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485Y1 - 복합식 제진기 - Google Patents

복합식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485Y1
KR200155485Y1 KR2019960027333U KR19960027333U KR200155485Y1 KR 200155485 Y1 KR200155485 Y1 KR 200155485Y1 KR 2019960027333 U KR2019960027333 U KR 2019960027333U KR 19960027333 U KR19960027333 U KR 19960027333U KR 200155485 Y1 KR200155485 Y1 KR 200155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screen
wire rope
lifting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7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168U (ko
Inventor
제성호
Original Assignee
제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성호 filed Critical 제성호
Priority to KR2019960027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485Y1/ko
Publication of KR970018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1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4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Abstract

본 고안은 수로상에서 협잡물을 스크린에 걸려서 제거하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갈퀴의 승강 구동은 전동식으로 하여 와이어 로프를 이용해서 수행하고 갈퀴의 개폐(Open,Close)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해서 수행함으로써, 동일 처리 용량을 기준으로 할 때 종래 유압식 제진기나 기계식 제진기에 비하여 소형화할 수있고 이것에 대해서 지상은 물론 지하에도 용이하게 시설 가능하게 한 복합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기계식 제진기의 경우 갈퀴의 인양, 개폐에 관련된 일련의 구동을 기계기구를 이용해서, 수행하기 때문에 그 설비가 크고 또 복잡하고, 지상에 설치하는 것이 통례이며, 지하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불리하다.
한편, 종래 유압식 제진기의 경우에는 갈퀴의 인양, 개폐에 관련된 일련의 설비들이 모두 개별적인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고가이고, 더구나 유압 실린더 작동에 따른 작동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해야 되므로 지상에 설치하는 것이 통례이고, 지하에 설치하는 것은 상기 기계식에 못지않게 불리하다.
본 고안은 갈퀴 인양을 전동기와 와이어 로프 구동방식으로 구현하고, 갈퀴 개폐를 유압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기계식 제진기와 유압식 제진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상과 지하 모두에 설치 가능하며, 그 구성도 간단하고 또 토목, 건축 시설 높이를 낮출 수 있게하여 소형화한 제진기를 제공 한다.

