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190Y1 -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190Y1
KR200155190Y1 KR2019950052380U KR19950052380U KR200155190Y1 KR 200155190 Y1 KR200155190 Y1 KR 200155190Y1 KR 2019950052380 U KR2019950052380 U KR 2019950052380U KR 19950052380 U KR19950052380 U KR 19950052380U KR 200155190 Y1 KR200155190 Y1 KR 200155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sh pad
mounting structure
pad mounting
clip
bod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2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1920U (ko
Inventor
주용운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52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190Y1/ko
Publication of KR9700419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19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10)에 관한 것이다. 차체 패널(16)에 클립(14)이 고정되며, 상기 클립(14)에 크래시 패드(12)에 형성되는 보스부(20)가 끼워진다.

Description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
제 1 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착용 구조물 12 : 크래시 패드
14 : 장착용 클립 16 : 차체 패널
18 : 윈드 실드 글래스 20 : 보스부
50 : 장착용 구조물 52 : 크래시 패드
54 : 스크루우 56 : 차체 패널
58 : 윈드 실드 글래스
본 고안은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간단한 구조로 크래시 패드를 차체 패널에 대해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장착시키므로써 조립성을 개선하며 장착위치의 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크래시 패드 장착부위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crash pad mounting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크래시 패드는 스킨 및 폼으로 구성되는 발포형 크래시 패드 즉 연성 크래시 패드와 플래스틱으로 제공되는 경성 크래시 패드로 나누어지게 된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선행기술에 따른 장착용 구조물(50))은 스크루우(54)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루우(54)에 의해 크래시 패드(52)는 차체 패널(56)에 장착된다. 도면부호 58은 윈드 실드 글레스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50)에 있어서는, 크래시 패드(52)가 스크루우(54)에 의해 차체 패널(56)에 장착되기 때문에, 사출성형이 필요하게 되며, 장착위치의 선정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스크루우 삽입부에서 크래시 패드(52)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긴단한 구조로 크래시 패드를 차체 패널에 대해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장착시키므로써 조립성을 개선하며 장착위치의 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크래시 패드 장착부위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라,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이 제공되고; 상기 장착용 구조물은, 차채 패널에 클립이 고정되며, 상기 클립에 크래시 패드에 형성되는 보스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에 따라, 크래시 패드에 형성되는 보스부가 차체 패널에 고정되는 클립에 끼워지게 되므로써, 간단한 구조로 크래시 패드가 차체 패널에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게 되어, 조립성이 개선되며, 크래시 패드 장착위치의 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크래시 패드 장착부위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10)은 장착용 클립(14)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용 클립(14)은 차체 패널(16)에 고정되고, 크래시 패드(12)의 내면에는 보스부(20)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용 클립(l4)이 차체 패널(16)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용 클립(14)에 상기 보스부(20)가 끼워지게 되므로써, 크래시 패드(12)는 차체 패널(16)에 장착된다. 도면부호 18은 윈드 실드 글래스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크래시 패드에 형성되는 보스부가 차체 패널에 고정되는 클립에 끼워지게 되므로써, 간단한 구조로 크래시 패드가 차제 패널에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게 되어, 조립성이 개선되며, 크래시 패드 장착위치의 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크래시 패드 장착부위의 손상이 방지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에 있어서, 차체 패널에 클립이 고정되며, 상기 클립에 크래시 패드에 형성되는 보스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
KR2019950052380U 1995-12-29 1995-12-29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 KR200155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2380U KR200155190Y1 (ko) 1995-12-29 1995-12-29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2380U KR200155190Y1 (ko) 1995-12-29 1995-12-29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920U KR970041920U (ko) 1997-07-29
KR200155190Y1 true KR200155190Y1 (ko) 1999-08-16

Family

ID=1944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2380U KR200155190Y1 (ko) 1995-12-29 1995-12-29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1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920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5190Y1 (ko)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
KR200155016Y1 (ko) 차량용 트림 체결 볼트 커버
KR0182216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져 리테이너
KR0138793Y1 (ko) 크래시 패드 장착용 구조물
JPH0597060A (ja) カウルルーバ
JPH03833Y2 (ko)
KR0126604Y1 (ko) 자동차의 프론트필라 트림 장착구조
KR0139588Y1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KR970003169Y1 (ko) 차량의 카폰설치구조
KR0139419Y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단부 보강 구조
JP2577876Y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KR200158186Y1 (ko) 고정용 홀더
KR19990041323A (ko) 자동차의 카울 마운팅용 몰딩구조
JPS63148514U (ko)
KR19980062469A (ko) 인스트러먼트판넬 바디의 마운팅구조
JPS62194108U (ko)
KR19980068376U (ko) 자동차 윈드 쉴드 글라스 지지용 스페이서
KR19990023754U (ko) 자동차용 와셔 모터 장착 구조
KR19980052145U (ko) 자동차용 레귤레이터 스토퍼
KR19980026766U (ko) 프레임레스 도어의 쿼드런트 인너커버 장착구조
KR970041936A (ko) 자동차의 스포일러 고정구조
JPH032812U (ko)
JPH01142311U (ko)
KR19980042686U (ko) 차량용 그로브 박스
KR19980062468A (ko) 자동차의 카폰용 트레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