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147B1 - 램프홀더조립체 - Google Patents

램프홀더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147B1
KR100922147B1 KR1020070028418A KR20070028418A KR100922147B1 KR 100922147 B1 KR100922147 B1 KR 100922147B1 KR 1020070028418 A KR1020070028418 A KR 1020070028418A KR 20070028418 A KR20070028418 A KR 20070028418A KR 100922147 B1 KR100922147 B1 KR 100922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amp holder
holder
lamp
rea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582A (ko
Inventor
천진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1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8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홀더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램프와 결합되고, 외면에 걸림돌기(57)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램프홀더(50)와 상기 램프홀더(50)의 후단에 장착되고 외면에는 상기 걸림돌기(57)에 걸어지는 걸이후크(73)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후크(73)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리브(81,82)가 형성되는 리어홀더(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홀더에 걸이후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리브와 보강리브가 구비됨에 의해 상기 결합후크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반복되는 착탈에도 상기 리어홀더가 상기 램프홀더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리어홀더, 결합후크, 보강리브, 지지리브

Description

램프홀더조립체{Lamp holder assembl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램프홀더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램프홀더와 리어홀더가 결합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램프홀더와 리어홀더가 결합된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램프홀더 51:램프홀더하우징
53:시일스토퍼 55:램프스토퍼
57:걸림돌기 61:결합레버
62:결합부 63:결합슬롯
64:누름부 65:와이어가이드
67:중간리브 70:리어홀더
71:리어홀더몸체 73:걸이후크
75:손잡이부 77:와이어채널
78:결합보스 79:회피슬릿
81:제1지지리브 82:제2지지리브
83:제1보강리브 84:제2보강리브
본 발명은 램프홀더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홀더에 장착되는 리어홀더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램프홀더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램프홀더조립체는 램프, 예를들어 자동차용 안개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램프홀더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램프홀더조립체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램프홀더(10)의 골격을 램프홀더하우징(11)이 형성한다. 상기 램프홀더하우징(11)은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램프(미도시)의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외부의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램프홀더하우징(11)의 외부로 연장된다. 편의상 상기 터미널과 와이어는 도시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램프홀더하우징(11)의 외면 일측에는 결합레버(1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버(13)는 상기 램프홀더하우징(11)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그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레버(13)는 상기 램프홀더(10)를 상기 램프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램프홀더하우징(11)의 외면을 둘러서는 상기 결합레버(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시일스토퍼(15)가 형성된다. 상기 시일스토퍼(15)는 방수를 위하여 상기 램프홀더(10)에 설치되는 시일부재(미도시)의 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램프홀더하우징(11)의 양측면에는 램프스토퍼(17)가 형성된다. 상기 램프스토퍼(17)는 상기 램프홀더(10)에 장착되는 램프가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램프홀더하우징(11)에는 외면을 둘러서 걸림돌기(19)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9)는 후술할 리어홀더(20)가 장착되기 위한 구성으로 그 일측에는 경사가이드면이 형성된다.