Description

복합식 제진기
본 고안은 수로상에서 협잡물을 스크린에 걸러서 제거하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갈퀴의 승강 구동을 전동식으로 하여 와이어 로프를 이용해서 수행하고 갈퀴의 개폐(open, close)는 유입 실린더를 이용하여 수행하므로서, 동일 처리 용량을 기준으로 할때 종래 유압식 제진기나 기계식 제진기에 비하여 소형화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지상은 물론 지하에도 용이하게 시설 가능하게 한 복합식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진기는 유압식과 기계식으로 구별된다.
기계식 제진기의 경우 갈퀴의 인양, 개폐에 관련된 일련의 구동을 기계 기구를 이용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그 설비가 크고 또 복잡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계식 제진기는 지상에 설치하는 것이 통례이며, 지하에 설치하는 것은 매우 불리하다.
한편, 종래 유압식 제진기의 경우는 국내특허공보 제92-8890호(제목 ; 배수로의 오물 자동수거장치, 1992/10/10)와 국내특허공보 제96-15898호(제목; 배수처리용 제진기, 1996/11/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갈퀴의 인양, 개폐에 관련된 일련의 설비들이 모두 개별적인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고가이고, 더구나 유압 실린더 작동에 따른 작동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해야 되므로 지상에 설치하는 것이 통례이고, 지하에 설치하는 것은 상기 기계식에 못지 않게 불리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기계식 제진기와 유압식 제진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상과 지하 모두에 설치 가능하며, 그 구성도 간단하고 또 토목, 건축 시설 높이를 낮출수 있게 하여 소형화한 복합식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 복합식 제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복합식 제진기에서 갈퀴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고안 복합식 제진기에서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고안 복합식 제진기에서 스크린과 갈퀴의 결합부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고안 복합식 제진기에 있어서, 유압실린더에 의한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의 회전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 복합식 제진기에 있어 갈퀴 브라켓의 승강 구동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복합시 제진기의 일실시예로서 그 구성을 도면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하였다.
제1도를 참조하면, 스크린(1)이 구비되어 있다.
이 스크린(1)은 수로상에서 협잡물을 걸려낼수 있는 조목 또는 세목 구조이며, 수로상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1)에 의해서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승강하게 될 갈퀴(2)가 스크린(1)에 대향하여 설치된다.
상기 갈퀴(2)는 갈퀴 브라켓(3)에 고정되어 있고, 이 갈퀴 브라켓(3)은 스크린(1)과 거의 나란하게 설치된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타고 승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에 선단이 연결된 유압 실린더(5)가 실린더 지지대(9)에 설치되는데, 이 유압 실린더(5)의 로드(5a)가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에 연결되어서 상기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밀고 당긴다.
즉, 유압 실린더(5)의 작동으로 상기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가 중앙 슬라이드 지지대(7)를 회전의 중심점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동됨에 따라 갈퀴 브라켓(3)과 함께 갈퀴(2)가 스크린(1)상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개폐(open, close)작동이 이루어질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갈퀴(2)가 스크린(1)의 상단까지 주행하여 협잡물을 끌어 올렸을 때 이 협잡물을 털어내기 위한 와이퍼(8)가 스크린(1)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그 위로는 갈퀴 구동부(6)가 설치되는데, 이 갈퀴 구동부(6)에서 상기 갈퀴(2)를 스크린(1)과 나란한 방향으로 승강 작동시킨다.
도면 제2도는 이러한 갈퀴 구동부(6)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우선,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의 선단이 중앙 슬라이드 지지대(7)에 부착된 것을 알수 있다.
또, 중앙 슬라이드 지지대(7)의 양쪽이 축(7a)에 의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는 결과적으로 이 축(7a)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각도의 회동(갈퀴 개폐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갈퀴 구동부(6)는 드럼구동수단으로서 전동기(6a)또는 유압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드럼구동수단의 동력원으로 전동기(6a)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동기(6a)의 동력은 와이어 로프(6b)를 감거나 풀어주는 와이어 로프 드럼(6c)을 정역 회전 작동시키며, 와이어 로프(6b)의 끝은 상기 갈퀴 브라켓(3)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면 전동기(6a)의 작동에 의해서 와이어 로프 드럼(6c)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이것에 의해서 와이어 로프(6b)가 와이어 로프 드럼(6c)에 감기거나 풀리기 때문에 그 끝에 매달린 갈퀴(2)와 갈퀴브라켓(3)은 스크린(1)과 나란한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갈퀴 구동부(6)에는 권상 감지 기어(6d)가 구비되며, 또한 업다운(갈퀴 승강)제어를 위한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브라켓 들도 구비되는데, 이러한 기타 구조들은 제진기 설비 기술분야에서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다.
한편, 제3도는 본 고안에서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스크린(1)이 수로상에서 협작물을 걸려낼 수 있는 조목 또는 세목을 가지고 있고, 이 스크린과 나란한 방향으로 유압 실린더(5)에 의해 작동되는 중앙 슬라이드 시각 바아(4)가 설치되며, 이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타고 승강(업/다운)작동하는 갈퀴 브라켓(3)이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중앙에 끼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또, 와이퍼(8)가 스크린(1)의 상단에서 적당히 벗어난 위치에 펼쳐진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실린더 지지대(9)에 유압 실린더(5)가 고정된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면 제4도는 상기 스크린(1)과 갈퀴(2)가 어떻게 물려 있는가를 보여주며, 특히 갈퀴(2)와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갈퀴 브라켓(3)으로 어떻게 결합하는가를 보여준다.
갈퀴 브라켓(3)은 단관 형태로서 그 속에는 일종의 베어링으로서 고분자 폴리에틸렌 슬라이딩 플레이트(10)를 두고 그 안에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가 깨워진다.
또, 갈퀴 브라켓(3)은 연결 브라켓(3a)으로 갈퀴(2)를 고정한다.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에는 실린더 로드(5a)가 선단에 고정되므로 갈퀴 브라켓(3)에 절개부(3b)를 두어 상기 실린더 로드(5a)와의 간섭이 없도록 하였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복합 제진기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로상에서 평상시에는 실린더 개방(open)상태로서 이 상태는 갈퀴(2)가 스크린(1)의 위쪽에 올라가 있고 또 갈퀴(2)끝이 스크린(2)에서 벌어진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1)에 협작물이 걸려지고 이것을 제거하기 위하여 갈퀴 구동부(6)의 드럼구동수단으로서 전동기(6a)가 작동한다.
상기 전동기(6a)가 역회전 작동하여 와이어 로프 드럼(6c)이 와이어 로프(6b)를 풀어주고, 이것에 의해서 갈퀴(2)는 도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타고 스크린(1)의 아래쪽을 향해서 내려간다.
하강하는 갈퀴(2)가 그 하한 위치에 도달하면 이것을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감지하며,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되면 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5)의 작동으로 그 로드(5a)가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스크린(1)쪽으로 밀어서 갈퀴(2)는 다시, 스크린(1)의 하단에서 스크린(1)에 밀착되는 폐쇄(close)상태로 복귀되고, 또 이때 전동기(6a)도 정지된다.
그리고, 전동기(6a)가 정회전하면 와이어 로프 드럼(6c)이 회전하여 와이어 로프(6b)를 감는다.
와이어 로프(6b)가 와이어 로프 드럼(6c)에 감겨지면 와이어 로프(6b) 끝에 매달린 갈퀴(2)는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타고 내려와서 유압 실린더(5)로 갈퀴(2)를 스크린(1)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크린(1)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점차 진행하면서 협잡물을 끌어 올린다(인양).
스크린(1) 상부에 향애 진행한 갈퀴(2)가 스크린(1)의 상단을 지나쳐서 더 올라가면 기계적 작동에 의해 와이퍼(8)가 갈퀴(2)에 탑재된 협작물을 콘베이처(11)로 떨어내고 이때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여 전동기(6a)가 정지된다.
여기서, 드럼구동수단의 실시예인 상기 전동기(6a)가 정지하면 와이어 로프드럼(6c)도 정지되고, 이어서 실린더 개방(open)작동이 수행된다.
즉, 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5)가 작동하여 그 로드(5a)가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실린더 쪽으로 끌어 당기고, 이것에 의해서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는 상단의 지지대(7)-축(7a)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어 이 가이드 바아(4)를 타고 운동하는 갈퀴 브라켓(3)과 함께 갈퀴(2)가 스크린(1)과 나란한 방향에서 스크린(1)과 소정거리 만큼 떨어진다.
위와같은 사이클(cycle)로 본 고안의 제진기는 작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제진기는 드럼구동수단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드럼으로부터 로프가 감기고 풀리면서 갈퀴가 인양되도록 하고 갈퀴 개폐는 유압식 으로 하기 때문에 그 높이가 종래 유압식 제진기에 비하여 극히 낮아지고 종래 기계식 제진기에 비하여 그 구성도 매우 간단하게 된다.
그러므로, 지상은 물론 지하에도 설비가 가능하고 또 저렴한 가격의 좋은 성능의 제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수로상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1)과, 이 스크린(1)과 나란하게 승강하여 협잡물을 제거하는 갈퀴(2)와, 상기 갈퀴(2)에 탑재된 협잡물을 콘베이어(11)로 떨어내는 와이퍼(8)와, 상기 갈퀴(2)를 개폐 및 승강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제진기에 있어서, 일정 경사각으로의 회동이 가능하도록(갈퀴 개폐)유압 실린더(5)에 선단을 축지하되 상기 갈퀴(2)가 스크린(1)과 나란하게 승강 작동되도록 안내하는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구비하고, 와이어 로프(6b)에 의해 상기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타고 승강 작동하도록 갈퀴(2)를 고정시킨 갈퀴 브라켓(3)을 가지며, 상기 중앙 슬라이드 사각 바아(4)를 타고 갈퀴(2)와 갈퀴 브라켓(3)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회전 구동하는 드럼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수동수단의 회전 구동에 따라 정/역 회전하는 와이어 로프 드럼(6c)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로프 드럼(6c)의 정/역 회전에 따라 감기고 풀리면서 상기 갈퀴(2) 및 갈퀴 브라켓(3)을 승강시키는 와이어 로프(6b)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제진기.
KR2019960027333U 1996-08-31 1996-08-31 복합식 제진기 KR200155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333U KR200155485Y1 (ko) 1996-08-31 1996-08-31 복합식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333U KR200155485Y1 (ko) 1996-08-31 1996-08-31 복합식 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168U KR970018168U (ko) 1997-05-26
KR200155485Y1 true KR200155485Y1 (ko) 1999-09-01

