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013Y1 - 자동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013Y1
KR200155013Y1 KR2019950039316U KR19950039316U KR200155013Y1 KR 200155013 Y1 KR200155013 Y1 KR 200155013Y1 KR 2019950039316 U KR2019950039316 U KR 2019950039316U KR 19950039316 U KR19950039316 U KR 19950039316U KR 200155013 Y1 KR200155013 Y1 KR 200155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mount
control system
electronic contro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9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385U (ko
Inventor
염찬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9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013Y1/ko
Publication of KR9700363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3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0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8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electro-magneti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2Active or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Distance control
    • B60T2201/022Collision avoida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자동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충돌시 충격량을 감지하여 충격량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과; 상기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전개되는 에어백(2)과; 상기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전자력에 의해 열리고 스프링에 의해 닫혀서 제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의 개폐에 따라 제동이 이루어지는 브레이크(4)로 구성되어, 사고 이외의 상황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하여 운전자의 시계가 가려져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는 자동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제동장치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동장치의 구성도이고,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동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ESPS 2 : 에어백
3 : 솔레노이드 밸브 4 : 브레이크
이 고안은 자동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사고 이외의 상황에서 에어백이 전개되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자동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은 차가 충돌할 때 순간적으로 크게 부풀어 올라 승차원이 차내의 구조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충돌 사고가 발생할 때 에어백이 순간적으로 전개되어 승차원이 차내의 구조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의 상해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사고 이외의 상황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여 보다 큰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고 이외의 상황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작동되어 브레이크를 걸어주는 자동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고안의 구성은, 충돌시 충격량을 감지하여 충격량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ESPS, Electronic Single Point Sensing system)과; 상기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전개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전자력에 의해 열리고 스프링에 의해 닫혀서 제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에 따라 제동이 이루어지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동장치의 구성도이다.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동장치의 구성은, 충돌시 충격량을 감지하여 충격량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과; 상기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전개되는 에어백(2)과; 상기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전자력에 의해 열리고 스프링에 의해 닫혀서 제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의 개폐에 따라 제동이 이루어지는 브레이크(4)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동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동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은 충돌시 충격량을 감지하여 충격량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한다.
먼저 전원이 공급되면,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은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충격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S1)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은 상기 제1단계(S1)에서 결정된 전기적인 신호를 판독하여, 기준치와 비교할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한다.(S2)
그 다음, 상기 제2 단계(S2)에서 검출된 충격량을 에어백이 작동하여야 하는 기준 충격량과 비교한다.(S3)
상기 제3 단계(S3)에서 검출된 충격량이 기준 충격량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1 단계(S3)로 제어를 옮겨서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계속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3 단계(S3)에서 검출된 충격량이 기준 충격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은 에어백(2)을 작동시키는 전기적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4)
또한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은 솔레노이드 밸브(3)를 제어하는 전기적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5)
상기 제5 단계(S5)에서의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의 제어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3)는 솔레노이드의 전자력에 의해 열리고 스프링에 의해 닫혀서 제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브레이크(5)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에 따라 제동이 이루어진다.(S6)
상기와 같은 제어를 통해, 에어백(2)이 작동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브레이크(5)가 걸려 제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의 시계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사고 이외의 상황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하여 운전자의 시계가 가려져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 자동 제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충돌시 충격량을 감지하여 충격량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과; 상기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전개되는 에어백(2)과; 상기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전자력에 의해 열리고 스프링에 의해 닫혀서 제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의 개폐에 따라 제동이 이루어지는 브레이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전자 제어 시스템(1)은,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충격량을 판독하여 기준치와 비교할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하여 에어백이 작동하여야 하는 기준 충격량과 비교한 후에, 검출된 충격량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계속 감지하게 되고, 검출된 충격량이 기준 충격량이 기준 충격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에어백(2)과 솔레노이드 밸브(3)를 작동시키는 전기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브레이크(5)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동장치.
KR2019950039316U 1995-12-08 1995-12-08 자동 제동장치 KR200155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316U KR200155013Y1 (ko) 1995-12-08 1995-12-08 자동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316U KR200155013Y1 (ko) 1995-12-08 1995-12-08 자동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385U KR970036385U (ko) 1997-07-26
KR200155013Y1 true KR200155013Y1 (ko) 1999-08-16

Family

ID=1943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9316U KR200155013Y1 (ko) 1995-12-08 1995-12-08 자동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0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385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93681A (en) A safety arrangement for a vehicle
JP3392180B2 (ja) 車両用安全装置の制御システム
KR100492501B1 (ko) 차량용 승차자 보호시스템
KR200155013Y1 (ko) 자동 제동장치
EP1112897B1 (en) Device for controlling expansion of an air bag apparatus
JP4062139B2 (ja) 乗員保護装置
US6535115B1 (en) Air bag having excessive external magnetic field protection circuitry
KR100496338B1 (ko) 자동차 에어백 제어방법
JP3749972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の作動装置
KR20100016982A (ko) 차량의 액티브 후드 전개 시스템
GB2356075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 control system within a vehicle
KR100210930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전개 시스템
KR100229467B1 (ko) 이중 인플레이터형 사이드 에어백의 인플레이터 작동방법
KR0124478B1 (ko) 전원 단선시 오동작 방지장치
JP3156564B2 (ja) エアバッグ装着車の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装置
KR100282814B1 (ko) 유아 탑승 검출 기능을 가진 에어백 시스템
JPH09315262A (ja) 乗員保護装置
KR100210938B1 (ko) 차량 충돌시 승객 보호 방법
KR100227908B1 (ko) 상하 충격에 의한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028178B1 (ko) 에어백 동작 제어 방법
KR101028368B1 (ko) 에어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9980050277U (ko) 자동차 안전벨트 미착용시 엔진시동 제어장치
KR20030016487A (ko) 자동차 에어백 제어방법
KR20040094480A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전개 제어방법
KR19980029329A (ko)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