상기 램프홀더하우징(11)의 후단에는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가 후방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어홀더(20)가 장착된다. 상기 리어홀더(20)의 골격을 리어홀더몸체(21)가 형성하는데 그 양단에는 상기 걸림돌기(19)에 걸어지는 걸이후크(23)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23)는 상기 리어홀더몸체(21)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걸이후크(23)의 선단은 상기 램프홀더(10)와 상기 리어홀더(20)가 결합되면 상기 시일스토퍼(15)와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 걸이후크(23)의 내측에는 걸이슬롯(2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25)에는 상기 걸림돌기(19)가 삽입되어 걸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걸이후크(23)는 상기 걸림돌기(19)에 걸어짐에 의하여 상기 리어홀더(20)를 상기 램프홀더(10)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하지만 상기 걸이후크(23)는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길게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리어홀더(20)의 반복되는 착탈에 의해 소성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 리어홀더(20)가 제대로 장착되지 않거나 장착된 상태에서도 이탈되기 쉬워 단자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홀더에 리어홀더가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램프와 결합되고, 외면에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램프홀더와 상기 램프홀더의 후단에 장착되고 외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지는 걸이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후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리브가 형성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어홀더는 몸체 및 외관을 구성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리브가 형성되는 리어홀더몸체와, 상기 리어홀더몸체의 대칭되는 위치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걸이후크와, 상기 리어홀더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걸이후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리어홀더몸체와 상기 걸이후크를 연결하는 제1지지리브와, 상기 리어홀더몸체와 상기 걸이후크를 연결하고 상기 걸이후크 사이를 연결하는 제2지지리브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리브에는 상기 걸이후크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제 1보강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에는 상기 걸이후크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제 2보강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홀더에 걸이후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리브와 보강리브가 구비됨에 의해 상기 결합후크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반복되는 착탈에도 상기 리어홀더가 상기 램프홀더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램프홀더와 리어홀더의 결합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램프홀더와 리어홀더가 결합된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램프홀더(50)의 외관 및 골격은 램프홀더하우징(51)이 형성한다.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지 않은 램프와 결합된다.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내부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터미널(미도시)이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의 후단에는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되어 램프홀더하우징(51)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외면에는 그 일측에서 직교하게 돌출되는 시일스토퍼(53)가 형성된다. 상기 시일스토퍼(53)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개수와 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일스토퍼(53)는 방수를 위하여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에 설치되는 시일부재(미도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시일스토퍼(53)와 인접한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외면 양측에는 램프스토퍼(55)가 형성된다. 상기 램프스토퍼(55)는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외면으로부터 직교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램프홀더(50)에 장착되는 램프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외면을 둘러서는 다수개의 걸림돌기(57)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7)는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7)는 다수개가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외면에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7)가 형성되는 위치는 도 2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좌측, 즉 상기 시일스토퍼(53)보다 후술할 와이어가이드(65)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7)는 후술할 리어홀더(70)의 걸이후크(73)가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램프홀더(50)와 상기 리어홀더(7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57)에는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후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는 리어홀더(70)의 걸이후크(73)가 상기 걸림돌기(57)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외면 일측에는 결합레버(6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버(61)는 상기 램프홀더(50)를 측방향에서 볼 때 대략 'T'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레버(61)는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62)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62)는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슬롯(6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62)와 반대쪽으로 연장되게 누름부(64)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64)는 사용자가 눌러줌에 의해 상기 결합부(62)가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져 후술할 램프의 램프몸체와 분리되게 한다.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에는 그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게 와이어가이드(65)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가이드(65)는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가이드(65)에는 그 일측이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게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을 통해서 후술할 결합보스(78)가 상기 와이어가이드(65)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결합보스(78)를 통해서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가 리어홀더(70)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삽입공의 크기와 형상은 결합보스(78)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가이드(65)의 외주면과 상기 결합레버(61)의 누름부(64)에는 그 일측에서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리브(67)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리브(67)는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형성되는데, 그 중앙부분은 소정의 영역이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중간리브(67)가 상기 결합레버(61)의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탄성변형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에 장착되는 리어홀더(70)의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리어홀더(70)의 골격을 리어홀더몸체(71)가 형성한다. 상기 리어홀더몸체(71)는 절연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램프홀더(50)의 램프홀더하우징(51)과 같이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리어홀더(70)는 상기 램프홀더(50)의 후단에 장착되어 램프홀더(50)의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홀더(70)의 골격을 형성하는 리어홀더몸체(71)의 선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이후크(73)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73)는 상기 리어홀더(70)의 중심에서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걸이후크(73)에는 상기 걸림돌기(57)가 안착되는 걸이슬롯(7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73)는 상기 램프홀더(50)와 상기 리어홀더(70)가 결합되면 상기 걸림돌기(57)에 걸어진다.
그리고 상기 걸이후크(73)의 선단은 상기 램프홀더(50)와 상기 리어홀더(70)가 결합되면 상기 시일스토퍼(53)와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이는 걸이후 크(73)의 선단이 상기 시일부재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걸이후크(73)는 상기 시일스토퍼(53)와 함께 상기 시일부재를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양측 부분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홀더몸체(71)의 후단에는 손잡이부(75)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75)는 상기 리어홀더몸체(7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손잡이부(75)의 양측에는 와이어채널(77)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채널(77)은 상기 손잡이부(75)의 양측으로 개구된다. 상기 와이어채널(77)은 상기 터미널에 연결되고 상기 램프홀더(50)의 후방으로 연장된 와이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채널(77)이 개구된 방향이 상기 리어홀더(70)의 양측 방향이다.
