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186B1 - 제진기 - Google Patents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186B1
KR102297186B1 KR1020210005369A KR20210005369A KR102297186B1 KR 102297186 B1 KR102297186 B1 KR 102297186B1 KR 1020210005369 A KR1020210005369 A KR 1020210005369A KR 20210005369 A KR20210005369 A KR 20210005369A KR 102297186 B1 KR102297186 B1 KR 102297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riving
push plate
dust
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용
김태정
Original Assignee
구미시설공단
주식회사 동하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미시설공단, 주식회사 동하이엔지 filed Critical 구미시설공단
Priority to KR1020210005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시설 또는 배수펌프시설 등의 유입수로 및 다양한 형태의 개수로에 설치하여 수류에 혼재되어 유입되는 먼지 및 협잡물, 각종 오염물질 등과 같은 진개물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는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플레이트(20) 전측에 스크린(26)을 경사지게 설치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20)에 회동붐대(3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회동붐대(30)가 스크린(26)의 전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0) 일측에 권취모터(21)에 의해 구동하는 권취드럼(22)을 설치하며, 상기 회동붐대(30)에 결합되는 승강대차(31)의 상면에 상기 권취드럼(22)에 권취된 와이어로프(23)의 단부를 결합하여 권취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승강대차(31)가 승강하면서 승강대차(31)에 설치된 레이크(32)에 의해 스크린(26)에 걸러진 진개물이 수거되게끔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크린이 유입수로 또는 개수로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스크린의 전측에 별도 설치되어 구동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필요에 따라 회전구동하도록 한 회동붐대 상에서 필요 시점에 승강하도록 한 레이크에 의해 스크린에 걸려진 진개물의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스크린과 유입수로 또는 개수로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진개물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처리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진기{dust separator}
본 발명은 상/하수처리시설 또는 배수펌프시설 등의 유입수로나 관개시설의 개수로에 설치하여 수류에 혼재되어 부유·유입되는 먼지 및 각종 오염물질 등과 같은 진개물(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진기에 관한 발명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진개물을 걸러주기 위한 스크린과 외이어로프에 의해 승강하는 레이크를 이용해 수류에 혼재된 진개물을 제거하여 줄 수 있도록 발명한 제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수도취수시설 및 하수처리시설, 배수펌프장, 관개용수로, 하수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는 유입되는 수류에 혼재되어 부유·유입되는 진개물을 걸러주기 위해‘제진기’라는 수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수류에 대한 1차 수처리를 진행하고 있다.
통상의 제진기는 유입수로 또는 개수로의 양측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설치하여, 상기 프레임에 수류에 혼재되어 부유·유입되는 진개물을 걸러내기 스크린을 설치하고, 상기 스크린의 양측 가이드레일에 체인을 설치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게 하며, 상기 체인에 스크린에 걸러진 진개물을 제거해주기 위한 레이크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레이크에 의해 수거된 진개물을 배출하여 주기 위한 배출컨베이어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종래의 제진기는 스크린에 걸린 진개물을 제거하기 위한 레이크를 복수개로 형성하여 스크린의 주변을 회동하는 로터리형 레이크에 의해 진개물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유입수로 또는 개수로의 바닥면과 스크린의 하방 사이에는 레이크의 통과를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위 공간을 통해서 진개물이 통과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진개물이 많을 경우에는 복수의 레이크를 회동구동시켜 주기 위한 구동모터에 상당한 부하가 걸려 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진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의해 창출한 것으로서, 스크린이 유입수로 또는 개수로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스크린의 전측에 설치되어 회전구동하도록 한 회동붐대 상에서 필요 시점에 승강하도록 한 레이크에 의해 스크린에 걸려진 진개물의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진개물의 