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541Y1 -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541Y1
KR200151541Y1 KR2019970014270U KR19970014270U KR200151541Y1 KR 200151541 Y1 KR200151541 Y1 KR 200151541Y1 KR 2019970014270 U KR2019970014270 U KR 2019970014270U KR 19970014270 U KR19970014270 U KR 19970014270U KR 200151541 Y1 KR200151541 Y1 KR 200151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manifold
butterfly valve
plastic
variable intake
air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902U (ko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4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54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78Connections of intake systems to the engine
    • F02M35/10085Connections of intake systems to the engine having a connecting piece, e.g. a flange, between the engine and the air intake being foreseen with a throttle valve, fuel injector, mixture duc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의 가변흡기 다기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흡기 다기관이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경우 정밀가공을 할 수 없어 발생될 수 있는 에어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조절하기 위해 수개의 흡기통로를 개폐하는 각각의 버터플라이밸브(13)를 축지하고 있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가변흡기 다기관(10)에 있어서, 이 가변흡기 다기관(10)의 내부에 밸브하우징(30)을 부설하고, 이 밸브하우징(30)에 상기 버터플라이밸브(13)의 외주면에 이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혀졌을 시 상기 밸브하우징(30)의 흡기통로에 밀착되는 고무를 코팅한 에어누출방지층(20)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
본 고안은 엔진의 가변흡기 다기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흡기 다기관이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경우 정밀가공을 할 수 없어 발생될 수 있는 에어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의 흡기매니폴드는 기화기에서 만들어진 혼합기를 될 수 있는 한 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실린더로 유도하는 관이며, 2실린더 이상의 다실린더 엔진에서는 각 실린더에 균일한 질과 량의 혼합기를 분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흡기매니폴드의 설계의 적합 여부는 엔진의 체적효율과 출력에 직접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주철,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관으로 만들어져 있다.
흡기매니폴드내에서는 아직 기화하지 않은 가솔린이 벽에 따라 아래면으로 흐르므로 균일한 혼합비로 분배하기 위하여 관의 크기와 단면형상, 구부리는 방법 등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관로가 요구되어 진다.
또한 흡기매니폴드내를 흐르는 혼합기는 정상적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사이클마다 간헐적으로 흐르므로 체적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맥동이나 간섭, 그 외에 관성효율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종래는 도 1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캐스팅으로 제작된 가변흡기 다기관(10)의 경우, 밸브축(11)이 몸체(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밸브축(11)에 각 흡기통로를 개폐하는 버터플라이밸브(13)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밸브축(11)이 도시안된 구동제어장치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버터플라이밸브(13)가 개폐동작하여 흡기통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 가변흡기 다기관(10)에서 버터플라이밸브(13)가 닫아져 있을 경우 에어누출이 발생되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에어누출은 버터플라이밸브(13)와 그 주위의 흡기통로 내벽의 가공정 밀도에 의해 좌우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알루미늄 캐스팅으로 제작된 가변흡기 다기관(10)의 경우에는 상기 버터플라이밸브(13)와 몸체(12)를 정밀 가공하여 이를 극복하였는데 반해 가변흡기관 다기관(10)이 플라스틱으로 성형제작된 경우에 있어 이러한 가공할 수 없어 에어누출이 발생되고 이는 엔진의 성능 및 배출가스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 버터플라이밸브가 닫아져 있을 경우 그의 주위로 에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엔진의 성능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배출가스의 악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한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엔진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조절하기 위해 수개의 흡기통로를 개폐하는 각각의 버터플라이밸브를 축지하고 있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가변흡기 다기관에 있어서, 이 가변흡기 다기관의 내부에 밸브하우징을 부설하고, 이 밸브하우징에 축지된 상기 버터플라이밸브의 외주면에 이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혀졌을 시 밸브하우징의 흡기통로에 밀착되는 고무를 코팅한 에어누출 방지층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가변흡기 다기관에 설치된 버터플라이밸브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흡기 다기관내의 밸브하우징 및 버터플라이밸브의 조립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터플라이밸브의 조립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변흡기 다기관 13 : 버터플라이밸브
13a : 삽입링홈 20 : 에어누출방지층
