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437Y1 -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437Y1
KR200155437Y1 KR2019970007523U KR19970007523U KR200155437Y1 KR 200155437 Y1 KR200155437 Y1 KR 200155437Y1 KR 2019970007523 U KR2019970007523 U KR 2019970007523U KR 19970007523 U KR19970007523 U KR 19970007523U KR 200155437 Y1 KR200155437 Y1 KR 200155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ignal
unit
signal input
machin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079U (ko
Inventor
박영승
Original Assignee
김재복
기아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기아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19970007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43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0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4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23Q15/225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in feed control, i.e. approaching of tool or work in successive decreasing velocity ste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2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g. centring a tool relative to a hole in the workpiece, additional detection means to correct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작업물(10)의 이동상태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위치 방식의 감지센서(20)와, 상기한 감지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펄스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40)와, 상기한 감지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유지시키는 신호 유지부(80)와, 상기한 펄스 발생부(40)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작업물(10)이 정지되도록 한 뒤에 상기한 신호 유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물(10)을 후진시키면서 정확한 위치를 잡도록 제어하는 제어부(90)와, 상기한 제어부(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작업물(10)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브레이크부(60)와, 상기한 제어부(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작업물(1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물체 이동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물을 전후진시키면서 위치가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안에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
이 고안은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물을 전후진시키면서 위치가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안에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수치제어 공작기계가 산업현장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수치제어 공작기계에는, 작업물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위치 제어장치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의 구성은, 작업물(10)의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 방식의 감지센서(20)와, 상기한 감지센서(20)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30)와, 상기한 증폭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발생부(40)와, 상기한 펄스 발생부(4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50)와, 상기한 제어부(5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브레이크부(60) 및 물체 이동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동작이 시작되어 제어부(50)가 물체 이동부(70)를 구동시키면 작업물(10)이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감지센서(20)는 작업물(10)이 접촉되어 감지되는 경우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증폭부(30)는 상기한 감지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펄스 발생부(40)는 상기한 증폭부(3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하나의 펄스를 생성하여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제어부(50)는 펄스 발생부(40)로부터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브레이크부(60)를 구동하여 작업물(10)이 정지되도록 한 뒤에, 일정거리만큼 작업물(10)이 뒤로 이동되도록 물체 이동부(70)를 구동한 뒤에, 다시 작업물(10)을 천천히 앞으로 이동시키다가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작업물(10)이 완전히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물(10)이 정확하게 제위치에 정지될 수 있도록 이를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 장치는, 작업물을 반복적으로 전진/후진시키면서 정확한 위치를 잡는데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물을 전후진시키면서 위치가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안에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물 20 : 감지센서
30 : 증폭부 40 : 펄스 발생부
50,90 : 제어부 60 : 브레이크부
70 : 물체 이동부 80 : 신호 유지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작업물(10)의 이동상태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위치 방식의 감지센서(20)와, 상기한 감지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펄스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40)와, 상기한 감지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유지시키는 신호 유지부(80)와, 상기한 펄스 발생부(40)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작업물(10)이 정지되도록 한 뒤에 상기한 신호 유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물(10)을 후진시키면서 정확한 위치를 잡도록 제어하는 제어부(90)와, 상기한 제어부(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작업물(10)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브레이크부(60)와, 상기한 제어부(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작업물(1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물체 이동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와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자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의 구성은, 작업물(10)의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 방식의 감지센서(20)와, 상기한 감지센서(20)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30)와, 상기한 증폭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발생부(40)와, 상기한 증폭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유지시키는 신호 유지부(80)와, 상기한 펄스 발생부(40) 및 신호 유지부(8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90)와, 상기한 제어부(9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브레이크부(60) 및 물체 이동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어부(90)는 내부에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와 메모리(memory)가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사용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90)의 내부 메모리에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이 제어부(9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90)는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킨 뒤에 물체 이동부(70)를 구동시킴으로써 작업물(10)이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감지센서(20)는 작업물(10)이 접촉되어 감지되는 경우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증폭부(30)는 상기한 감지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펄스 발생부(40)는 상기한 증폭부(3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하나의 펄스를 생성하여 제어부(50)로 출력하고, 신호 유지부(80)는 감지센서(20)가 작업물(10)을 감지하지 못하게 될 때 까지 상기한 신호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펄스 발생부(40)로부터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브레이크부(60)를 구동하여 작업물(10)이 정지되도록 한 뒤에, 신호 유지부(8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까지 작업물(10)이 뒤로 이동되도록 물체 이동부(70)를 구동한다. 작업물(10)이 뒤로 이동하여 감지센서(20)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신호 유지부(80)로부터 신호가 중지되고, 이때 제어부(90)는 작업물(10)이 완전히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물(10)이 빠른 시간안에 정확하게 제위치에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물을 전후진시키면서 위치가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안에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러한 효과는 수치제어 공작기계 분야에서 이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3)

  1. 작업물(10)의 이동상태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위치 방식의 감지센서(20)와, 상기한 감지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펄스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40)와, 상기한 감지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유지시키는 신호 유지부(80)와, 상기한 펄스 발생부(40)로부터 이별되는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작업물(10)이 정지되도록 한 뒤에 상기한 신호 유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물(10)을 후진시키면서 정확한 위치를 잡도록 제어하는 제어부(90)와, 상기한 제어부(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작업물(10)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브레이크부(60)와, 상기한 제어부(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작업물(1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물체 이동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한 감지센서(20)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증폭부(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부(90)는 내부에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와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
KR2019970007523U 1997-04-11 1997-04-11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 KR200155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523U KR200155437Y1 (ko) 1997-04-11 1997-04-11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523U KR200155437Y1 (ko) 1997-04-11 1997-04-11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79U KR19980063079U (ko) 1998-11-16
KR200155437Y1 true KR200155437Y1 (ko) 1999-09-01

Family

ID=19498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523U KR200155437Y1 (ko) 1997-04-11 1997-04-11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4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79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7609601L (sv) Anordning vi fleroperationsmaskin
CA2152282A1 (en) Fast response weld head
EP1803519A3 (en) Controller for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DE102004043076A1 (de)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Laserstrahlbearbeitungsvorgangs
EP0068026A4 (en) ROBOT CONTROL SYSTEM.
JP4296072B2 (ja) 電動プレス
KR200155437Y1 (ko) 수치제어 공작기계에서의 작업물의 위치 제어장치
EP0618522A4 (en) NUMERIC CONTROL DEVICE.
JPH0679788B2 (ja) 自動溶接機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ATE63712T1 (de) Handgeraet.
ES420574A1 (es) Sistema automatico de alimentacion de barras metalicas a una maquina-herramienta.
GB1323968A (en) Controlling arcing conditions in electro-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KR0132901B1 (ko) 수치 제어 장치
KR900017718A (ko) 플라즈마 절단방법 및 플라즈마절단장치
JPS582907A (ja) 数値制御工作機械および工作機械の制御方法
JPS6297004A (ja) 数値制御される移動体の原点復帰制御装置
JPS56114640A (en) Machine tool equipped with tool magazine
SU76675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дроблени стружки
SU75360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длиной продольного хода стола шлифовального станка
KR840000322A (ko) 방전 가공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910009510Y1 (ko) 간헐적 절삭유 공급 제어장치
JP2501337Y2 (ja) 放電加工機用制御装置
KR950014987B1 (ko) 절단기 및 그 절단기에 절단할 소재의 선단부를 위치시키는 방법
SU59181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приводом
SU294428A1 (ru) Электроэрозионный стан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