통과를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설비의 내구성을 증진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제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플레이트 전측에 진개물을 걸러주기 위한 스크린을 경사지게 설치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붐대지지축에 회동붐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일측에 와이어로프가 권취된 권취드럼을 설치하여, 권취드럼이 권취모터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하게 구성하며, 상기 회동붐대에 설치되는 승강대차의 상면에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된 와이어로프의 단부를 결합하여 권취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대차의 승강이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대차의 후방에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밀착하는 레이크를 설치하여 구성하며, 상기 회동붐대 전방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전측에 밀판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후단에 브라켓을 구비하는 구동실린더의 구동 로드를 상기 밀판에 결합하여, 구동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동붐대가 붐대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하방에 설치되는 배출실린더의 구동 로드에 레이크 상면의 진개물을 긁어서 배출시켜 주기 위한 배출스크레이퍼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실린더 및 스크레이퍼의 하방에 배출스크레이퍼에 의해 배출되는 진개물을 수거 바스켓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배출컨베이어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진기는 스크린이 유입수로 또는 개수로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스크린의 전측에 별도 설치되어 구동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필요에 따라 회전구동하도록 한 회동붐대 상에서 필요 시점에 승강하도록 한 레이크에 의해 스크린에 걸려진 진개물의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스크린과 유입수로 또는 개수로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진개물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처리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 시점에 단일의 레이크를 상,하로 구동시켜 진개물을 수거하기 때문에 권취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구동실린더의 스트로크에 의해 레이크를 스크린에 완전하게 밀착시켜 줄 수 있어 진개물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충쇼버를 적용하여 기준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적체되더라도 구동실린더에 작용하는 과도한 힘을 완충하여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 및 밀판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실린더 및 배출스크레이퍼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진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진기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향유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진기(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수처리시설 또는 배수펌프시설 또는 관개시설의 구조물(C) 상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20) 전측에 복수의 띠형 판재를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조합하여 구성한 스크린(26)을 경사지게 설치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20)에 마련되는 붐대지지축(25)에 회동붐대(3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회동붐대(30)가 스크린(26)의 전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0) 일측에 와이어로프(23)가 권취된 권취드럼(22)을 설치하여, 권취드럼(22)이 권취모터(21)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하게 구성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붐대(30)에는 승강대차(31)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승강대차(31)의 상면에 상기 권취드럼(22)에 권취된 와이어로프(23)의 단부를 결합하여 권취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승강대차(31)의 승강이 제어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대차(31)의 후방에 상기 스크린(26)의 전면에 밀착하는 레이크(32)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동붐대(30) 전방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3) 전측에 밀판(35)을 설치하고, 상/하수처리시설 또는 배수펌프시설 또는 관개시설의 구조물(C)에 결합되는 브라켓(37b)을 구비하는 구동실린더(37)의 구동 