22 : 고무패킹 30 : 밸브하우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조절하기 위해 수개의 흡기통로를 개폐하는 각각의 버터플라이밸브(13)를 밸브축(11)으로 축지하고 있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가변흡기 다기관(10)에 있어서, 이 가변흡기 다기관(10)의 내부에 밸브하우징(30)을 부설하고, 이 밸브하우징(30)에 상기 밸브축(11)을 축지하고, 이 밸브축(11)에 버터플라이밸브(13)를 장착하되, 이 버터플라이밸브(13)의 외주면에 버터플라이밸브(13)가 닫아졌을 시 흡기통로에 밀착되는 고무를 코팅한 에어누출방지층(20)을 형성하여서 된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은 상기 밸브축(11)을 회전지지하는 부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밸브하우징(30)내의 밸브축(11)이 회전함에 따라 버터플라이밸브(13)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데, 버터플라이밸브(13)가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가변흡기 다기관(10)의 공기통로를 완전히 차단하고 있게 되면 버터플라이밸브(13)의 고무가 코팅된 에어누출방지층(20)의 외주면이 공기통로 내벽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틱의 가변흡기관(10)을 정밀 가공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가변흡기관몸체(13)의 변경이나 비가공에 의해 생기는 틈새로 누출되는 에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에어누출방지층(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터플라이밸브(13)의 외주면에 삽입링홈(13a)을 형성하고, 이 삽입링홈(13a)에 고무패킹(22)을 탄력있게 장착시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가변흡기 다기관에 있어 그 유입통로를 개폐하는 버터플라이밸브에 에어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혀져 있을시 비가공된 가변흡기 다기관의 몸체와 버터플라이밸브의 둘레가 밀착되어 에어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감소 및 배출가스의 악영향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엔진의 실린더에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조절하기 위해 수개의 흡기통로를 개폐하는 각각의 버터플라이밸브(13)를 축지하고 있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가변흡기 다기관(10)에 있어서, 이 가변흡기 다기관(10)의 내부에 밸브하우징(30)을 부설하고, 이 밸브하우징(30)에 상기 버터플라이밸브(13)의 외주면에 이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혀졌을 시 상기 밸브하우징(30)의 흡기통로에 밀착되는 고무를 코팅한 에어누출방지층(20)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누출방지층(20)은 버터플라이밸브(13)의 외주면에 삽입링홈(13a)을 형성하고, 이 삽입링홈(13a)에 고무패킹(22)을 탄착시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
KR2019970014270U 1997-06-13 1997-06-13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 KR200151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270U KR200151541Y1 (ko) 1997-06-13 1997-06-13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270U KR200151541Y1 (ko) 1997-06-13 1997-06-13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902U KR19990000902U (ko) 1999-01-15
KR200151541Y1 true KR200151541Y1 (ko) 1999-07-15

Family

ID=1950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270U KR200151541Y1 (ko) 1997-06-13 1997-06-13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5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82B1 (ko) * 2007-03-14 2008-05-22 주식회사 케피코 가솔린 엔진에 사용되는 텀블 컨트롤 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902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6775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20070240690A1 (en) Fluid control valve
US20110042599A1 (en) Fluid control valve
JPH1089170A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と吸気制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209682A1 (en) Valve
JPH04308332A (ja) スロットル弁
EP1304461A1 (en) Intake manifol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ultiple and independent intake passages
KR200151541Y1 (ko) 플라스틱 가변흡기 다기관에서의 에어누출 방지구조
JP3585010B2 (ja) 水冷式v型内燃機関の冷却水通路構造
JPS60164619A (ja)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6725822B2 (en) Intake system for multi-cylinder engine
US6990952B2 (en) Air amount control valve having valve body for controlling air passage
US9316129B2 (en) Intake control valv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EP1070842B1 (en) Suc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329028A (ja) 吸気制御バルブ装置
JP2010106738A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装置
JP4821754B2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US5809960A (en) Intake pip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carburetor
JP3444022B2 (ja) 吸気マニホルド一体型ロッカカバー付内燃機関
JP2004285893A (ja) 吸気装置
JP2001303982A (ja) 内燃機関用スロットルボディ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80982A (ja) 内燃機関用吸気装置
JP2578621Y2 (ja) 排気ブレーキ用バタフライバルブ装置
JP3235436B2 (ja) エンジンの可変吸気装置
JP4451025B2 (ja) エンジンの吸気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