Family

ID=1946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7333U KR200155485Y1 (ko) 1996-08-31 1996-08-31 복합식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4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01B1 (ko) 2018-04-13 2019-05-14 경기도 부천시 조합형 바 스크린용 협잡물 제진기
KR102297186B1 (ko) * 2021-01-14 2021-09-01 구미시설공단 제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01B1 (ko) 2018-04-13 2019-05-14 경기도 부천시 조합형 바 스크린용 협잡물 제진기
KR102297186B1 (ko) * 2021-01-14 2021-09-01 구미시설공단 제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168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549B1 (ko) 단일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제진작동과 개폐작동을 병행하는 개폐식 제진기
KR101177923B1 (ko) 제진장치
CN112323902B (zh) 一种建筑用大型挖掘机道路行驶辅助装置
KR200155485Y1 (ko) 복합식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CN112900600A (zh) 一种自清理式雨水箅子
KR20060086578A (ko) 제진기
CN108755627A (zh) 一种水利工程用垃圾过滤装置
KR20020078845A (ko) 일체형 자중 제진기
JPS6033143Y2 (ja) スクリ−ン除塵装置
KR100662884B1 (ko) 복개 하천 콘크리트 박스 퇴적물 수거장비
KR102297186B1 (ko) 제진기
KR200262905Y1 (ko) 침사지용 스크린 제진기의 플레이트 이동장치
KR101124678B1 (ko) 전동식 로터리 제진기
CN216041024U (zh) 一种水利工程施工防水排水装置
JP5692915B2 (ja) 除塵装置
JP2002069975A (ja) 除塵機
KR200239062Y1 (ko)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KR100270178B1 (ko)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KR100615616B1 (ko) 집게형 스크린 제진기
JP2000170139A (ja) 除塵機
RU2180933C1 (ru) Способ сбора и удаления сора из канала или напорного водо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200392043Y1 (ko) 슬러지 수집장치의 와이어 드럼
JPS5931286Y2 (ja) 沈砂掻揚装置
CN113152647B (zh) 一种污水处理用铸铁闸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