로드(37a)를 상기 밀판(35)에 결합하여, 구동실린더(37)의 구동에 의해 회동붐대(30)가 붐대지지축(2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지지프레임(33) 상에 설치되는 밀판(35)은 그 상단부를 지지프레임(33) 전측에 마련되는 밀판고정축(3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밀판(35)의 하단부 후면과 지지프레임(33) 전면 사이에 완충쇼버(36)를 설치함으로써 완충쇼버(36)에 셋팅된 이동간격 만큼 밀판(35)이 밀판고정축(34)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도 2 참조)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배출실린더(27) 및 배출스크레이퍼(28)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0) 하방에 배출실린더(27)를 설치하여, 배출실린더(27)의 구동 로드에 레이크(32) 상면의 진개물을 긁어서 배출시켜 주기 위한 배출스크레이퍼(28)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실린더(27) 및 스크레이퍼(28)의 하방에 배출스크레이퍼(28)에 의해 배출되는 진개물을 수거용 바스켓(B)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배출컨베이어(29)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도 4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진기(10)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다리를 이용해 상/하수처리시설 또는 배수펌프시설 또는 관개시설의 구조물(C) 상에 부양되게끔 지지플레이트(20)를 설치하고, 스크린(26)의 저부가 유입수로(W) 또는 개수로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설치하며, 배출실린더(27)의 일측에 수거용 바스켓(B)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상세한 작용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유입수로(W) 또는 개수로를 따라 유입되는 수류에 혼재된 진개물이 스크린(26)에 걸러져 그 양이 일정 기준에 이른 상태에서 장치를 가동시키면, 구동실린더(37)의 구동 로드(37a)가 수축하여 구동 로드(37a)에 결합된 밀판(35)을 당겨주어 회동붐대(30)가 붐대지지축(25)을 중심으로 회전상승하여 회동붐대(30)와 스크린(26) 사이에 공간이 확보된다.(도 5 [B] 참조)
회동붐대(30)의 회전상승이 완료되면 권취모터(21)의 구동에 의해 권취드럼(22)에 권취된 와이어로프(23)가 풀어져 와이어로프(23) 단부에 결합된 승강대차(31)가 회동붐대(30)를 따라 하강하고, 승강대차(31)의 하강이 완료되면 권취모터(21)의 구동이 중단됨과 동시에 구동실린더(37)의 구동 로드(37a)가 신장하여 구동 로드(37a)에 결합된 밀판(35)을 밀어주어 회동붐대(30)가 붐대지지축(25)을 중심으로 회전하강하여 승강대차(31)에 설치된 레이크(32)가 스크린(26) 전면에 밀착된다.(도 5 [A] 참조)
회동붐대(30)의 회전하강이 완료되면 권취모터(21)의 구동에 의해 구동하는 권취드럼(22)에 와이어로프(23)가 감기면서 와이어로프(23) 단부에 결합된 승강대차(31)가 회동붐대(3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승강대차(31)에 결합된 레이크(32)가 스크린(26)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배출실린더(27)의 구동에 의해 배출스크레이퍼(28)가 구동하여 레이크(32)에 의해 수거된 진개물을 긁어서 배출컨베이어(29) 상으로 배출하며, 배출스크레이퍼(28)의 구동이 완료되면 배출모터(미도시됨)에 의해 구동하는 배출컨베이어(29)가 구동하여 배출컨베이어(29) 상에 적재된 진개물을 수거용 바스켓(B)으로 배출하여 준다.
상기와 같은 진개물의 수거과정에서 구동실린더(37)의 스트로크에 의해 레이크(32)를 스크린(26)에 완전하게 밀착시켜 줄 수 있어 진개물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동붐대(30)를 눌러주는 밀판(35)에 완충쇼버(36)를 적용하여 진개물의 수거과정에서 기준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적체되더라도 구동실린더(37)에 작용하는 과도한 힘을 완충하여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모터(21) 및 구동실린더(37), 배출실린더(27) 및 배출컨베이어(29)의 순차적이고 유기적인 작용관계는 전용 프로그램(PLC), 전기적인 시퀀스 등을 통해 구현 가능한 것으로, 프로그램적인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진기는 전술하고 있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 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며, 본 발명에서 향유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인바,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제진기 20: 지지플레이트
21: 권취모터 22: 권취드럼
23: 와이어로프 24: 고정프레임
25: 붐대지지축 26: 스크린
27: 배출실린더 28: 배출스크레이퍼
29: 배출컨베이어 30: 회동붐대
31: 승강대차 32: 레이크
33: 지지프레임 34: 밀판고정축
35: 밀판 36: 완충쇼버
37: 구동실린더

Claims (2)

