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901Y1 -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901Y1
KR200154901Y1 KR2019960033375U KR19960033375U KR200154901Y1 KR 200154901 Y1 KR200154901 Y1 KR 200154901Y1 KR 2019960033375 U KR2019960033375 U KR 2019960033375U KR 19960033375 U KR19960033375 U KR 19960033375U KR 200154901 Y1 KR200154901 Y1 KR 200154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ndenser
air
vehicl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164U (ko
Inventor
방중철
Original Assignee
방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중철 filed Critical 방중철
Priority to KR2019960033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901Y1/ko
Publication of KR19980020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1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9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응축기 유닛 및 증발기 유닛에서의 공기흐름 구조의 개선으로 열교환율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냉방효율이 증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증발기 주위로부터의 흡열작용에 의하여 얻어지는 냉기에 의해 차실내 기온을 쾌적한 상태로 조절하게 되며, 응축기로부터 액체 상태로 유통되는 냉매가 증발기에서 기상으로 환원되어 순환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를 이루는 유닛이,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 소정각도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형 공기유도판(5)이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유닛이,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흡열작용이 이루어지는 증발기 코어(30); 및 상기 증발기 코어(30)의 길이방향에 직각되도록 설치된 송풍기(20a)(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가 제공된다.
[색인어]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냉방장치.

Description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
본 고안은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성능 및 증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실내의 냉방을 위하여 장착되는 냉방장치는 일반적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관로로 연결하여 압축기로부터 응축기로 냉매의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응축기에 증발기가 다른 관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를 연결하는 관로로는 팽창밸브가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를 거쳐 팽창밸브를 통하여 증발기내로 분사됨으로써 증발기에서 냉매가 팽창 및 증발되고, 이와 같은 냉매의 팽창, 증발에 따라 증발기 주위의 열을 빼앗게 되는 흡열작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냉방에 필요한 냉기가 얻어지게 되며, 이와 같은 냉기가 덕트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실내 기온을 쾌적한 상태로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응축기는 증발기에서 기상으로 증발된 냉매가 액상으로 환원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응축기를 구성하는 유닛은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으로 제1 공기유입구(A)가, 그리고 그 측면 좌, 우측으로 대향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공기유입구(B)가 형성되어 차량의 천정에 장착되는 하우징(1)을 갖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응축기 유닛은,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좌, 우측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응축기코어(2)와 복수개의 휀(3)이 설치되며, 부호 '4'로 지칭된 건조기에 의하여 냉매중에서 수분 및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응축기 코어(2)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작용에 따라 냉매를 액상으로 환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하우징(1)의 제1, 2 공기유입구(A)(B)를 통하여 휀(3)에 의하여 공기의 강제유입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응축기 코어(2)에서의 열교환 작용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냉방장치의 응축기 유닛은 제1 공기유입구(A)를 통하여 하우징(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과 제2 공기유입구(B)를 통하여 하우징(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반됨으로써, 하우징(1) 내부에서의 공기회류현상(C)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응축기 코어(2)에서의 공기 통과량을 감소시키게 됨으로써 열교환작용을 저하시키게 되고 결국 냉방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증발기를 구성하는 유닛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천정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10)과 증발기 코어(30) 및 상기 증발기 코어(30)의 좌, 우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송풍기(20a)(20b)가 증발기 코어(30)의 길이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증발기 코어(3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작용에 따라 증발기 코어(30) 주변 온도를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며, 송풍기(20a)(20b)에 의하여 증발기 코어(30)로의 강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증발기 코어(30)에서 차실내로 냉기를 토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송풍기가 증발기코어의 길이방향에 수평으로 구성되게 되면 공기의 흐름을 윤활하게 하지 못하여 공기토출량이 감소되며, 송풍기 코터에서 발열되는 열기로 인하여 냉방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응축기 유닛 및 증발기 유닛에서의 공기흐름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열교환율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냉방효율이 증대될 수 있게 된 차량용 천정장착용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1a는 일반적인 종래 냉방장치의 응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1b는 종래 냉방장치의 증발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2a는 본 고안에 의한 냉방장치의 응축기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2b는 본 고안에 의한 냉방장치의 증발기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하우징 2 : 응축기 코어
3 : 휀 A : 제1 공기유입구
B : 제2 공기유입구 5 : 공기유도판
20a, 20b : 송풍기 30 : 증발기 코어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증발기 주위로부터의 흡열작용에 의하여 얻어지는 냉기에 의해 차실내 기온을 쾌적한 상태로 조절하게 되며, 응축기로부터 액체 상태로 유통되는 냉매가 증발기에서 기상으로 환원되어 순환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를 이루는 유닛이, 차량의 천정으로 장착되는 하우징의 좌, 우측으로 뚫려진 공기유입용 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내부회류현상의 발생방지가 가능하게 안내, 유도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 양측에 소정각도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형 공기유도판이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유닛이,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흡열작용이 이루어지는 증발기 코어; 및 상기 증발기 코어의 길이방향에 직각되도록 설치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종래기술의 도면에서와 동일 부분에 동일한 부호가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2a에서와 같이, 그 선단으로 제1 공기유입구(a)가, 그리고 그 측면 좌, 우측으로 대향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공기유입구(b)가 형성되어 차량의 천정에 장착되는 하우징(1)을 갖는 구조로 구성된 응축기를 이루는 유닛과, 도2b에서와 같이, 차량의 천정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10)과 증발기 코어(30) 및 상기 증발기 코어(30)의 좌, 우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송풍기(20a)(20b)가 구비된 증발기를 이루는 유닛이 구성된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에 관련된다.
즉, 상기한 응축기 유닛은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좌,우측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응축기코어(2)와 복수개의 휀(3)이 설치되며, 부호 '4'로 지칭된 건조기에 의하여 냉매중에서 수분 및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 종래에서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 소정각도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형 공기유도판(5)이 구비되어 있어, 공기유입용 구멍인 상기 제1, 2 공기유입구(a)(b)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내부회류현상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응축기코어(2)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서 상호 좌, 우 대칭되게 배치되고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갈수록 소정각도 벌어지도록 설치됨으로써, 하우징(1)의 선단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이 점증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응축기 코어(2)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작용에 따라 냉매를 액상으로 환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하우징(1)의 제1, 2 공기유입구(a)(b)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공기유도판(5)에 의해 공기의 회류현상이 줄어들며, 또한 공기흡입구(a)에서 유입된 공기가 공기흡입구(b)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휀(3)에 의해 보다 원만하게 강제유입되는 공기량이 점증됨에 따라 응축기 코어(2)에서의 열교환작용이 더욱 증대된다.
한편, 상기한 증발기 유닛은, 증발기 코어(3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작용에 따라 증발기 코어(30) 주변 온도를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며, 송풍기(20a)(20b)에 의하여 증발기 코어(30)로의 강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증발기 코어(30)에서의 열교환작용이 증대됨과 아울러 차실내로 냉기를 토출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 유닛은, 상기 송풍기(20a)(20b)가 상기 증발기 코어(30)의 길이방향에 직각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로서, 이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공기의 토출량을 증가시키며, 송풍기의 모터에서 발열되는 열기에 의한 냉방능력저하를 방지하므로 보다 높은 냉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본 고안에서는, 응축기 유닛 및 증발기 유닛에서의 공기흐름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열교환율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냉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제공된다.

