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030Y1 - 템플레이트 겸용 크린칭 지그 - Google Patents

템플레이트 겸용 크린칭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030Y1
KR200153030Y1 KR2019950033815U KR19950033815U KR200153030Y1 KR 200153030 Y1 KR200153030 Y1 KR 200153030Y1 KR 2019950033815 U KR2019950033815 U KR 2019950033815U KR 19950033815 U KR19950033815 U KR 19950033815U KR 200153030 Y1 KR200153030 Y1 KR 200153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panel
plate body
jig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3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167U (ko
Inventor
최호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3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030Y1/ko
Publication of KR9700211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1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0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12Straightening vehicle body parts or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체 판금작업에 사용되는 크린칭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패널면에 형합 가능한 단면을 갖는 템플레이트 수단과 패널면을 밀착 지지해주면서 작업대상에 고정되는 크린칭 수단을 모두 갖춘 크린칭 지그를 제공함으로써, 판금작업성 향상과 제품정도 확보를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템플레이트 겸용 크린칭 지그
제1도는 본 고안의 크린칭 지그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크린칭 수단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라이어 11 : 내측패널
12 : 외측패널 13 : 작업대
14 : 고정편 끼움홈 20 : 판체
21 : 모방단면 22 : 고정편
23 : 요홈 24 : 구멍
본 고안은 차체 판금작업에 사용되는 크린칭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템플레이트의 기능을 갖춘 크린칭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린칭 수단은 차체 판금작업에서 서로 접합시킬 2개의 패널 예를 들면, 도어 내측패널과 도어 외측패널을 함께 묶어주는 수단이다.
첨부도면 제2도는 종래의 크린칭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플라이어(10) 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내외측패널(11),(12)을 함께 고정시켜 주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미설명부호 13은 작업대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크린칭 수단은 내외측패널(11),(12)간의 정확한 세팅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지 못했던 단점을 갖고 있었다. 즉, 작업자가 망치 등으로 패널을 두드리면서 작업을 하다보면 패널 자체 변형이나 내외측패널간의 세팅상태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를 보상해 주기 위해 크린칭 수단을 수시로 풀고 재차 조이는 조작을 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작업이 진행되는 중에는 패널의 변형 정도를 검사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작업 후 고정도의 제품상태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간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패널면에 형합 가능한 단면을 갖는 템플레이트 수단과 패널면을 밀착 지지해주면서 작업대상에 고정되는 크린칭 수단을 모두 갖춘 크린칭 지그를 제공함으로써, 판금작업상 향상과 제품 정도 확보를 도모할 수 있게 하는 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사각형 판체(20)로 이루어지되, 판체(20)의 폭 방향 한쪽 끝단부에는 패널면에 형합 가능한 모방단면(21)이 소정의 구간에 걸쳐서 형성되고, 이 모방단면(21)의 양옆에는 이곳보다 바깥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고정편(22)이 각각 형성되며, 모방단면(11)과 고정편(22)의 연접부위에는 일정 깊이 안쪽으로 들어간 요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판체(2O)는 약 12정도의 두께로 된 알루미늄 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체(20)에는 손잡이용 구멍(14)이 양편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크린칭 지그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번호 20은 판체를 나타낸다.
상기 판체(2O)는 신체적인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약 12정도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재의 판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판체(2O)의 폭방항 한쪽 끝단부(예컨대, 직사각형을 구성하는 4개의 변 중에서 긴 쪽의 어느 한 변)에는 패널면 특히, 도어 내측패널면이 갖는 외각 라인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함께 형합될 수 있도록 된 모방단면(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의 모방단면(21)은 변 전체구간 중에서 양쪽의 끝부분 일부를 제외한 전구간에 걸쳐서 연속 형성되어 있으며, 패널면의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면서 패널면 전체 길이에 걸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22는 고정편을 나타낸다.
상기 고정편(22)은 판체(20)의 폭 방향 한쪽 끝단부에 형성되는 모방단면(21)의 양옆에 각각 형성된다.
즉, 모방단면(21)의 형성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 중에서 길이 방향 선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약 100내외의 폭을 갖게 되며, 모방단면(21) 보다는 일정 길이 바깥 쪽으로 연상된 길이를 갖게 된다.
이러한 고정편(22)이 후술하는 작업대(13)상의 고정편 끼움홈(14)에 일부 끼워짐으로써, 판체 전체가 지지될 수 있게 되며, 이와 동시에 패널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23은 요홈을 나타낸다.
상기 요홈(23)은 모방단면(11)과 고정편(22)간의 연접부위에 형성되며, 모방단면(21)이 끝나는 하단면에서부터 안쪽으로 소정의 길이 예컨대, 외측패널(12)의 끝단 접합부가 갖는 높이 만큼 절결 성형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의 요홈(23) 바닥면은 모방단면(21)이 패널면에 형합 됨과 동시에 외측패널(12)의 끝단면과 접하면서 눌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4는 고정편 끼움홈을 나타낸다.
상기 고정편 끼움홈(14)은 작업대(13)의 단차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직업 진행 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균등 배치된다.
이때의 고정편 끼움홈(14)은 고정편(22)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여기에 꼭 맞게 끼워지는 고정편(22)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크린칭 지그를 사용한 도어 내외측패널(11),(12)에 대한 판금작업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대(13) 위에 외측패널(12)과 내측패널(11)을 차례로 적층 조합하고, 각 패널간의 배치 상태를 정확하게 세팅한다.
이렇게 패널에 대한 세팅이 완료되면 본 고안의 크린칭 지그를 상기 내측패널(11)의 패널면 위에 장착한다.
이때의 크런칭 지그, 즉 판체(20)는 모방단면(21)을 이용하여 내측패널면에 형합되는 동시에 양편의 고정편(11)을 이용하여 작업대상의 고정편 끼움홈(14)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패널 세팅상태가 최초의 세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크린칭 지그를 통하여 패널 세팅상태가 유지되는 가운데 작업자는 망치 등으로 외측패널의 세워져 있는 테두리를 안쪽으로 가격하여 내측패널의 테두리 위에 함께 접을 수 있게 됨으로서, 작업이 비교적 쉽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 진행 정도에 따라서 손잡이 즉, 구멍(24)을 이용하여 상기 판체(20)의 장착 위치를 옮길 수 있게 되므로 연속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만일 불규칙적인 가격 등으로 인해 패널이 변형 정도가 심하게 되면, 패널면과 모방단면(20)간의 밀착부위에는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작업자가 이를 쉽게 발견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도중에라도 수시로 변형 정도를 보상해줄 수 있게 된다. 즉, 변형 부위에 대한 선택적인 가격 작업으로 이를 보상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차체 판금작업 시 패널의 세팅상태를 정확히 유지시켜줄 수 있고, 패널의 변형 정도를 검사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갖춘 크린칭 지그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완벽한 정도를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전체적인 형상이 직사각형 판체(20)로 이루어지되, 판체(20)의 폭 방향 한쪽 끝단부에는 패널면에 형합 가능한 모방단면(21)이 소정의 구간에 걸쳐서 형성되고, 이 모방단면(21)의 양 옆에는 이곳보다 바깥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고정편(22)이 각각 형성되며, 모방단면(21)과 고정편(22)의 연접부위에는 일정 길이 안쪽으로 들어간 요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레이트 겸용 크린칭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20)는 약 12정도의 두께로 된 알루미늄 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레이트 겸용 크린칭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20)에는 손잡이용 구멍(24)이 양편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레이트 겸용 크린칭 지그.
KR2019950033815U 1995-11-16 1995-11-16 템플레이트 겸용 크린칭 지그 KR200153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815U KR200153030Y1 (ko) 1995-11-16 1995-11-16 템플레이트 겸용 크린칭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815U KR200153030Y1 (ko) 1995-11-16 1995-11-16 템플레이트 겸용 크린칭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167U KR970021167U (ko) 1997-06-18
KR200153030Y1 true KR200153030Y1 (ko) 1999-08-02