  1. 상/하수처리시설 또는 배수펌프시설 또는 관개시설의 구조물(C) 상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20) 전측에 복수의 띠형 판재를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조합하여 구성한 스크린(26)을 경사지게 설치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20)에 마련되는 붐대지지축(25)에 회동붐대(3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회동붐대(30)가 스크린(26)의 전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0) 일측에 와이어로프(23)가 권취된 권취드럼(22)을 설치하여, 권취드럼(22)이 권취모터(21)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하게 구성하며, 상기 회동붐대(30)에 승강대차(31)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승강대차(31)의 상면에 상기 권취드럼(22)에 권취된 와이어로프(23)의 단부를 결합하여 권취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승강대차(31)의 승강이 제어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대차(31)의 후방에 상기 스크린(26)의 전면에 밀착하는 레이크(32)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회동붐대(30) 전방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3) 전측에 밀판(35)을 설치하여 구성하며, 상/하수처리시설 또는 배수펌프시설 또는 관개시설의 구조물(C)에 결합되는 브라켓(37b)을 구비하는 구동실린더(37)의 구동 로드(37a)를 상기 밀판(35)에 결합하여, 구동실린더(37)의 구동에 의해 회동붐대(30)가 붐대지지축(2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0) 하방에 배출실린더(27)를 설치하여, 배출실린더(27)의 구동 로드에 레이크(32) 상면의 진개물을 긁어서 배출시켜 주기 위한 배출스크레이퍼(28)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실린더(27) 및 스크레이퍼(28)의 하방에 배출스크레이퍼(28)에 의해 배출되는 진개물을 수거 바스켓(B)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배출컨베이어(29)를 설치하여 구성한 제진기(10)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3) 상에 설치되는 밀판(35)은 그 상단부를 지지프레임(33) 전측에 마련되는 밀판고정축(3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밀판(35)의 하단부 후면과 지지프레임(33) 전면 사이에 완충쇼버(36)를 설치하여 완충쇼버(36)에 셋팅된 이동간격 만큼 밀판(35)이 밀판고정축(34)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2. 삭제
KR1020210005369A 2021-01-14 2021-01-14 제진기 KR102297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369A KR102297186B1 (ko) 2021-01-14 2021-01-14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369A KR102297186B1 (ko) 2021-01-14 2021-01-14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186B1 true KR102297186B1 (ko) 2021-09-01

Family

ID=7777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369A KR102297186B1 (ko) 2021-01-14 2021-01-14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1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3513A (ja) * 1997-05-23 1998-12-08 Hazama Kisetsu Kogyo Kk モノレーキ除塵機
KR200155485Y1 (ko) * 1996-08-31 1999-09-01 제성호 복합식 제진기
KR200168471Y1 (ko) * 1999-08-26 2000-02-15 주식회사성광엔비텍 복합식 제진기의 와이퍼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485Y1 (ko) * 1996-08-31 1999-09-01 제성호 복합식 제진기
JPH10323513A (ja) * 1997-05-23 1998-12-08 Hazama Kisetsu Kogyo Kk モノレーキ除塵機
KR200168471Y1 (ko) * 1999-08-26 2000-02-15 주식회사성광엔비텍 복합식 제진기의 와이퍼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204Y1 (ko) 부상식 차단부를 갖는 다단식 로터리 제진기
KR102285379B1 (ko) 협잡물겸 침사 수거용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KR100649667B1 (ko) 갈퀴청소구가 설치된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KR102297186B1 (ko) 제진기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0896740B1 (ko) 유압식 더블암 제진기
CN219653848U (zh) 一种路面排水设施
CN210145589U (zh) 一种矿山生活污水过滤装置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101257759B1 (ko) 수직 개폐형 로터리 제진기
KR20190129514A (ko)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
KR20150021267A (ko) 로터리 제진기
KR20230018708A (ko) 로터리 제진기 장치
CN206784348U (zh) 一种河道清污机
CN113262572A (zh) 一种压缩空气流用的异物分离过滤装置
CN219815438U (zh) 一种泥沙收集器
KR101746463B1 (ko) 스크린 배면청소유니트가 구비된 제진기
KR200332448Y1 (ko) 제진기의 레이크 가이드 봉 세척 장치
JP4468905B2 (ja) 水路における異常水位時のバイパスゲート
CN219848371U (zh) 一种闸门净水机构
CN220723752U (zh) 一种污水处理沉淀反应池污泥残渣清理装置
KR200346684Y1 (ko) 수로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2386993B (zh) 一种自清洁污水过滤装置
KR102419733B1 (ko) 취수구 이물질 유입방지용 2단 덤프 기능을 탑재한 트래쉬 랙 및 그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