4)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그 하부에 구비된 배수수단(6)에서 집수하여 배출관재(7)로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되어 있다.
본 고안 환기, 배수수단(8)은 열교환부(4)의 하부 즉, 종래 배수수단(6)의 위치에 구비되며 제2도 이하에서와 같이 열교환(4)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모으는 배수수단(6)의 집수부(6A)후면에 구비되며 송풍수단(1)의 토출공기를 유입하는 흡입부(9)와, 토출공기의 유입을 선택하는 개폐부(10)와, 유입된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11)와, 흡입공기 및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부(12)로 구성된다.
흡입부(9)는 송풍수단(1)의 일측에 구비되어 토출바람의 일부를 흡입시키는 유입통로(9-1)와 흡입된 공기를 유도부(11)로 공급하는 유입구(9-2)로 구성된다.
개폐부(10)는 유입구(9-2)를 막을 수 있는 개폐판재(10-1)와, 개폐판재(10-1)를 좌,우로 이동, 개폐시킬 수 있도록 유입구(9-2)상부에 지지되고 끝단에 걸림핀(10-2)을 구비한 연결부재(10-3)와, 걸림핀(10-2)이 삽입되는 장공(10-4)을 구비하고 그 끝단이 본체(2) 외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부(10-5)를 힌지공정시킨 작동부재(10-6)로 구성된다.
유도부(11)는 유입구(9-2)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외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된 압력실(11-1)과, 압력실(11-1) 상부를 폐쇄시킬수 있도록 작동부재(10-6)의 작동간격만큼 작동홈(11-2)을 형성시킨 카바(11-3)로 구성된다.
배출부(12)는 유도부(11)의 하단에 경사상으로 형성되며 집수부(6A)와 관통되게 형성시킨 배수구(12-1)와, 유도부(11)에 형성되고 배수구(12-1)보다 큰 구경의 환기구(12-2)로 구성되며, 배출구(12)의 외면에는 통상의 배출관재(7)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환기배수수단(8)은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열교환부(4)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집수부(6A)로 떨어져 배출시키게 됨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실내공기의 혼탁시(환기 필요시)에는 본체(2) 전면에 돌출된 작동부재(10-6)를 좌,우로 움직여 선택적으로 환기를 수행하게 된다.
즉, 환기시에 작동부재(10-6)를 우측으로 밀게되면 고정부(10-5)를 힌지고정시킨 작동부재(10-6)의 타단은 좌측으로 이동되므로 그장공(10-4)에 걸림핀(10-2)으로 연결된 연결부재(10-3)는 유입구(9-2)에 밀착된 개폐판재(10-1)를 이동시켜 송풍수단(1)의 토출공기는 흡입부(9)의 유입통로(9-1)를 통해 유도부(11)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유도부(11)의 압력실(11-1)에 들어온 공기는 그 상부가 카바(11-3)로 막혀있으므로 계속되는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일정압력을 유지하게 되므로 압력실(11-1)하부의 환기구(12-2)와 그 외부에 고정시킨 배출관재(7)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어 실내공기의 환기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환기구(12-2)의 내부에는 배출공기의 진행방향으로 배수구(12-1)가 구비되어 배출공기가 진행방향을 역류하며 배수구 고정시킨 배출관재(7)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되어 실내공기의 환기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환기구(12-2)의 내부에는 배출공기의 배출공기가 진행방향을 역류하며 배수구(12-1)를 통해 실내로 재유입되는 문제점의 발생을 우려는 배제된다.
환기 완료후에는 작동부재(10-6)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개폐판재(10-1)로 흡입부(9)의 유입구(9-2)를 패쇄시켜 주게 되므로 실내공기는 배출되지 못하여 정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접수부(6A)에 모인 응축수는 배수구(12-1)를 통해 환기구(12-2) 외면의 배출관재(7)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횐기시에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더욱 상승된 배수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응축수의 배수효율을 향상시키고, 필요에 따라 실내공기의 환기가 가능하면서도 별도의 환기장치 없이 배수와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되어 제작 및 조립공수와 소요자재를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잇점이 있다.

