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320Y1 -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 - Google Patents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320Y1
KR200153320Y1 KR2019970011403U KR19970011403U KR200153320Y1 KR 200153320 Y1 KR200153320 Y1 KR 200153320Y1 KR 2019970011403 U KR2019970011403 U KR 2019970011403U KR 19970011403 U KR19970011403 U KR 19970011403U KR 200153320 Y1 KR200153320 Y1 KR 200153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mmets
grommet
wire harness
auxiliary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916U (ko
Inventor
유수양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70011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32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9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9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3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기존의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의 하방 혹은 상방에 보조그로멧을 일체로 형성하여 와이어하네스의 추가 혹은 변경이 있을 경우 보조그로멧을 이용하므로 작업성과 손상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그로멧(10)은 그 단면이 개략 깔대기형상을 이루고 그 상방 혹은 하방에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되며 그 단면이 개략 고깔의 형상을 한 보조그로멧(11)을 그로멧(10)의 입구(21)와 반대방향이 되도록 배치구성하고, 보조그로멧(11)은 폐쇄된 일측에 원추형의 절단부(12)와 원주(圓柱;13)가 접하는 부분에 환형테(14)를 형성하여 절단부위를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인 자동차 와이어네스용 그로멧의 구조는 별도의 그로멧을 추가로 구비하여 와이어하네스의 정비 혹은 추가사양이 발생할 경우 작업소요시간을 절감함과 동시에 손상을 방지하여 자동차의 전기적인 결합 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
본 고안은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로멧의 본체에 보조그로멧을 추가로 형성하여 와이어하네스의 추가변경이 필요한 곳에 사용함으로서 기설치된 와이어하네스의 손상을 방지하기위한 것이다.
자동차의 구성은 크게 섀시와 보디로 구성되어 기계적으로 결합이 되어있고, 제어용의 전기적인 신호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와이어하네스를 다량 사용되고 있다.
상기하는 구성의 와이어하네스는 자동차에서 필요로 하는 배선들을 집적하여 와이어형상으로 구성하여 전기적신호 혹은 전원을 필요로 하는 곳에 공급하고, 와이어형의 하네스는 패널과 패널사이처럼 극히 협소한 공간을 통과하고 그곳에서 여러각도로 절곡되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형 하네스를 패널에 형성된 홀에 그대로 통과시킬 경우 금속재로 이루어진 패널의 모서리부에 하네스가 손상을 입게 되어 전기적신호의 애러발생과 전원전달의 누전등으로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와이어하네스가 패널을 통과하는 부분에는 그 단면이 개략 깔대기형의 그로멧(Grommet: 10)을 삽입고정하여 하네스의 외부면을 보호하고, 상기 그로멧(1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하네스가 패널을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그로멧(10)은 와이어하네스의 보호 뿐만아니라 와이어하네스가 패널(20)을 관통하여 조립 후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패널(20)의 조립홀을 통하여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엔진룸과 같은 외부소음의 유입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하네스의 보호와 이물질 및 소음의 유입을 방지하는 그로멧(10)은 자동차의 조립라인에서 제작자동차에 필요한 하네스공급물량과 동일하게 조립이 되어있다.
하지만 자동차가 출고된 후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전기, 전자장치의 옵션 사양을 부착하는 경우 와이어하네스가 자동차에 장착한 이후에는 정비 또는 사양의 변경이 난이한 점과 이로인하여 작업도중 그로멧(10)과 하네스에 손상을 입히는 결과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그로멧(10)과 하네스에 손상이 가해지면 전기회로 혹은 전원의 공급에 이상이 발생하며 손상된 그로멧(10)을 통하여 이물질이나 소음등이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어 자동차의 구성부품과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안겨주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기존의 그로멧에 하방 혹은 상방에 보조그로멧을 일체로 형성하여 와이어하네스의 추가 혹은 변경이 있을 경우 보조그로멧을 이용하게 함으로서 작업성과 손상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을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그로멧 11 : 보조그로멧
14 : 환형테 21 : 입구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 확대도로서 함께 설명을 한다.