상기 리어홀더몸체(71)의 선단에는 상기 와이어채널(77)과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결합보스(7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보스(78)는 대략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보스(78)는 상기 삽입공을 통해서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보스(78)의 선단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의 지지함으로써 상기 터미널이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내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보스(78)는 방수타입의 램프홀더(50)에서는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에 구비된 와이어시일이 램프홀더하우징(51)의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보스(78)에는 그 일측이 개구되어 회피슬릿(79)이 형성된다. 본 실 시예에서 상기 회피슬릿(79)은 원통형인 상기 결합보스(78)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피슬릿(79)은 이를 통해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후방으로 연장된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에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홀더(70)를 결합하더라도, 상기 와이어는 상기 리어홀더(70)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 상기 회피슬릿(79)을 통해 상기 리어홀더(70)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피슬릿(79)에 의해 상기 결합보스(78)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와이어가이드(71)에 쉽게 삽입된다.
한편 상기 리어홀더몸체(71)에는 지지리브(81,8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81,82)는 상기 리어홀더몸체(71)의 일측에서 상기 걸이후크(7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리브(81,82)는 상기 리어홀더몸체(7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각각을 제1지지리브(81)와 제2지지리브(82)로 구분한다.
상기 제1지지리브(81)는 상기 리어홀더몸체(71)와 상기 걸이후크(73)의 일측이 연장되어 둘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지지리브(81)는 상기 걸이후크(73)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리브(81)는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후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기 위하여, 상기 리어홀더몸체(71)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걸이후크(73)의 일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이는 상기 램프홀더(50)에 결합되는 상기 리어홀더(70)가 상기 지지리브(81,82)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지지리브(82)는 상기 리어홀더몸체(71)와 상기 걸이후크(73)를 연결 하고, 또한 상기 걸이후크(73)사이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리브(82)도 소정의 판형상으로 상기 제1지지리브(81)와 같이 상기 걸이후크(73)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리브(81,82)는 상기 걸림돌기(57)에 걸어지는 상기 걸이후크(73)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걸이후크(73)가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리브(81,82)에는 상기 걸이후크(73)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제1보강리브(8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보강리브(83)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리브(83)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보강리브(83)는 도 2에서 상세히 볼 수 있듯이 상기 지지리브(81)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림돌기(57)에 반복적으로 착탈되는 상기 걸이후크(73)가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리어홀더(70)를 상기 램프홀더(50)에 장착시 상기 제1보강리브(83)가 중간리브(67)의 양측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서 상기 리어홀더(7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겸한다.
상기 리어홀더(70)에는 상기 제1보강리브(83)와 더불어 상기 걸이후크(7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제2보강리브(8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보강리브(84)는 상기 걸이후크(73)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후크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보강리브(83,84)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램프홀더(50)에 장착되는 상기 리어홀더(70)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갭에 대응되게 돌출된다. 이는 상기 지지리브(81,82)에서와 같이 상기 리어홀더(70)가 상기 램프홀더(50)에 장착될 때 상기 보강리브(83,84)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램프(미도시)는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후단의 램프몸체부분에 램프홀더(50)의 선단이 삽입된다. 상기 램프몸체(미도시)에는 상기 결합레버(55)가 결합되는 걸이턱(미도시)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리어홀더(70)를 램프홀더(50)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리어홀더(70)의 손잡이부(75)를 작업자가 파지하고 상기 리어홀더(70)의 결합보스(78)부분을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와이어가이드(65)에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리어홀더(70)를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후단부를 향하여 밀어넣는다.
