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618Y1 -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618Y1
KR200151618Y1 KR2019970009556U KR19970009556U KR200151618Y1 KR 200151618 Y1 KR200151618 Y1 KR 200151618Y1 KR 2019970009556 U KR2019970009556 U KR 2019970009556U KR 19970009556 U KR19970009556 U KR 19970009556U KR 200151618 Y1 KR200151618 Y1 KR 200151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ook portion
vehicle body
wir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849U (ko
Inventor
손재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09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618Y1/ko
Publication of KR19980064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되는 전기배선이나 케이블을 차체 패널에 고정지지하기 위한 배선지지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전선하니스(4)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전선홀더부(1)가 상면에 일체로 구비된 베이스(2)와, 한쪽선단은 상기 베이스(2)에 끼워져 결합되고, 다른쪽 선단은 차체의 패널 등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부(3)를 포함한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3)가 상기 베이스(2)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그 베이스(2)에 분해·조립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차체 패널(5)과 결합되는 걸림턱(3a)이 후크부(3)에 구비되며, 이 후크부(3)의 걸림턱(3a)은 후크부(3)의 상단에 구비된 누름손잡이부(3b)를 누르거나 누름해제함에 따라 그 양단 폭이 신축하는 구조로 되어, 후크부가 파손됨이 없이 차체의 패널로부터 이탈가능하도록 되어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원가절감을 할 수 있고, 후크부와 베이스부가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서로 조립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금형이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으며, 후크부등이 파손된다 하더라도 클립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파손된 후크부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부품낭비에 의한 손실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되는 전기배선이나 케이블을 차체 패널에 고정지지하기 위한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 패널에 탈착하기가 쉽고, 후크부의 손상없이 패널에서 분리해체할 수 있도록 되어 반복 재사용가능하도록 된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운전 편의성 향상을 위해 각종 전기·전자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그 배선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자동차에 설치되는 전선을 효율적으로 정리배치하고 차체에 요동없이 지지하며 미관을 좋게 하기위해 전선 하니스를 차체에 고정지지하는 배선지지용 클립이 여러종류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한가지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에 돌출성형된 훅크(12)를 차체의 플로어패널에 뚫려있는 구멍에 삽입고정하여 몸체를 차체의 일정한 장소에 흔들림없이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고정부(11)에서 길게 연장되어 나온 밴드부(13)로 전선 하니스를 묶은 다음, 그 밴드부(13) 자유선단에 구비된 끼움부재(14)를 상기 고정부(11)의 삽입홈(11a)에 끼워 상기 전선 하니스를 차체에 고정설치해 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형태의 클립은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 저면에 구비된 후크부(22)를 차체 패널의 결합구멍에 삽입하여 베이스(21)를 차체 패널에 고정설치하고, 그 베이스(21)의 윗면에 구비된 전선홀더부(23)안에 전선하니스(24)를 끼워 지지함으로써 전선하니스(24)를 배선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밴드형 클립은 지지하는 전선하니스(24)가 굵어서 무게가 무거우면 그 고정부(11)에 결합된 끼움부재(14)가 쉽게 삽입홈(11a)에서 이탈하면서 전선하니스(24)가 풀어지는 단점이 있고, 상기 종래의 베이스형 클립의 경우, 차체 패널에 조립되어 있는 클립을 분리해체해 내면 그 패널에 끼워져 있던 후크부(22)의 걸림턱이 파손되면서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 자동차 배선지지용 클립이 가진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선하니스를 견고히 지지해주도록 되어 있으며,차체 패널에 한 번 조립되어 사용되다가 필요에 따라 그 차체 패널과 결합하고 있는 후크부의 손상없이 그 차체 패널로 부터 분리해 낼 수 있도록 되어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 배선을 끼워지지하는 전선홀더부가 상면에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저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차체 패널과 결합되어 베이스의 전선홀더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전선하니스를 차체 패널에 고정지지해주는 후크부를 포함한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베이스에 걸림고정되어 그 베이스로 부터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그 후크부는 탄력적으로 신축하면서 차체 패널과의 결합구멍과 결합되는 부위의 폭이 신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배선지지용 클립은 후크부를 차체 패널의 결합구멍에 삽입하거나 삽입된 상태에서 다시 분리해 낼 때 그 폭을 오무려 차체 패널과 간섭없이 삽입 또는 분리해 낼 수 있으므로, 차체 패널에 조립하거나 분리해 낼 때 손상을 막을 수 있어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한번 조립된 것이라도 다시 분리해 내어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지지용 클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선지지용 클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선지지용 클립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선홀더부 2 : 베이스
2a : 후크부 조립구멍 2b : 걸이구멍
3 : 후크부 3a : 걸림턱
3b : 누름손잡이부 3c : 걸림돌기
