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003Y1 - 숯 착화장치 - Google Patents

숯 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003Y1
KR200155003Y1 KR2019970009499U KR19970009499U KR200155003Y1 KR 200155003 Y1 KR200155003 Y1 KR 200155003Y1 KR 2019970009499 U KR2019970009499 U KR 2019970009499U KR 19970009499 U KR19970009499 U KR 19970009499U KR 200155003 Y1 KR200155003 Y1 KR 200155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outer cylinder
ignition
inner cylinder
igni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932U (ko
Inventor
이영길
Original Assignee
이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길 filed Critical 이영길
Priority to KR2019970009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003Y1/ko
Publication of KR970043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0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2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for ignit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2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목적] 고기구이전문 업소용으로 적합한 숯 착화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착화용이, 숯을 장전할 때의 낙하충격으로 인한 부스러짐의 억제, 철저한 화상방지, 낙재(落灰)의 완전한 수집, 불붙은 숯을 꺼낼 때의 낙진의 누출억제면에서 효과가 탁월한 숯 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 내통(1)의 바닥에 밑불씨대용의 전기가열체(3)를 설치하여 외통(2)에 수납하고, 외통(2)의 투입구(7) 밑 주위에는 투입되는 숯의 완충용 깔데기(4)를 설치하며, 전기가열체(3)의 바로 위쪽 내통(1)과 외통(2)의 주벽을 일부 틔워서 착화숯 인출구로 삼고 이들간에 인출슈트(13)를 설치하며, 전기가열체(3) 밑을 지나 인출슈트(13)에 이르는 L형 급기관(5)을 내통(1)에 설치하며, 상기 내통(1)과 외통(2)을 물 담는 재통(6)에 탑재한 숯 착화장치이다.

