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482Y1 - 차량내부 환기를 위한 도어글라스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내부 환기를 위한 도어글라스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482Y1
KR200151482Y1 KR2019960013989U KR19960013989U KR200151482Y1 KR 200151482 Y1 KR200151482 Y1 KR 200151482Y1 KR 2019960013989 U KR2019960013989 U KR 2019960013989U KR 19960013989 U KR19960013989 U KR 19960013989U KR 200151482 Y1 KR200151482 Y1 KR 200151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glass
oxygen
doo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3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315U (ko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13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482Y1/ko
Publication of KR9700613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3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4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내부의 산소량을 측정하여 산소량이 감소하면 도어글라스가 개폐되어 차량내부가 환기되도록 하는 차량내부 환기를 위한 도어글라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은 산소량 감지센서와 도어글라스 접촉스위치 그리고 리미트스위치와 시트 접촉 스위치로 구성되어 차량내부의 산소량과 차량의 환기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트랜지스터와 엔드게이트 그리고 디-플립플롭과 다수의 저항으로 구성되어 감지부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통해 디-플립플롭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릴레이와 모터로 구성되어 제어부의 출력 신호를 통해 릴레이가 구동되고, 도어글라스가 개폐되도록 연결된 모터가 구동되는 구동부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내부의 산소량이 감소하게 되면 도어글라스가 열려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차량내부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산소부족으로 발생될 수 있는 졸음운전을 예방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량내부 환기를 위한 도어글라스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산소센서의 전압-산소 특성곡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산소량 감지센서 11 : 시트 접촉스위치
12 : 도어글라스 접촉스위치 13 : 리미트 스위치
14 : 릴레이 15 : 모터
100 : 감지부 200 : 제어부
300 : 구동부 TR : 트랜지스터
AND : 엔드게이트 D F/F : 디-플립플롭
본 고안은 차량내부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내부의 산소량을 측정하여 산소량이 감소하면 도어글라스가 개폐되어 차량내부가 환기되도록 하는 차량내부 환기를 위한 도어글라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를 장시간 운전할 때, 도어글라스와 외기밸브를 닫고 운전하게 되면, 차량내부의 산소량이 감소하게 되어 차량내부의 공기가 혼탁해지고 운전자가 졸음을 느끼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종래에는 도어글라스를 오픈시켜 차량내부를 환기시키거나, 외기밸브를 열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조치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량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잠시 도어글라스를 직접 열어 놓았다가 다시 닫아야 하거나, 외기밸브를 열어 공기를 순환시킨 후 차량내부 공기가 어느정도 순환되면 다시 외기밸브를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대개는 차량내부의 산소량이 감소하더라도 감소량의 정도가 심하지 않으므로 인체가 즉시 반응을 보이거나 산소량의 감소를 쉽게 감지해내기 어렵고, 운전자가 운전에 너무 몰두하여 차량내부를 환기시키지 못하므로서 자칫 졸음운전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내부의 산소량이 감소하면 도어글라스가 오픈되어 차량내부의 산소량을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산소량 감지센서와 도어글라스 접촉스위치 그리고 리미트스위치와 시트 접촉스위치로 구성되어 차량내부의 산소량과 차량의 환기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트랜지스터와 엔드게이트 그리고 디-플립플롭과 다수의 저항으로 구성되어 감지부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통해 디-플립플롭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릴레이와 모터로 구성되어 제어부의 출력신호를 통해 릴레이가 구동되고, 도어글라스가 개폐되도록 연결된 모터가 구동되는 구동부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이고, 제2도는 산소센서의 전압-산소 특성곡선도로서, 컬렉터단자에 전원(+5V)이 인가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자가 산소량 감지센서(10)에 연결되고, 에미터단자에 저항(R)이 병렬연결되어 엔드게이트(AND)의 일측 입력단자에 연결되며, 각각 전원(Vcc)이 인가된 시트 접촉스위치(11)와 도어글라스 접촉스위치(12)가 토글(toggle)이 있는 엔드게이트(AND)의 각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엔드게이트(AND)의 출력단자가 디-플립플롭(D F/F)의 클럭단자(cp)에 연결되며, 엔드게이트(AND)의 출력단자와 디-플립플롭(D F/F)의 클럭단자(cp) 사이에 저항(R)이 병렬연결되고, 디-플립플롭(D F/F)의 입력단자(D)에 전압(Vcc)이 인가되며, 토글이 있는 디-플립플롭(D F/F)의 리셋단자(Reset)에 리미트스위치(13)가 연결되고, 디-플립플롭(D F/F)의 출력단자(Q)가 전원(B+)이 인가된 릴레이(14)에 연결되며, 릴레이(14)는 모터(15)에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산소량 감지센서(10)는 제2도에서와 같이 산소량이 증가(b')하면 전압이 낮아(b)지고, 산소량이 감소(a')하면 전압이 높아(a)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차량내부에 산소량이 일정량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산소량 감지센서(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가 온 상태가 된다. 즉, 트랜지스터(TR)의 컬렉터단자를 통해 인가된 전압(+5V)이 에미터단자로 통전되면서 엔드게이트(AND)의 입력단자에 하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동시에 시트위에 사람이 앉아 있게되면 시트 접촉스위치(11)가 온 상태가 되어 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는 다시 토글에 의해 반전되어 엔드게이트(AND)에 인가된다.
