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679A -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679A
KR19980056679A KR1019960075949A KR19960075949A KR19980056679A KR 19980056679 A KR19980056679 A KR 19980056679A KR 1019960075949 A KR1019960075949 A KR 1019960075949A KR 19960075949 A KR19960075949 A KR 19960075949A KR 19980056679 A KR19980056679 A KR 19980056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cowl panel
fixing structure
front cowl
das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5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6679A/ko
Publication of KR19980056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679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플의 초기 위치, 예컨대 배플의 나사공과 상부 대쉬 멤버 및 프론트 카울 패널의 나사공을 쉽게 일치시켜 배플 고정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 대쉬 멤버와 프론트 카울 패널과의 사이에 이 부분을 통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배플을 수개의 그로메트와 스크류로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하부 일측에 배플의 나사공과 상부 대쉬 멤버 및 프론트 카울 패널의 나사공을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한 셋팅용 리브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기 조립시 배플의 위치를 쉽게 셋팅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 배플(Baffle)은 윈드 실드 글래스의 하단부와 본네트와의 사이를 통하여 외부의 빗물 등이 엔진 룸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으로써, 통상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대쉬 멤버(1)와 프론트 카울 패널(2)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3이 배플이다. 이 배플(3)은 대략 사각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일측면에는 실링용 댐(4)이 부착되어 있고, 6개의 체결 포인트를 그로메트(5)와 스크류(6)로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배플의 고정 구조가 도 3에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3)은 그의 실링용 댐(4)이 상부 대쉬 멤버(1)와 프론트 카울 패널(2)에 접촉되는 상태로 그로메트(5)와 스크류(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그로메트(5)는 상부 대쉬 멤버(1)와 프론트 카울 패널(2)에 각각 3개씩 고정되어 있고, 이에 스크류(6)가 체결되어 배플을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플 고정구조는, 배플의 초기 위치를 잡아주는 것이 용이치 않아 조립에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즉 초기 배플의 양측에 있는 나사공과 상부 대쉬 멤버 및 프론트 카울 패널에 있는 나사공을 정확히 일치시켜 맞춘 후 스크류를 체결하어 고정하게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셋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조립성 저하를 가져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플의 초기 위치, 예컨대 배플의 나사공과 상부 대쉬 멤버 및 프론트 카울 패널의 나사공을 쉽게 일치시켜 배플 고정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배플 설치 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배플의 고정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배플 고정구조의 조립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플 고정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 3에 해당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대쉬 멤버 2 : 프론트 카울 패널
3 : 배플 4 : 실링용 댐
5 : 그로메트 6 : 스크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대쉬 멤버와 프론트 카울 패널과의 사이에 이 부분을 통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배플을 수개의 그로메트와 스크류로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하부 일측에 배플의 나사공과 상부 대쉬 멤버 및 프론트 카울 패널의 나사공을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한 셋팅용 리브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는, 배플을 상부 대쉬 멤버와 프론트 카울 패널과의 설치 위치에 올려 그 하부의 셋팅용 지그를 기준점에 접촉시키면 자동으로 배플의 나사공과 대쉬 멤버 및 카울 패널의 나사공이 일치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일일이 나사공을 확인하면서 스크류를 체결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플 고정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부 대쉬 멤버(1)와 프론트 카울 패널(2)과의 사이에 이 부분을 통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배플(3)이 수개의 그로메트(5)와 스크류(6)에 의해 고정되는 기본 구조는 종래와 같다.
상기 배플(3)의 일측면에는 실링용 댐(4)이 부착되어, 상부 대쉬 멤버(1)와 프론트 카울 패널(2)에 각각 접촉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는 배플 조립시 초기 위치를 셋팅하여 주기 위한 셋팅용 리브(10)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셋팅용 리브(10)는 배플의 초기 위치를 항상 정확하게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바, 다시 말하면 배플의 고정구조에서는 배플(3)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과 상부 대쉬 멤버(1) 및 프론트 카울 패널(2)의 나사공을 일치시켜 스크류를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셋팅 작업이 본 발명의 셋팅용 리브에 의해 자동으로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일일이 나사공을 확인하면서 스크류를 체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는, 배플을 상부 대쉬 멤버와 프론트 카울 패널과의 설치 위치에 올려 그 하부의 셋팅용 지그를 기준점에 접촉시키면 자동으로 배플의 나사공과 대쉬 멤버 및 카울 패널의 나사공이 일치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일일이 나사공을 확인하면서 스크류를 체결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상부 대쉬 멤버와 프론트 카울 패널과의 사이에 이 부분을 통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배플을 수개의 그로메트와 스크류로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하부 일측에 배플의 나사공과 상부 대쉬 멤버 및 프론트 카울 패널의 나사공을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한 셋팅용 리브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KR1019960075949A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KR19980056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949A KR19980056679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949A KR19980056679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679A true KR19980056679A (ko) 1998-09-25

Family

ID=6639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949A KR19980056679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66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6679A (ko)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KR19980035769U (ko) 자동차의 배플 고정구조
KR0132970Y1 (ko) 자동차의 도어 풀 핸들 베젤 고정구조
KR200155016Y1 (ko) 차량용 트림 체결 볼트 커버
KR0120096Y1 (ko) 메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100337552B1 (ko) 자동차용 카울 그릴
KR19980062355A (ko) 자동차용 그로밋(grommet) 취부구조
KR200146635Y1 (ko)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 연결용 그로메트
KR100343571B1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고정구조
JP3092895B2 (ja) 内装材取付構造
KR0126227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도어 내측 커버패널 체결구조
KR200152923Y1 (ko) 자동차의 가속케이블 그로메트 취부구조
KR950009961Y1 (ko) 자동차 도어의 웨더스트립
KR200152179Y1 (ko) 차량용 카울의 겸용 클립구조
KR200145690Y1 (ko) 자동차용 쿼터 모듈라 글라스의 가조립구조
KR19980062400A (ko) 자동차용 연결 화스너(fastener) 구조
KR0126916Y1 (ko) 그로밋
KR0139589Y1 (ko) 자동차의 쿼드런트 인너 커버 고정구조
KR200148782Y1 (ko) 차량의 패널 고정용 구조물
KR970045668A (ko) 차량의 파스너홀 메칭용 그로메트
KR19980038622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 장착구조
KR980001129A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하우징 결합 구조
KR19980040906U (ko) 자동차의 부품 조립용 체결구
KR19980044749U (ko) 자동차의 트렁크 보드 취부구조
KR19980044750U (ko) 자동차의 트렁크 보드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