Description

숯 착화장치
본 고안은 고기구이전문 업소용으로 적합한 숯 착화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착화용이, 숯을 장전할 때의 낙하충격으로 인한 부스러짐의 억제, 철저한 화상방지, 낙재(落灰)의 완전한 수집, 불붙은 숯을 꺼낼 때의 낙진의 누출억제면에서 효과가 탁월한 숯 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류 등의 구이물을 숯불로 굽는 전문업소에서 숯에 불을 붙이는 작업을 유심히 들여다보면 소형 화덕의 바닥에 밑불씨를 놓고 그 위에 숯을 쏟아 부은 다음에 부채질, 풍구 바람 혹은 송풍기에 의한 인공풍을 밑불씨 쪽으로 공급하여 밑불씨의 불이 숯에 옮겨 붙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숯 착화방법은 숯불 피우기가 비능률적이고, 또한 착화가 화덕단위로 이뤄지기 때문에 찾은 손님이 다수일 때는 그 많은 주문을 일시에 대기가 곤란하다.
숯불을 피우다보면 가벼운 불꽃가루가 화기의 상승기류와 바람에 날려 손, 얼굴에 닿으면 따갑고 불꽃가루가 식은 재가 눈에 들어가서 원치 않는 매운 눈물이 나게 할뿐더러 사방으로 재가 날려 화덕 주변을 더럽히기도 한다. 이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은 착화를 촉진시키려고 숯을 뒤적일 때, 착화촉진용 바람이 거셀 때, 숯을 장전할 때, 불붙은 숯을 꺼낼 때 특히 심하다.
또, 화덕내의 열기로 뜨거워진 화덕에 실수로 손이라도 닿을라치면 뜨거움에 놀라고 화상도 염려스럽다.
화덕은 바닥층의 숯부터 불붙기 시작하므로 착화된 숯을 꺼내려면 그위에 얹힌 아직 불이 붙지 않은 숯불을 건드리는 것이 필연적이므로 이 과정에서 열 손실이 생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지속적인 착화, 숯을 장전할 때의 낙하충격으로 인한 부스러짐 억제, 철저한 화상방지, 재의 완벽한 자체처리, 불붙은 숯장전과 착화된 숯을 꺼낼 때의 낙진의 외부비산억제 등에서 탁월한 성가를 발휘할 수 있는 숯 착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통은 하단에서 조금 올라간 위치에 밑불씨를 대신할 전기가열체를 설치하여 착화편의 및 조기착화를 도모하고, 외통에는 천장에 뚫린 투입구의 밑 둘레에는 그 보다도 반경이 큰 완충목적의 깔데기를 동심원을 이루게 설치하며, 내통의 바닥 바로 밑 외통내에는 트인 끝이 착화숯 인출슈트로도 바람을 내 부는 L형 급기관을 설치하여 착화용 급기와 착화숯 인출시 불꽃가루의 비산방지 및 열기방출을 억제하고, 외통의 하부에는 물을 담아 떨어지는 불꽃가루와 재를 급속히 냉각시키고 냉각된 재는 침강되게 하여 재로 인해 겪는 불이익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한 숯 착화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숯 착화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동 종단면도
도3은 깔데기 걸이의 배치상태도
도4는 급기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통 2 : 외통
3 : 전기가열체 4 : 깔데기
5 : 급기관 6 : 재통
7 : 투입구 8 : 깔데기 걸이
9 : 덮개 10 : 걸편
11 : 주입구 12 : 통공
13 : 인출슈트
제1, 2도에서, 숯 착화장치는 내통(1)과 외통(2), 전기가열체(3)와 깔데기(4), 급기관(5) 그리고 재통(6)으로 구성된다.
내통(1)은 위아래가 완전히 열린 관체이며, 외통(2)에 수납된 상태에서 동심원상의 주위 공간을 남겨서 일종의 에어백기능을 발휘하게 함으로써 열의 무단방출로 인한 열 손실을 억제하고 동시에 내통(1)의 열기가 외통(2)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막아 외통(2)에 손이 닿더라도 화상을 당하지 않을 정도의 열이 미치도록 한다.
외통(2)은 내통(1)과 전기가열체(3), 깔데기(4) 및 급기관(5) 등의 내장품을 보호하는 케이싱으로서, 천장에는 불붙일 숯을 장입할 때 이용하는 투입구(7)를 천공하고, 천장의 투입구(7) 주위에는 깔데기를 걸어서 안정감 있게 매달아 놓기 위한 깔데기 걸이(8)도 제3도처럼 위치를 잡아 부착한다. 상기 투입구(7)는 덮개(9)로 여닫는다.
전기가열체(3)는 밑불씨를 대신하는 것으로, 시즈 히터, 니크롬선 따위의 전열체이며, 전기가열체(3)는 숯이 밑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는 금망의 역할과 전기가열체(3)는 숯이 밑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는 금망의 역할과 전기가열체(3) 밑에서 강제로 불어 올리는 바람이 거침없이 올라가도록 하는 폭좁은 공간을 확보하던가 잔구멍을 다수 뚫고, 내통(1)의 하단에서 조금 올라간 위치에 수평으로 설치한다. 이 전기가열체(3)에서 코드를 인출하여 외부 전원 측에 자유로이 접속케 한다.
깔데기(4)는 불을 붙일 숯을 내통(1)으로 투입할 때 급락을 막아 숯이 깨지고 불꽃가루가 날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최소경이 투입구(7)보다도 크게 하여 숯이 쉽게 낙하되도록 하고, 가장자리에는 투입구(7)의 저면에 부착된 깔데기 걸이(8)에 아래로 끼워서 거는 걸편(10)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따로 제작하여 부착한다.
제3도에서, 급기관(5)은 횡부(5a)의 말단에 상단이 열린 종부(5b)가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깝게 이어진 L형이다. 횡부(5a)는 전기가열체(3)의 바로 밑에 위치하고 종부(5b)의 상단은 내통(1)의 착화숯용 인출구 바닥과 통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횡부(5a)의 상면에는 전기가열체(3)를 보고 급기공(5c)을 천공한다. 이 급기관(5)의 입은 송풍기, 풍구 등에 공기적으로 접속한다.
다시 제2도에서, 재통(6)은 내통(1)과 외통(2)을 떠받치는 받침을 겸하며, 그리로 떨어지는 불꽃가루와 고열의 재를 물에 적셔 불을 꺼뜨리고 식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통(1)과 외통(2)을 내려 앉히고 남은 외통(2)의 안쪽 부위의 상면은 틔워서 불꽃가루와 재가 자유 낙하하여 물로 떨어지게 하고, 외통(2) 밖의 상면 일측에는 물 주입구(11)를 천공하며, 주벽의 상단에는 내부의 열기에 의한 상승기류에 힘입어 외기가 자연 유입되도록 하는 통공(12)도 뚫어 둔다.
그리고 내통(1)에서 전기가열체(3)의 바로 위쪽 주벽의 일부와 외통(2)의 주벽 일부를 틔워 착화숯 인출구로 하고 이들을 인출슈트(13)로 연결한다.
상기의 구성요소를 유기적으로 조합했을 때의 내부구조는 제2도와 같은 양상으로 나타난다. 재통(6)에 적량의 물을 담아 놓고 덮개(9)를 열어 투입구(7)를 개방하고 불붙일 숯을 내통(1)에 가득 담은 다음에 전기가열체(3)를 통전시키고 송풍기(14)로 급기관(5)에 바람을 불어넣는다. 숯은 투입구(7)를 거쳐 깔데기(4)에 부닥치면서 낙하속도가 준다. 그래서 급락으로 인한 충격 때문에 숯이 깨지고 숯가루가 날리며 전기가열체(3)가 피해를 보는 따위의 부작용이 줄어든다.
전기가열체(3)가 착화온도 이상 고온으로 상승하면서 거기에 접촉된 숯이 불붙기 시작한다. 급기관(5)의 횡부(5a)에서는 전기가열체(3) 위로 바람을 내불려 착화를 돕고 종부(5b)의 끝으로는 인출슈트(13) 위로 바람이 내불려서 인출슈트(13)로 빠져나가는 열기를 차단하고 불꽃가루와 재는 위로 날린다. 위로 날린 불꽃가루와 재는 내통(1)과 외통(2) 사이의 공간을 떠돌다가 모두 재통(6)으로 떨어진다.
착화가 진행되면서 내부에는 열기의 상승으로 상승기류가 발생하고, 이 상승기류는 전기가열체(3)의 아래쪽 공기를 빨아올리는 작용을 한다. 이때의 흡인력에 의하여 재통(6)의 통공(12)으로 외부공기가 자연스레 빨려들어가 착화를 돕는다.
최저층의 숯이 완전히 착화되었다고 판단되면 인출슈트(13)로 부집게나 부젓가락을 들이밀어 불붙은 숯을 끄집어 낸다. 새 숯은 착화숯의 인출량을 봐가며 보충한다. 재통(6)은 숯불피우기 작업을 마치고 비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내통은 바닥에 밑불씨대용의 전기가열체를 설치하고, 외통에는 천장에 뚫린 투입구의 저면 주위에 숯투입시의 완충용 깔데기를 설치하며, 내통의 바닥 바로 밑 외통내에는 트인 끝이 착화숯 인출슈트로 바람을 내 부는 L형 급기관을 설치하며, 내통과 외통을 물 담는 재통 위에 탑재한 숯 착화장치로서, 지속적인 착화가 가능해 일시에 많은 주문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숯을 장전할 때의 낙하충격이 완화되므로 숯이 부스러지는 것과 전기가열체의 손상방지 그리고 불꽃가루와 숯가루, 재가 날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내, 외통 사이에 일종의 공기적 완충대가 형성되므로 외통이 과열되지 않아 화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재의 완벽한 자체내 수집에 의하여 착화장 주변의 청결유지, 작업편의가 제공된다.