또한, 도어글라스가 닫아져 있는 상태이면 도어글라스 접촉스위치(12)가 온 상태가 되어 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는 다시 토글에 의해 반전되어 엔드게이트(AND)에 인가된다.
상기 신호를 모두 입력받은 엔드게이트(AND)에서는 입력신호가 모두 하이신호이므로 출력단자에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디-플립플롭(D F/F)의 클럭단자(cp)에 인가되며, 디-플립플롭(D F/F)의 출력단(Q)으로 전류가 출력되어 릴레이(14)를 구동시키고, 릴레이(14)가 통전되어 도어글라스와 연결된 모터(15)가 구동되므로서, 도어글라스가 오픈된다.
도어글라스가 완전히 오픈되면 도어와 도어글라스 사이에 내설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13)가 온 상태로 되어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는 다시 토글에 의해 반전되어 디-플립플롭(D F/F)의 리셋단자(Reset)에 인가되어, 하이신호를 출력시키던 디-플립플롭(D F/F)의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즉, 전류가 흐르지않게 되어 릴레이(14)가 전원을 차단하게 되고 모터(15)는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저항(R)은 부성저항으로 각 저항(R)을 통해 검출된 전압이 엔드게이트(AND)의 입력단자와 리셋단자(Reset)에 인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내부의 산소량이 감소하게 되면 도어글라스가 열려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차량내부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산소부족으로 발생될 수 있는 졸음운전을 예방하도록 하는데 아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차량 내부의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량 감지센서(10)와, 차량 내부에 탑승객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시트 접촉 스위치(11)와, 도어가 닫혀진 상태인가를 감지하는 도어글라스 접촉 스위치(12)와, 도어글라스가 오픈된 상태인가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13)로 구성되는 감지부(100)와; 상기 산소량 감지센서(10)의 출력값이 기준이하이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TR)와, 상기 트랜지스터 온 상태이면서 동시에 시트 접촉 스위치(11)와 도어글라스 접촉 스위치(12)가 온 상태이면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게이트(AND)와, 상기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릴레이(14)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시키고,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어 리미트 스위치(13)가 작동하면 이를 감지하여 릴레이(14) 작동을 오프시키는 플립플롭(D F/F)으로 이루어진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의 출력신호에 따라 도어 글라스 구동신호가 발생하면 작동되는 렐레이(14)와, 도어글라스가 개폐되도록 연결된 모터(15)로 이루어지는 구동부(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 환기를 위한 도어글라스 개폐장치.
KR2019960013989U 1996-05-31 1996-05-31 차량내부 환기를 위한 도어글라스 개폐장치 KR200151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989U KR200151482Y1 (ko) 1996-05-31 1996-05-31 차량내부 환기를 위한 도어글라스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989U KR200151482Y1 (ko) 1996-05-31 1996-05-31 차량내부 환기를 위한 도어글라스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315U KR970061315U (ko) 1997-12-10
KR200151482Y1 true KR200151482Y1 (ko) 1999-07-15

Family

ID=1945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3989U KR200151482Y1 (ko) 1996-05-31 1996-05-31 차량내부 환기를 위한 도어글라스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4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315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4157B1 (en) Circuitry using back EMF of a motor to generate a system wake up signal
KR200151482Y1 (ko) 차량내부 환기를 위한 도어글라스 개폐장치
JPS6344089B2 (ko)
KR20000020118A (ko) 차량용 어린이 보호 장치
JP2739745B2 (ja) 車両用開閉装置
JP2540917Y2 (ja) 車両用パワーウインド制御装置
KR960009189Y1 (ko) 차량의 실내산소부족시 창문자동개방장치
John et al. Anti-pinch mechanism for power window
KR200141677Y1 (ko) 차량의 실내환기회로
JP2854922B2 (ja) 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装置
KR200248275Y1 (ko) 자동차 자동 환기장치
KR20000039045A (ko) 차량용 질식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870001719Y1 (ko) 버스문의 개폐제어장치
KR19980036252U (ko) 차량의 에어콘 작동시 윈도우 글래스 자동닫힘 장치
KR100206739B1 (ko) 자동차의 윈도우 자동 열림 장치 및 방법
KR0159690B1 (ko) 창문개방시 키탈거방지장치
KR19980026009A (ko) 자동차 실내 공기 오염방지 장치 및 방법
KR970026093A (ko) 차량 내의 질식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KR19990056167A (ko) 자동차 에어컨/히터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KR19990014388U (ko) 파워 윈도우 제어 시스템
KR20030030071A (ko) 차량내 질식사 방지 시스템
KR20020094422A (ko) 자동차 자동 환기장치
KR970005716A (ko) 자동차 내의 산소결핍 자동 제어회로
JPS62202432A (ja) 接触感応制御装置
KR960033821A (ko) 자동차용 자동 온도 조절장치의 송풍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