Claims (2)

  1. 본체내에 송풍수단과 열교환부를 구비하여, 흡입된 공기를 냉각토출시키도록하고, 열교환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배수수단에서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6)의 일측에 구비되며 송풍수단(1)의 토출바람 일부를 흡입하여 그 압력에 의해 응축수와 함께 배출되도록한 환기배수수단(8)을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조화기의 환기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배수수단(8)이, 송풍수단(1)의 토출공기를 유입시키는 흡입부(9)와, 필요에 따라 토출공기를 유입, 폐쇄시킬 수 있도록 흡입부(9)를 개폐하는 개폐부(10)와, 유입된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도록 외부확산을 방지하는 유도부(11)와, 배수수단(6)에 집수된 응축수와 유도부(11)에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흡입공기가 배수수단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그 길이를 연장한 배출관재에 인접되게 설치된 배출부(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조화기의 환기 배수 장치.
KR2019890018673U 1989-12-09 1989-12-09 공기 조화기의 환기, 배수 장치 KR910008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673U KR910008396Y1 (ko) 1989-12-09 1989-12-09 공기 조화기의 환기, 배수 장치
CA002031732A CA2031732C (en) 1989-12-09 1990-12-07 Air exhaust and water drain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JP1990400278U JPH0737072Y2 (ja) 1989-12-09 1990-12-10 空気調和機の排気兼用排水装置
US07/624,101 US5117653A (en) 1989-12-09 1990-12-10 Air exhaust and water drain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673U KR910008396Y1 (ko) 1989-12-09 1989-12-09 공기 조화기의 환기, 배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095U KR910012095U (ko) 1991-07-30
KR910008396Y1 true KR910008396Y1 (ko) 1991-10-18

Family

ID=1929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8673U KR910008396Y1 (ko) 1989-12-09 1989-12-09 공기 조화기의 환기, 배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17653A (ko)
JP (1) JPH0737072Y2 (ko)
KR (1) KR910008396Y1 (ko)
CA (1) CA203173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7721A (en) * 1997-12-04 1998-08-04 American Standard Inc. Easily removable drain pan and funnel arrangement
EP1101640B1 (en) * 1999-11-22 2006-04-26 Calsonic Kansei Corporatio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unit
CN100339659C (zh) * 2003-05-20 2007-09-2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用排水装置
US8242089B2 (en) * 2003-06-18 2012-08-14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Sphingolipids polyalkylamine conjugates for use in transfection
KR100826020B1 (ko) * 2006-08-28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4119131A (ja) * 2012-12-13 2014-06-30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9631821B2 (en) * 2014-02-19 2017-04-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Intake drain system and method
CN104534614B (zh) * 2014-11-25 2018-03-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水位控制方法及装置
JP6540888B2 (ja) * 2016-04-05 2019-07-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3676A (en) * 1955-01-26 1956-12-11 John R Boyle Self-contained heating, cooling, and ventilating system
US2909043A (en) * 1958-01-06 1959-10-20 American Air Filter Co Air conditioning unit
JPS56146937A (en) * 1980-04-15 1981-11-14 Toshiba Corp Drain dish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US4553405A (en) * 1983-12-09 1985-11-19 Carrier Corporation Vent assembly for use with an air conditioning unit
US4953364A (en) * 1989-07-05 1990-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ction guide device for dehumidifier
US4907420A (en) * 1988-06-13 1990-03-13 Snyder General Corporation Dual wall evaporator p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6533U (ko) 1992-03-26
KR910012095U (ko) 1991-07-30
JPH0737072Y2 (ja) 1995-08-23
CA2031732A1 (en) 1991-06-10
CA2031732C (en) 1996-10-22
US5117653A (en) 199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2771C2 (ru) Внутренний блок воздушного кондиционера
KR910008396Y1 (ko) 공기 조화기의 환기, 배수 장치
KR100381160B1 (ko) 공기조화기
KR100234970B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 및 지지장치
KR20050024797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146099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후면판 커버장치
KR015670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261700B1 (ko) 공기조화기의 상단 응축수 처리장치
KR100362468B1 (ko)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0239464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KR100293471B1 (ko) 공기조화기의응축수배수장치
JPH02302544A (ja) レンジフード
KR19990041496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JPH0113934Y2 (ko)
KR20020017471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0131270Y1 (ko) 공기조화기
KR200156400Y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받이
KR0136189Y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조립구조
JPS6026395Y2 (ja) 乾燥装置
KR100253007B1 (ko)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JPS6341744A (ja) 個別形空気調和機の吹出装置
KR017586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구 차폐장치
KR0122726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흡입그릴 고정장치
KR200184317Y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KR0139392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