Claims (1)

  1. 내통(1)의 바닥에 밑불씨대용의 전기가열체(3)를 설치하여 외통(2)에 수납하고, 외통(2)의 투입구(7) 밑 주위에는 투입되는 숯의 완충용 깔데기(4)를 설치하며, 전기가열체(3)의 바로 위쪽 내통(1)과 외통(2)의 주벽을 일부 틔워서 착화숯 인출구로 삼고 이들간에 인출슈트(13)를 설치하며, 전기가열체(3) 밑을 지나 인출슈트(13)에 이르는 L형 급기관(5)을 내통(1)에 설치하며, 상기 내통(1)과 외통(2)을 물 담는 재통(6)에 탑재한 숯 착화장치.
KR2019970009499U 1997-04-30 1997-04-30 숯 착화장치 KR200155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499U KR200155003Y1 (ko) 1997-04-30 1997-04-30 숯 착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499U KR200155003Y1 (ko) 1997-04-30 1997-04-30 숯 착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932U KR970043932U (ko) 1997-07-31
KR200155003Y1 true KR200155003Y1 (ko) 1999-08-16

Family

ID=1950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499U KR200155003Y1 (ko) 1997-04-30 1997-04-30 숯 착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0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490B1 (ko) 2017-02-13 2018-06-01 강신엽 숯 착화장치
KR20190134938A (ko) 2018-05-24 2019-12-05 강신엽 도시가스용 숯 착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490B1 (ko) 2017-02-13 2018-06-01 강신엽 숯 착화장치
KR20190134938A (ko) 2018-05-24 2019-12-05 강신엽 도시가스용 숯 착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932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1507A (en) Charcoal lighter device
US20200281404A1 (en) Firebox for a grill
WO2005112550A2 (en) Roaster with a door on an upper portion
WO2018132731A1 (en) Smokeless fire pit
KR200457499Y1 (ko) 숯불착화기
KR101132309B1 (ko) 구이용 로스터
KR200155003Y1 (ko) 숯 착화장치
KR101509970B1 (ko) 가스 겸용 숯불구이기
KR200169830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US6761160B1 (en) Hollow walled solid fuel grill
KR100614684B1 (ko) 숯불 구이기
KR100495582B1 (ko) 숯불 착화장치
KR200169831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CN214468777U (zh) 一种新型一体式的点碳养碳炉
KR10143113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JP2009275936A (ja) 炊飯可能のストーブ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WO2018075840A1 (en) Improved charcoal grill apparatus and method
KR200309608Y1 (ko) 숯불 점화장치
KR200254154Y1 (ko) 가스 및 숯 겸용 고기구이기
KR200238367Y1 (ko) 장어구이용 매연제거장치
KR101634360B1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102415462B1 (ko) 다목적 화덕
KR200454115Y1 (ko) 오븐 겸용 직화 바비큐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