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752Y1 -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752Y1
KR200152752Y1 KR2019950044047U KR19950044047U KR200152752Y1 KR 200152752 Y1 KR200152752 Y1 KR 200152752Y1 KR 2019950044047 U KR2019950044047 U KR 2019950044047U KR 19950044047 U KR19950044047 U KR 19950044047U KR 200152752 Y1 KR200152752 Y1 KR 200152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terminal
unit
vehic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337U (ko
Inventor
최석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4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752Y1/ko
Publication of KR970035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동작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 입력부(10)와, 차량의 주변에 근접되어 있는 물체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센서부(20)와, 상기한 광센서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30)와, 상기한 증폭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반전시킨 뒤에, 상기한 신호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논리 합하여 출력하는 로직 인터페이스부(40)와, 상기한 로직 인터페이스부(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적색의 경고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경고 표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거나, 차량의 주변으로 접근하고 있는 물체를 감지하여 이를 운전자에 경고하여 줌으로써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고, 회로를 단화시킴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구성할 수가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와 충돌 방지용 경고 장치
도면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작 신호 입력부 20 : 광센서부
30 : 증폭부 40 : 로직 인터페이스부
50 : 경고 표시부 S11 : 동작 스위치
G4l : 인버터 G42 : 오아 게이트
Q51 : 트랜지스터
이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거나, 차량의 주변으로 접근하고 있는 물체를 감지하여 이를 운전자에 경고하여 줌으로써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고, 회로를 간단화시킴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구성할 수가 있는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운행시키는 경우에 차체의 구조상 사각 지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각 지역에 위치하고 있거나, 사각 지역으로 접근하고 있는 물체를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인명사고나 충돌 사고 등을 일으킬 수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서, 카메라 및 모니터를 차량에 설치한 뒤에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에는 카메라가 돌출되어 사각 지역의 영상을 모니터에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사각 지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94-26506호(출원일자: 서기 1994년 10월 11일)의 차량의 백아이 시스템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백아이 시스템(back eye system)은 카메라(camera)와 모니터(monitor)를 사용하므로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일반 운전자들은 경제적인 사정으로 인하여 설치하기가 수월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자동차의 백아이 시스템은 자동차를 후진시키는 경우에만 동작되므로, 주행 도중에 뒤쪽이나 옆쪽으로 다가오는 차량과의 충돌 가능성은 알려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거나, 차량의 주변으로 접근하고 있는 물체를 감지하여 이를 운전자에 경고하여 줌으로써 충돌 사고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고, 회로를 간단화시킴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구성할 수가 있는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사용자가 동작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 입력부와, 차량의 주변에 근접되어 있는 물체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센서부와, 상기한 광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한 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반전시킨 뒤에, 상기한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논리 합하여 출력하는 로직 인터페이스부(logic interface)와, 상기한 로직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적색의 경고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경고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하다 구성은, 사용자가 동작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 입력부(10)와, 주의 물체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센서부(20)와, 상기한 광센서부(2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증폭부(30)와, 상기한 증폭부(30)와 신호 입력부(1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로직 인터페이스부(40)와, 상기한 로직 인터페이스부(4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경고 표시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동작 신호 입력부(10)의 구성은, 전원 신호선(B+)에 한쪽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l1)과, 상기한 저항(Rl1)의 다른 한쪽 단자와 접지의 사이에 연결되어 동작 스위치(S1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로직 인터페이스부(40)의 구성은, 증폭부(30)의 출력단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인버터(inverter) (G41)와, 상기한 인버터(G41)의 출력 단자와 상기한 동작 신호 입력부(10)의 출력단에 입력 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오아게이트(OR gate) (G4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경고 표시부(50)의 구성은, 로직 인터페이스부(40)의 출력단에 한쪽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51)와, 상기한 저항(R51)의 다른 한쪽 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전원 신호선(B+)에 에미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 (Q51)와, 상기한 트랜지스터(Q51)의 베이스 단자와 에미터 단자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R52)과, 상기한 트랜지스터(Q51)의 컬렉터 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발광 다이오드(D51)와, 상기한 발광 다이오드(D51)의 출력 단자와 접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장하다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원 신호(B+)가 인가되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하다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되면, 전원 신호(B+)가 동작 신호 입력부(10)의 저항(R11)을 거쳐 로직 인터페이스부(40)의 오아 게이트(G42)로 인가된다.
따라서, 로직 인터페이스부(40)의 오아 게이트(G42)는 디스에이블됨으로써 인버터(G4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는 상관없이 항상 하이상태의 신호를 경고 표시부(50)로 출력 한다.
경고 표시부(50)의 트랜지스터(Q51)는, 로직 인터페이스부(40)로부터 저항(R51)을 거쳐서 입력되는 하이상태의 신호에 의해 턴오프됨으로써 발광을 다이오드(D51)가 동작되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동작 신호 입력부(10)의 동작 스위치(S11)를 온시키면 로우상태의 신호가 동작 신호 입력부(10)의 저항(R11)을 거쳐 로직 인터페이스부(40)의 오아 게이트(G42)로 인가된다.
따라서, 로직 인터페이스부(40)의 오아 게이트(G42)는 인에이블됨으로써 인버터(G4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경고 표시부(50)로 출력한다.
광센서부(20)는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차량의 측면이나 후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물체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부(30)로 출력한다. 즉, 광센서부(20)는 차량의 주변에 근접되어 있는 물체가 있는 경우에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증폭부(30)로 출력하고, 차량의 주변에 근접되어 있는 물체가 없는 경우에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증폭부(30)로 출력 한다.
증폭부(30)는 광센서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로직 인터페이스부(40)로 출력하고, 로직 인터페이스부(40)의 인버터(G41)는 이를 반전하여 오아 게이트(G42)로 출력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변에 근접되어 있는 근접되어 있는 물체가 있는 경우에 로직 인터페이스부(40)의 오아 게이트(G42)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경고 표시부(50)로 출력하고, 차량의 주변에 근접되어 있는 물체가 없는 경우에 로직 인터페이스부(40)의 오아 게이트(G42)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경고 표시부(50)로 출력한다.
경고 표시부(50)의 트랜지스터(Q51)는, 로직 인터페이스부(40)로부터 저항(R51)을 거쳐서 입력되는 로우상태의 신호에 의해 턴온됨으로써 발광다이오드(D51)가 동작되도록 한다.
발광 다이오드(D51)가 동작되면 적색의 경고 신호가 운전자에게 출력됨으로써 운전자가 이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 예에서,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거나, 차량의 주변으로 접근하고 있는 물체를 감지하여 이를 운전자에 경고하여 줌으로써 충돌 사고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고, 회로를 간단화시킴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구성할 수가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러한 과는 자동차의 전기장치 분야에서 이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4)