Family

ID=1942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3815U KR200153030Y1 (ko) 1995-11-16 1995-11-16 템플레이트 겸용 크린칭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0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167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0736A1 (en) Method for fabricating sheet metal product having three-dimensional shape, and product
CA2146834A1 (en) Finger Joint Template
JP6585868B1 (ja) 板枠組立用補助装置
JPH0358854B2 (ko)
KR200153030Y1 (ko) 템플레이트 겸용 크린칭 지그
JPH0719135U (ja) リベット留めスチ−ルパレット
JP2000126895A (ja) 溶接用工具及びそれを使用した溶接接合方法
TWI220878B (en) Supporting, fastening and reinforcing member for a plane tool used into a waste stripping station of a diecutting press
KR100208575B1 (ko) 차체 판금작업용 크린칭 지그
JP3994452B2 (ja) 筐体の骨組み構造
JP2820907B2 (ja) 中空角パイプ屈曲加工方法
JP2001336291A (ja) ガゼット溶接用治具
JP3107576U (ja) 作業補助用の定規型プレート
JP3472884B2 (ja) 曲げ加工用平鋼板及びその曲げ加工方法
EP0658132B1 (en) Means for aligning the edges of plate-like bodies to be welded
JP7209757B2 (ja) 溶接補助部品
KR100187819B1 (ko) 자동차의 점토 모델 가공용 지그
JP2916184B2 (ja) 壁パネルの枠体の製造方法
JPS6210032Y2 (ko)
JPH0438903Y2 (ko)
JPS6210030Y2 (ko)
JPH04238669A (ja) 角継手の溶接方法
JPH11324112A (ja) 鋼製建材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JPH028852B2 (ko)
JP4506995B2 (ja) 横架材等構造部材の一次加工材在庫と二次加工用墨付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