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126Y1 - 전동기의 하우징 - Google Patents

전동기의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126Y1
KR200152126Y1 KR2019960030963U KR19960030963U KR200152126Y1 KR 200152126 Y1 KR200152126 Y1 KR 200152126Y1 KR 2019960030963 U KR2019960030963 U KR 2019960030963U KR 19960030963 U KR19960030963 U KR 19960030963U KR 200152126 Y1 KR200152126 Y1 KR 200152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pper housing
lower housing
motor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576U (ko
Inventor
김강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30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126Y1/ko
Publication of KR199800175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5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1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기의 외부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외부 하우징이 프라스틱 재질의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선단 내주면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선단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10)에 형성된 암나사부(12)와 나사 결합되는 숫나사부(22)가 형성되어, 전동기 제조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감소킬 수 있고, 하우징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전동기가 제조된 후 전동기의 불량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분리할 수 있어 전동기를 수리하기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기의 하우징
본 고안은 전동기의 외부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자체에 나사산을 형성시켜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나사 결합하여 체결하도록 된 전동기의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동기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로서, 종래의 전동기는, 고정자 코어와, 고정자 코일로 이루어져 자속을 만드는 고정자(1)와, 정류자와, 전기자 및, 축으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고정자(1)에 의해 형성된 자속내에서 회전 운동을 하는 회전자(3), 상기 회전자(3) 축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축이 원할하게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상부 및 하부 베어링(7-1, 7-2), 상기 고정자(1)를 고정함과 더불어 상기 회전자(3)의 축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어링(7-1, 7-2)이 상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하우징(9)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자(1) 및 회전자(3)를 지지하는 하우징은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프라스틱 재질의 하우징의 경우에는 레진(resin)을 사출하여 고정자(1) 전체를 몰딩시켜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열경화성 수지인 레진을 이용하여 몰딩하는 방식은 생산시의 공해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레진 재료를 재사용할 수 없어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단 몰딩된 후에 불량품을 수리하기가 불가능하고, 레진을 사출하여야 함에 따라 생산시 많은 시설, 시간, 사람이 소요되어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제조 후 전동기 불량이 발생된 경우에 전동기 수리를 용이하게 하는 전동기의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동기의 하우징은, 프라스틱 재질의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하우징의 선단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선단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전동기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
제2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기의 상부 하우징의 단면도.
제2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기의 하부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하우징 12 : 암나사부
20 : 하부 하우징 22 : 숫나사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기의 상부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제2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전동기의 하우징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전동기의 하우징은, 프라스틱 재질의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선단 내주면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선단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10)에 선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2)와 나사 결합되는 숫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전동기의 하우징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고정자와, 회전자, 상부 및 하부 베어링을 각각 내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부(12)와 숫나사부(22)를 나사 결합하여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을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체결시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을 회전시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나사 결합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결합력(체결력)이 약한 경우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부(12) 또는 숫나사부(24)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나사 결합하여 체결함에 따라 제조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하우징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전동기가 제조된 후 전동기의 불량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분리할 수 있어 전동기를 수리하기 용이한 것이다.

Claims (1)

  1. 프라스틱 재질의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하우징의 선단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선단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된 전동기의 하우징.
KR2019960030963U 1996-09-24 1996-09-24 전동기의 하우징 KR200152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963U KR200152126Y1 (ko) 1996-09-24 1996-09-24 전동기의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963U KR200152126Y1 (ko) 1996-09-24 1996-09-24 전동기의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576U KR19980017576U (ko) 1998-07-06
KR200152126Y1 true KR200152126Y1 (ko) 1999-07-15

Family

ID=1946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963U KR200152126Y1 (ko) 1996-09-24 1996-09-24 전동기의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1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375B1 (ko) * 2019-06-19 2020-11-30 네덱(주) 멀티콥터용 구동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941B1 (ko) * 2001-09-07 2004-06-07 남동전동기주식회사 팬코일 유니트 전동기의 케이스
KR100766208B1 (ko) * 2006-04-24 2007-10-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모터의 하우징과 이에 사용되는 쉘의 제조방법
KR102036634B1 (ko) * 2018-08-27 2019-10-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모터 하우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375B1 (ko) * 2019-06-19 2020-11-30 네덱(주) 멀티콥터용 구동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576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5209B1 (en) Small-sized motor equipped with worm gear reduc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123423A1 (en) Fan having an integrated ip protection
JP2008131683A (ja) アキシャルエアギャップ型電動機
KR200152126Y1 (ko) 전동기의 하우징
US20070222320A1 (en) Molded rotor assembly for electric motors
JP2002084699A (ja) 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US7084544B2 (en) Brushless DC motor
KR100503721B1 (ko) 직류 전동기
KR100191401B1 (ko) 모터의 고정자코일 권선용 보조기구
JP2007252040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
JPH0538118A (ja) 無刷子電動機
CN216290592U (zh) 一种电机定子电枢对中安装装置
JP2816995B2 (ja) 樹脂モールドモータ
KR100325919B1 (ko) 회전자의 임펠라고정방법
KR100670471B1 (ko) 스핀들 모터
EP4358366A1 (en) Stator unit, molded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ator unit
CN220605657U (zh) 一种电机
KR0135712Y1 (ko) 전동 디스크 그라인더의 베어링 하우징
KR102297686B1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20220166297A1 (en) Motor and assembling method of motor rotor structure
JP2564130Y2 (ja) 励磁機内蔵形ブラシレス発電機
KR100390604B1 (ko) 모터용 하우징 구조
KR200144706Y1 (ko) 모터
KR0125757Y1 (ko) 회전자의 영구자석 고정장치
KR200175550Y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