  1. 사용자가 동작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 입력부(10)와, 차량의 주변에 근접되어 있는 물체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센서부(20)와, 상기한 광센서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30)와, 상기한 증폭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반전시킨 뒤에, 상기한 신호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로직 인터페이스부(40)와, 상기한 로직 인터페이스부(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적색의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경고 표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작 신호 입력부(10)는 전원 신호선(B+)에 한쪽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11)과, 상기한 저항(R11)의 다른 한쪽 단자와 접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스위치(S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치 .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직 인터페이스부(40)는, 상기한 증폭부(30)의 출력단에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인버터(G41)와, 상기한 인버터(G41)의 출력 단자와 상기한 동작 신호 입력부(10)의 출력단에 입력 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오아 게이트(G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경고 표시부(50)는, 상기한 로직 인터페이스부(40)의 출력단에 한쪽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51)와, 상기한 저항(R51)의 다른 한쪽 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전원 신호선(B+)에 에미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51)와, 상기한 트랜지스터(Q51)의 베이스 단자와 에미터 단자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R52)과, 상기한 트랜지스터(Q51)의 컬렉터 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발광 다이오드(D51)와, 상기한 발광 다이오드(D51)의 출력 단자와 접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 장치.
KR2019950044047U 1995-12-19 1995-12-19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장치 KR200152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047U KR200152752Y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047U KR200152752Y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337U KR970035337U (ko) 1997-07-26
KR200152752Y1 true KR200152752Y1 (ko) 1999-07-15

Family

ID=1943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047U KR200152752Y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7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337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2752Y1 (ko) 자동차의 충돌 방지용 경고장치
KR100260186B1 (ko) 후부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72716B1 (ko) 차량의사고방지장치및방법
KR0137571Y1 (ko) 자동차의 경고 표시등 고장 경보 장치
KR950004817B1 (ko) 전동식 백미러를 이용한 승용차시야확보장치
JPH07237513A (ja) 車両用障害物警報装置
KR0144761B1 (ko) 차량의 램프단선경고회로
KR0138075Y1 (ko) 차량의 후방조명장치
KR200184483Y1 (ko) 자동차 후방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0153628B1 (ko) 자동차 안전사고 예방장치
KR0128528Y1 (ko) 후진용 경보장치
KR0153903B1 (ko) 차량의 후진상태 표시장치
KR200143421Y1 (ko) 자동차의 안전 장치
KR900009398Y1 (ko) 자동차용 백밀러의 보조감지장치
KR200140884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지시 장치
KR960010554Y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비상등 점등장치
KR970004741B1 (ko) 차량 출발시 진행방향 표시 및 경보장치
KR0112964Y1 (ko) 자동차용 라이트스위치의 미작동시 경고장치
KR19980018166U (ko) 자동차의 물건 끼임 경고장치
KR19980012944U (ko) 차량용 룸미러
KR19990051952A (ko) 광감지식 자동차 미등 고장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54719A (ko) 자동차의 등화장치 제어회로 및 방법
KR20040088272A (ko)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KR970038056A (ko) 차량용 브레이크등의 단선검출회로
KR19990027126A (ko) 차량의 안개등 구동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