Claims (1)

  1. (정정) 증발기 주위로부터의 흡열작용에 의하여 얻어지는 냉기에 의해 차실내 기온을 쾌적한 상태로 조절하게 되며, 응축기 유닛을 구성하는 응축기 코어로부터 액체 상태로 유통되는 냉매가 증발기에서 기상으로 환원되어 순환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를 이루는 유닛이, 차량의 천정으로 장착되는 하우징의 좌, 우측으로 뚫려진 공기유입용 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내부회류현상의 발생방지가 가능하게 안내, 유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 양측에 소정각도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형 공기유도판이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를 이루는 유닛이,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방열작용이 이루어지는 증발기 코어; 및 상기 증발기 코어의 길이방향에 직각되도록 설치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
KR2019960033375U 1996-10-10 1996-10-10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 KR200154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375U KR200154901Y1 (ko) 1996-10-10 1996-10-10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375U KR200154901Y1 (ko) 1996-10-10 1996-10-10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164U KR19980020164U (ko) 1998-07-15
KR200154901Y1 true KR200154901Y1 (ko) 1999-08-16

Family

ID=1946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375U KR200154901Y1 (ko) 1996-10-10 1996-10-10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9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501B1 (ko) * 2014-05-30 2015-04-21 카호코리아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라디에이터
KR102147753B1 (ko) 2018-10-15 2020-08-25 조창덕 빵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164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57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2962019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2504482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JP3102322U (ja) 空調およびエンジン温度冷却用の冷媒を含む冷却システム
KR200154901Y1 (ko) 차량용 천정장착형 냉방장치의 응축기 및 증발기 구조
US20230147139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TWI779591B (zh) 車輛空調系統
KR10061351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5057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365401B1 (ko) 2차 열교환기능을 가진 열교환장치
WO2022202838A1 (ja) 空調装置
KR100198360B1 (ko) 열차용 에어컨
US20230119705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CN216814402U (zh) 空调器
KR102622339B1 (ko) 전기자동차용 냉난방 시스템
CN107726474A (zh) 用于空调机的室外单元
KR100385552B1 (ko) 차량의 에어컨용 그릴장치
JPH07159070A (ja) ヒートシンクの冷却装置
KR20010029370A (ko) 오버헤드형 에어컨의 증발기유닛
KR2024006238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215806B1 (ko) 에어컨용 열교환기
KR100494512B1 (ko)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의 콘덴서
KR19980065266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차량의 공조방법
KR100986467B1 (ko) 버스용 천정형 에어컨 장치
KR100363314B1 (ko) 2차 열교환기능을 가진 열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