자동차의 제어와 작동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하네스가 통과하는 패널의 조립홀에 적용되어 와이어하네스의 보호와 이물질등이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로멧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그로멧(10)은 그 단면이 개략 깔대기형상을 이루는 그 상방 혹은 하방에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되며 그 단면이 개략 콘(Cone)의 형상을 한 보조그로멧(11)을 그로멧(10)과 입구(21)와는 배치가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조그로멧(11)은 폐쇄된 일측에 원추형의 절단부(12)와 원주(圓柱;13)가 접하는 부분에 환형테(14)를 형성하여 절단부위를 쉽게 알 수 있게하고 그로멧(10)의 원주(13)에 전기전선고정을 위하여 테이핑처리시에 테이프가 밀리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그로멧(10)은 자동차의 조립라인에서 필요한 와이어하네스를 수용하면서 조립완성되며, 자동차의 출고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기, 전자장치옵션의 장착으로 인한 와이어하네스의 추가가 있을 경우에는 그로멧(10)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그로멧(11)을 이용하여 와이어하네스의 추가 작업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그로멧을 이용하여 와이어하네스의 추가작업을 수행할 경우 작업의 원할함과 장치의 보호를 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의 구조는 별도의 그로멧을 추가로 구비하여 와이어하네스의 정비 혹은 추가사양이 발생할 경우 작업소요시간을 절감함과 동시에 손상을 방지하여 자동차의 전기적인 결합 등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전장제어와 작동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하네스가 통과하는 패널의 조립홀에 적용되어 와이어하네스의 보호와 이물질등이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로멧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그로멧(10)은 그 단면이 개략 깔대기형상체이고, 그 상방 혹은 하방에서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단면 개략 콘형상의 보조그로멧(11)을 그로멧(10)의 입구(21)와 반대방향이 되도록 배치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그로멧(11)은 폐쇄된 일측에 원추형의 절단부(12)와 원주(圓柱;13)가 접하는 부분에 환형테(14)를 형성하여 절단부위를 표시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의 구조.
KR2019970011403U 1997-05-16 1997-05-16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 KR200153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403U KR200153320Y1 (ko) 1997-05-16 1997-05-16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403U KR200153320Y1 (ko) 1997-05-16 1997-05-16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916U KR19980066916U (ko) 1998-12-05
KR200153320Y1 true KR200153320Y1 (ko) 1999-08-02

Family

ID=1950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403U KR200153320Y1 (ko) 1997-05-16 1997-05-16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3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916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9509A (en) Grommet assembly for main and auxiliary wire harnesses
JP4320961B2 (ja) ドア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200153320Y1 (ko) 자동차 와이어하네스용 그로멧
CN208708035U (zh) 电器盒组件和车辆
KR100271882B1 (ko) 자동차의 엠블렘 일체화 본네트 스트라이커
JP3954257B2 (ja) 電装品のフレームへの固定構造
KR200166215Y1 (ko) 테일게이트의 와이어 연결 구조
KR19990073235A (ko) 자동자휴즈(릴레이)단선진단및위치표시장치의카트리지형정션박스
KR960003752Y1 (ko) 버스용 운전석 보호분리대
KR100346851B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
KR200269874Y1 (ko) 메인와이어링루트설정을위한차체판넬및클립구조
KR100186704B1 (ko) 차량용 도어 실 트림
KR20150042377A (ko) 차량의 후방카메라 조립체
KR970002665Y1 (ko)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설치구조
KR0127968Y1 (ko) 견인전동차의 덕트용 필터 및 필터 커버설치구조
KR20020078652A (ko) 콘센트 고정장치
KR19980035769U (ko)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KR19980036914U (ko) 도난방지 기능이 구비된 후드래치 어셈블리
KR20040087448A (ko) 차량의 배선 고정용 그로메트
KR19980041165U (ko) 차량용 메인퓨스 박스
KR19980056679A (ko)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JPH08127253A (ja) 車両の配管組付方法
KR19980031427U (ko) 차량용 안테나 장착구조
KR20030000336A (ko) 분리형 그로멧 브라켓트
KR19980038910A (ko)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