이에 의하여 상기 결합보스(78)는 삽입공을 통해 상기 와이어가이드(65)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결합보스(78)는 회피슬릿(79)에 의해 탄성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결합보스(78)는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가이드(65)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상기 결합보스(78)가 상기 와이어가이드(65)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리어홀더(70)의 걸이후크(73)는 상기 램프홀더(50)의 걸림돌기(57)에 걸어진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홀더(70)가 상기 램프홀더(5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어홀더(70)가 상기 램프홀더(50)에 장착되면, 상기 지지리브(81,82)는 상기 램프홀더하우징(51)의 후단부를 둘러 그 상면 및 저면의 대응되 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제1지지리브(81)의 연장된 위치는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고, 제2지지리브(82)의 연장된 위치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리브(83,8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홀더(50)와 상기 리어홀더(70)의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가이드(65)의 외면에 밀착된다. 특히 상기 리어홀더(7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보강리브(83)가 상기 중간리브(67)의 양측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홀더(50)에 장착된 상기 리어홀더(70)는 상기 램프홀더(50)에 대해서 유동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83,84)와 지지리브(81,82)가 상기 리어홀더몸체(71)와 상기 결합후크(73)에 형성되므로 상기 리어홀더(70)가 상기 램프홀더(50)에 반복 착탈됨에도 상기 결합후크(73)의 소성변형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조립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어홀더에 걸이후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지지리브와 보강리브가 구비됨에 의해 상기 결합후크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반복되는 착탈에도 상기 리어홀더가 소성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램프홀더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램프홀더조립체의 동작신뢰성이 향상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램프와 결합되고, 외면에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램프홀더와
    상기 램프홀더의 후단에 장착되고 외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지는 걸이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후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지지리브가 형성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어홀더는
    몸체 및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리브가 형성되는 리어홀더몸체와,
    상기 리어홀더몸체의 대칭되는 위치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걸이후크와,
    상기 리어홀더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걸이후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리브에는 상기 걸이후크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걸이후크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제 1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리어홀더를 상기 램프홀더에 장착시 상기 램프홀더의 중간리브의 양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리어홀더의 유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조립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리어홀더몸체와 상기 걸이후크를 연결하는 제1지지리브와, 상기 리어홀더몸체와 상기 걸이후크를 연결하고 상기 걸이후크 사이를 연결하는 제2지지리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보강리브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쌍을 이루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조립체.
KR1020070028418A 2007-03-23 2007-03-23 램프홀더조립체 KR100922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418A KR100922147B1 (ko) 2007-03-23 2007-03-23 램프홀더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418A KR100922147B1 (ko) 2007-03-23 2007-03-23 램프홀더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582A KR20080086582A (ko) 2008-09-26
KR100922147B1 true KR100922147B1 (ko) 2009-10-21

Family

ID=4002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418A KR100922147B1 (ko) 2007-03-23 2007-03-23 램프홀더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4562B (zh) * 2016-12-14 2019-05-28 广州市莱帝亚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led橱柜灯
CN106764673B (zh) * 2016-12-14 2019-01-25 广州市莱帝亚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橱柜灯系统
KR102088325B1 (ko) * 2018-10-12 2020-03-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리테이너 및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935A (ko) * 2006-02-21 2006-03-08 송영근 차량용 램프 장치
KR200427432Y1 (ko) * 2006-07-04 2006-09-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조립체
KR100645323B1 (ko) * 2005-06-08 2006-11-14 주식회사 엘코테크놀로지 형광램프와 소켓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323B1 (ko) * 2005-06-08 2006-11-14 주식회사 엘코테크놀로지 형광램프와 소켓의 체결구조
KR20060021935A (ko) * 2006-02-21 2006-03-08 송영근 차량용 램프 장치
KR200427432Y1 (ko) * 2006-07-04 2006-09-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582A (ko) 200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262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0231961A (ja) コネクタ
KR10098878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22147B1 (ko) 램프홀더조립체
JP5646974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80114337A (ko) 레버변형방지용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CN107017516B (zh) 连接器
JP6727580B2 (ja) コネクタ用端子保持部材、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3963120B2 (ja) スイッチ用コネクタ装置
CN108749741B (zh) 索环
KR20090044365A (ko) 커넥터
KR200427432Y1 (ko) 램프홀더조립체
US6537108B2 (en) Retaining structure of front holder to connector housing
KR20100013632A (ko) 커넥터 어셈블리
US20170170599A1 (en) Connector
KR20100022841A (ko) 커넥터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JP2004278682A (ja) 線管類保持用クリップ
CN210006648U (zh) 电开关底座及具有其的按动开关
KR200448593Y1 (ko) 커넥터
KR20080006395U (ko) 램프홀더
KR20080086102A (ko) 램프홀더조립체
KR20100114366A (ko) 커넥터조립체
KR100982942B1 (ko) 커넥터
KR101001885B1 (ko) 커넥터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