4 : 전선하니스 5 : 차체 패널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지지용 클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및, 도 2b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선지지용 클립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전선홀더부(1)가 상면에 일체로 구비된 베이스(2)와, 한쪽선단은 상기 베이스(2)에 끼워져 결합되고, 다른쪽 선단은 차체의 패널 등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부(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선홀더부(1)는 베이스(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전체적인 형상이 튜브형상으로 되면서 중앙 상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그 절개부의 양쪽 선단이 안쪽으로 약간 굽힘성형됨으로써 내측에 삽입되는 전선하니스(wire harness, 4)를 눌러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는 상기 후크부(3)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후크부 조립구멍(2a)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 조립구멍(2a) 주위에는 그 조립구멍(2a)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후크부(3) 일부를 끼워서 고정해주는 걸이구멍(2b)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추형으로 되면서 그 측벽이 상단에서 하단 부근까지 절개되어 탄성을 가지는 4개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4개의 탄성편중 서로 마주보는 1쌍의 탄성편은 상부가 가로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턱(3a)을 형성하고, 그 걸림턱(3a)의 상부는 다시 길이방향으로 절곡성형되어 누름손잡이부(3b)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1쌍의 누름손잡이부(3b)을 동시에 집어서 눌러주면 이들 누름손잡이부(3b) 아랫쪽의 걸림턱(3a) 양단폭이 줄어들어 상기 후크부(3)가 상기 베이스(2)의 후크부 조립구멍(2a)에 삽입되거나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될 때 그 조립구멍(2a)의 가장자리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음으로써 걸림턱(3a)이 파손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1쌍의 탄성편은 상단에 걸림돌기(3c)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2)의 걸이구멍(2b)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베이스(2)에 결합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2)의 걸이구멍(2b)에 상기 걸림돌기(3c)를 끼워 고정하여 상기 후크부(3) 전체를 상기 베이스(2)에 결합한 후 상기 후크부(3)의 누름손잡이부(3b)를 눌러서 후크부(3)의 걸림턱(3a) 양단 폭을 줄인 상태로 차체의 패널(5)의 구멍에 삽입한 다음 그 누르고 있던 누름손잡이부(3b)를 놓으면 걸림턱(3a)이 벌어지면서 차체 패널(5)의 저면에 걸려서 고정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지지용 클립을 차체 패널(5)에 고정한 상태에서 전선하니스(4)를 절개부를 통하여 전선홀더부(1)안으로 밀어넣으면 그 전선하니스(4)는 전선홀더부(1)안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어 차체 패널(5)에 정돈된 상태로 배선된다.
그리고 나서 배선위치를 변경하는 경우나 배선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후크부(3)의 양쪽 누름손잡이부(3b)를 공구나 손으로 잡고 동시에 오무려 차체 패널(5) 저면에 걸려 있던 걸림턱(3a)의 양단 폭을 줄인 상태에서 위쪽으로 당겨주면 상기 후크부(3)의 걸림턱(3a)은 차체 패널(5)의 구멍과 간섭없이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후크부(3)의 손상없이 조립된 클립을 분리하여 다른 위치에 다시 조립하는 등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은 후크부가 파손됨이 없이 차체의 패널로부터 이탈가능하도록 되어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원가절감을 할 수 있고, 후크부와 베이스부가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서로 조립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금형이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으며, 후크부등이 파손된다 하더라도 클립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파손된 후크부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부품낭비에 의한 손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선하니스(4)를 끼워지지하는 전선홀더부(1)를 구비한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 저면에 돌출성형되어 차체 패널(5)과 결합하면서 상기 베이스(2)의 전선홀더부(1)에 삽입되어 고정된 전선하니스(4)를 차체 패널(5)에 고정지지해주는 후크부(3)를 포함한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3)가 상기 베이스(2)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그 베이스(2)에 분해·조립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차체 패널(5)과 결합되는 걸림턱(3a)이 후크부(3)에 구비되며, 이 후크부(3)의 걸림턱(3a)은 후크부(3)의 상단에 구비된 누름손잡이부(3b)를 누르거나 누름해제함에 따라 그 양단 폭이 신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
KR2019970009556U 1997-04-30 1997-04-30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 KR200151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556U KR200151618Y1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556U KR200151618Y1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849U KR19980064849U (ko) 1998-11-25
KR200151618Y1 true KR200151618Y1 (ko) 1999-07-15

Family

ID=1950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556U KR200151618Y1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6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849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1618Y1 (ko) 자동차의 배선지지용 클립
KR200158342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KR100922147B1 (ko) 램프홀더조립체
KR101824401B1 (ko) 자동차의 와이어 고정용 클립
KR100637696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100205870B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램프
KR200149892Y1 (ko) 전선정리용 클립
KR102529731B1 (ko) 체결형 그로멧
JPH1141744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KR19990031899U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구조물
KR200391766Y1 (ko) 고정용 클립
JPH0128571Y2 (ko)
KR19980049041U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고정클립의 구조
KR200145109Y1 (ko) 시트벨트 트림카바
KR100440858B1 (ko) 자동차의 케이블 고정 클립
KR200145167Y1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취부구조
KR200800865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S586127Y2 (ja) ヒュ−ズケ−ス用保持器
KR100309877B1 (ko) 자동차의커버로커몰딩장착구조
KR970000413Y1 (ko) 자동차의 크러시 패드 고정구조
KR19980062502U (ko) 와이어링하니스 고정용 클립
KR200143864Y1 (ko) 배선/케이블 클립조립체
KR200431115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KR0181827B1 (ko) 카 오디오용 파워 컨넥터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