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851B1 -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851B1
KR100346851B1 KR1020000062527A KR20000062527A KR100346851B1 KR 100346851 B1 KR100346851 B1 KR 100346851B1 KR 1020000062527 A KR1020000062527 A KR 1020000062527A KR 20000062527 A KR20000062527 A KR 20000062527A KR 100346851 B1 KR100346851 B1 KR 100346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trim
wiring
inner panel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1794A (ko
Inventor
음경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2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851B1/ko
Publication of KR2002003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트림을 도어인너패널에 장착시 작업공정을 최소화 하여 생산효율을 증대시키며, 도어트림과 전기장치 조작부간의 조립단차를 개선하고, 이중으로 장착되던 도어트림 장착구조를 일체화하여 원가절감을 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도어용 각종 배선과 도어트림을 도어인너패널에 고정하는 클립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상부에는 도어트림에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선 고정공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도어인너패널을 관통하며 장착되는 체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용 배선을 도어트림과 일체가 되게 고정한 상태에서 도어인너패널에 장착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배선의 커넥터를 도어용 전기장치의 각 단자와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해졌고, 이로써, 도어용 전기장치 및 각 조작부를 상기 도어트림에 일체가 되게 미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기장치와 도어트림간의 조립단차가 발생되지 않아 외관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어트림을 도어인너패널에 장착시 부품수를 절감할수 있어, 원가절감의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A Mounting Clip for Door Trim and Wiring in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트림을 도어인너패널에 장착하게 하는 트림고정구와 도어트림상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기장치의 배선을 도어인너패널에 고정설치하는 클립을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하여 조립공정을 간소화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도어는 도어아웃터패널과 도어인너패널이 결합되어 형성되어지고, 이 도어인너패널에 도어트림이 부착됨으로써 하나의 기본 구성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어아웃터패널 및 도어인너패널은 탑승자 및 차실내를 비, 바람 또는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도어트림은 도어인너패널에 장착되어 차실내부를 미려하게 장식하고 차음 및 흡음의 기능도 갖는다. 또한, 도어트림은 도어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장치, 예를 들면, 파워 윈도우나 도어램프, 스피커등과 연결되는 배선을 보호하고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1a는 종래의 도어트림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부위를 나타낸 종래의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이 설치된 측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살펴보면, 도어아웃터패널(미도시)과 도어인너패널(1)이 접합된 상태에서 도어인너패널(1)의 외표면에 도어용 배선(2)을 고정하기 위하여 각종 도어배선(2)들이 결집될수 있는 배선고정클립(3)이 마련되고 이배선고정클립(3)에 상기 도어배선(2)이 결집되어 도어인너패널(1) 일측의 다개소에 꽂음설치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인너패널(1)을 덮는 도어트림(4)이 트림장착구(5)를 매개로 상기 도어인너패널(1)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배선(2)의 끝단에 형성된 전기장치(6a,6b,6c)의 커넥터(7)를 도어트림(4)의 일측에 형성된 파워윈도우 스위치(6a)나 도어램프(6b), 또는 카스피커(6c)와 연결하면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클립에서는 먼저 도어배선(2)을 결집시킨후 도어인너패널(1)에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배선(2)의 커넥터(7)를 각종 전기장치(6a,6b,6c)와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빼 놓은후, 도어트림(4)을 도어인너패널(1)에 장착한다. 또한 도어트림(4)에 마련된 파워윈도우(6a)나 도어램프(6b)등은 상기 배선커넥터(7)와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별도로 부품화하여 커넥터(7)와 체결후 장착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트림을 장착하기 위한 공정의 단계는 배선을 도어인너패널에 고정시키는 제 1단계와 상기 도어트림을 도어인너패널에 장착시키는 제 2단계, 상기 배선의 커넥터를 전기장치와 연결 후 상기 전기장치를 도어트림에 조립하는 제 3단계로 구분되어 있어 조립과정시 매우 번거로우며, 전기장치와 커넥터 연결작업이 난해하고, 파워윈도우 스위치의 별도 피스(piece)화로 인해 도어트림과의 조립단차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제점 이외에도 도어트림을 도어인너패널에 장착시 2중 마운팅으로 인해 원가가 상승된다는 단점도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트림을 도어인너패널에 장착시 작업공정을 최소화 하여 생산효율을 증대시키며, 도어트림과 전기장치 조작부간의 조립단차를 개선하고, 이중으로 장착되던 도어트림 장착구조를 일체화하여 원가절감을 꾀하는데 있다.
도 1a는 종래의 도어트림을 도시한 개략도,
도 1b는 도 1a의 A-A단면을 나타낸 종래의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이 설치된 측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트림을 도시한 개략도,
도 2b는 도 2a의 B-B 단면을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도어트림 및 배선 클립이 설치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인너패널 2 : 도어배선
3 : 배선고정클립 4 : 도어트림
5 : 트림장착구 6a,6b,6c : 전기장치
7 : 커넥터 10 : 고정클립
11 : 고정홈 12 : 고정공
13 : 체결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본 발명은, 도어용 각종 배선과 도어트림을 도어인너패널에 고정하는 클립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상부에는 도어트림에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선 고정공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도어인너패널을 관통하며 장착되는 체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 기술구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트림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B 단면을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이 설치된 측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살펴보면, 도어글래스(미도시)를 올리고 내릴수 있도록 도어트림(4)의 일측에 파워윈도우 조작부(6a)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도어개방을 알리는 경고기능 및 도어 주위를 밝히는 기능을 하는 도어램프(6b)가 상기 도어트림(4)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어트림(4)의 또 다른 타측에는 카스피커(6c)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상과 같은 도어용전기장치(6a,6b,6c)에는 각각의 배선(2)들이 소용되고, 그 배선(2)들은 도어트림(4)의 외측에서 관찰될 때 보이지 않아야 하고 잘 정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의 특징은 상기 도어배선(2)을 한묶음으로 결집하여 상기 도어트림(4) 내측의 다개소에 먼저 고정설치한 후, 상기 도어배선(2)이 고정된 도어트림(4)을 도어인너패널(1)에 장착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의 도어배선(2)을 도어트림(4)에 고정하고 이 도어트림(4)을 도어인너패널(1)에 장착하기 위해서 배선(2)의 고정과 도어트림(4)의 장착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이중의 마운팅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클립(10)이 마련된다.
상기 클립(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도어트림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홈(1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선을 결집하여 하나로 묶을수 있도록 배선두께만큼의 고정공(12)을 갖으며, 하부에는 도어인너패널을 관통하며 장착되는 체결구(13)가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로서, 하부에 형성된 체결구(13)가 상기 도어인너패널(1)의 일측 다개소에 장착된다. 물론 상기 고정공(12)에 도어용 배선(2)이 결집되게 먼저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도어에 설치되는 전기장치(6a,6b,6c)등은 종래와 같이 별도로 피스화하여 후장착할 필요없이 도어트림(4)에 일체로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배선(2)의 커넥터(7)와 연결하고 배선(2)은 상기 도어트림(4)에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도어트림(4) 장착공정을 다시 한번 간단히 부연하면, 클립(10)이 고정설치된 도어트림(4)에 상기 도어배선(2)을 클립(10)의 고정공(12)에 고정하고,상기 도어배선(2)의 커넥터(7)를 이미 도어트림(4)상에 설치된 전기장치(6a,6b,6c)의 각 단자와 연결한다. 이후, 상기 도어트림(4)에 설치된 상기 클립(10)의 체결구(13)를 상기 도어인너패널(1)과 끼워맞춤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에 의하면, 도어용 배선을 도어트림과 일체가 되게 고정한 상태에서 도어인너패널에 장착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배선의 커넥터를 도어용 전기장치의 각 단자와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해졌고, 이로써, 도어용 전기장치 및 각 조작부를 상기 도어트림에 일체가 되게 미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기장치와 도어트림간의 조립단차가 발생되지 않아 외관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어트림을 도어인너패널에 장착시 부품수를 절감할수 있어, 원가절감의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도어용 각종 배선(2)과 도어트림(4)을 도어인너패널(1)에 고정하는 클립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클립(10)의 상부에는 도어트림(4)에 고정되는 고정홈(1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선 고정공(12)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도어인너패널(1)을 관통하며 장착되는 체결구(1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
KR1020000062527A 2000-10-24 2000-10-24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 KR100346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527A KR100346851B1 (ko) 2000-10-24 2000-10-24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527A KR100346851B1 (ko) 2000-10-24 2000-10-24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794A KR20020031794A (ko) 2002-05-03
KR100346851B1 true KR100346851B1 (ko) 2002-08-03

Family

ID=1969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527A KR100346851B1 (ko) 2000-10-24 2000-10-24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8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794A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3038A1 (en) Room lamp fixing structure
CA2454343A1 (en) Composite component integration panel
JP4320961B2 (ja) ドア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100346851B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 및 배선 고정클립
US6107569A (en) Foam wire harness in a pillar
EP1234701A1 (de) Türmodul für Kraftfahrzeuge
KR100405430B1 (ko)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KR100471484B1 (ko) 자동차용 안테나 장착구조
CN214057193U (zh) 一种星空顶玻璃
JP4600088B2 (ja) 自動車ドア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100361291B1 (ko)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용 그로미트의 장착구조
JPS60128019A (ja) リヤサイドウィンドのモ−ルディング取付装置
KR200257924Y1 (ko) 자동차용더스트커버의소음저감구조
JPH11198742A (ja) 自動車のドア用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S6022652Y2 (ja) 自動車用アンテナの取付構造
KR19980012565U (ko) 버스용 에어컨 덕트의 취부구조
CN116669993A (zh) 一种顶盖装饰结构、车顶结构及应用其的车辆
KR20010048357A (ko) 선바이저 고정용 센터 어뎁터
KR19980053410A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을 취부하기 위한 스크류의 커버
KR19980036914U (ko) 도난방지 기능이 구비된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9980044741U (ko) 자동차 내부의 가니쉬 취부구조
JP2002233034A (ja) グロメットの車体取付構造
KR970034767A (ko) 윈드 실드의 몰딩 취부구조
KR20180076524A (ko) 차량용 도어 모듈 플레이트의 인서트 사출 성형 조립 구조
KR970041428A (ko) 자동차용 카울 그릴의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