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719Y1 - 버스문의 개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버스문의 개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719Y1
KR870001719Y1 KR2019840008687U KR840008687U KR870001719Y1 KR 870001719 Y1 KR870001719 Y1 KR 870001719Y1 KR 2019840008687 U KR2019840008687 U KR 2019840008687U KR 840008687 U KR840008687 U KR 840008687U KR 870001719 Y1 KR870001719 Y1 KR 870001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oor
inverter
delay circu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8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672U (ko
Inventor
전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성기계
이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성기계, 이상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성기계
Priority to KR2019840008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719Y1/ko
Publication of KR8600036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6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7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스문의 개폐제어장치
제 1(a)도, 제 2(b)도는 본 고안의 전체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전원스위치 B : 조작스위치
3 : 트랜지스터 5, 5' : 버퍼
6, 6' : 지연회로 7 : 낸드 게이트
9 : 래치 10 : 테이프스위치
11 : 쎈서 12, 12' : 인버터
LS : 리미트스위치 RL : 리레이
RL1:, R2: 리레이접점 SOL : 솔레노이드
BZ : 부저 A, b : 조작스위치의 접점단자
본 고안은 좌석버스나 자율화버스등 주로 안내양이 없는 각종의 버스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버스문의 개폐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널리 사용되던 버스문의 개폐장치를 살펴보면 대개가 레버를 제치는 방향에 따라 실린더가 작동하여 버스문이 개폐되도록한 단순한 구조의 것이어서 버스의 승객은 문이 열리기 전부터 스스로 인지하여 대기하였다가 하차하여야 하며, 또한 문이 닫히는 순간에 승객이 승하차 하는 경우에는 불측의 부상을 입게되는 위험한 경우가 허다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버스문이 개폐되기 전에 잠시동안 부져가 울리도록 함으로서 안내양의 안내없어도 승객이 쉽게 인지하여 승하차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문이 닫히는 순간에 승객이 승하차하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문이 일단 열렸다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함으로써 취급이 간편함은 물론 특히 승객이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신뢰도가 높은 집적회로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구성하여서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용 배터리의 "+"전압이 전원스위치(A)를 통하여 정전압 회로(1) 및 평활회로(2)에 입력되어 각종의 논리게이트 및 트랜지스터(3)에 공급되도록 하고, 전원스위치(A)와 조작스위치(B)의 일측단자(a)에는 전압 강하용저항(R1) 및 잡음제거회로(4) 그리고 버퍼(buffer)(5)와 가변저항(R2) 및 콘덴서(C1)로 구성된 지연회로(6), 그리고 인버터(Inverter)(12)를 접속하여 그 출력을 낸드게이트(7)의 일측 입력에 연결하며, 지연회로(6)의 출력을 인버터(8)를 거쳐 래치(9)의 일측 입력에 접속하고, 그 타측 입력에는 전원스위치에 연결된 리미트 스위치(LS) 및 전압강하용저항(R3) 그리고 잡음제거회로(4')의 출력을 접속하며, 내치(9)의 출력을 버퍼(5')와 테이프 스위치(Tape Switch)(10) 혹은 쎈서(Sensor)(11)를 거쳐서 지연회로(6')에 입력시키고 그 출력이 인버터(12')를 통하여 상기의 낸드 게이트(7)에 인가되게 하며, 낸드게이트(7)의 출력에 리레이(RL) 구동용 트랜지스퍼(3)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리레이(RL)의 일측 접점(RL1)에 의하여 솔레노이드(SOL)가 제어되도록 하며 타측 접점(RL2)에 의하여 부저(BZ)가 조작스위치(B)의 일측단자(a')및 타측단자(b')에 절환 접속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초기에 운전석에 설치된 조작스위치(B)가 타측단자(b')에 접촉되어있으므로 리레이(RL)의 접점(RL1)이 off되어 솔레노이드(SOL)에는 전류의 흐름이 전혀 없어서 실린더는 문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부조(BZ) 역시 울리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태로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한 후 문을 열어야 할 경우에 운전자가 조작스위치(B)를 일측단자(a')로 전환시키면 배터리의 "+" 전압은 조작스위치(B)에 인가되어 일측단자(a')를 경유하여 릴레이 접점(RL2)을 통한 부저(BZ)가 먼저 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분배저항(R1)에서 적당히 강압된 전압은 잡음 제거회로(4)에서 각종의 오동작을 일으키는 잡음 및 스파이크(Spike)가 제거되어 버퍼(5)에 하이레벨로서 입력되며, 버퍼(5)에서는 적당한 출력 레벨을 지연회로(6)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지연회로 (6)의 저항(R2)값으로 설정된 소정시간 후에 하이레벨 신호가 인버터(12)에 입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소정시간 동안은 부저(BZ)가 계속 울려 승객에게 곧 문이 열리게 됨을 알려 준다.
설정된 시간후에는 지연회로(6)의 콘덴서(C1)가 충분히 충전되어 그 출력이 하이레벨로 되고 그러므로 인버터(12)를 경우하여 낸드 게이트(7)의 일측 입력에 로우레벨을 공급하므로 낸드 게이트(7)는 그 특성에 의하여 출력을 하이레벨로 전환시킨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3)은 턴온(Turn on)되어 리레이(RL)을 구동시키므로 그 접점(RL1)이 절환되어 솔레노이드(SOL)에 전류가 흘러 실린더를 작동시키므로 문이 열리게 되는 것이며 동시에 접점(RL2)은 조작스위치(B)의 타측단자(b1)로 절환되어 부져(BZ)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어 경보음을 정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문을 열어 승객들이 승, 하차를 완료한 후 다시 문을 닫고져 할 경우에는, 조작스위치(B)를 타측 단자(b')측으로 절환시키면 된다.
즉, 운전자가 조작스위치(B)를 타플단자 (b')측으로 절환시키면 다시 부저(BZ)가 울림과 동시에 지연회로(6)에 전원이 차단되나 지연회로(6)의 콘덴서(C1)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저항(R2)의 값에 의한 시정수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방전하여 인버터(12)의 출력을 로우레벨로 지연시켜주게되는 것이므로 낸드 게이트(7)의 출력은 소정시간동안 하이레벨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어서 트랜지스터(3)는 리레이(RL)에 지속적으로 전류를 흘려 주는 것이고, 그러므로 조작스위치(B)의 타측(b')을 통하여 부저(BZ)에는 가변저항(R2)로 설정된 시간동안 전류가 흘러 문이 닫힌 것이라는 의미의 부져음을 내게 된다.
설정시간이 지난 후에는 지연회로(6)의 출력이 로우레벨 되므로 인버터(12)를 거친 출력은 하이레벨로 바뀌면서 낸드 게이트(7)에 입력되는데 낸드 게이트(7)의 양 입력이 모두 하이레벨이므로 그 출력은 로우레벨로 떨어지므로 트랜지스터(3)는 리레이(RL)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며 따라서 접점(RL2) 일측단자(a')측으로 절환되어 부져(BZ)는 더이상의 전류를 공급받지 못하게 되므로 경보음을 중단하고 또다른 릴레이 접점(RL1) 역시 "off"되어 솔레노이드(SOL)는 실린더가 문을 닫도록 작동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문이 닫히는 순간에 승객이 승하차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본 고안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문이 신속하게 다시 열린 후에 자동적으로 닫히게 하고 있다.
즉, 문이 아직 닫히지 않은 순간에는 리더트스위치(LS)가 "On" 상태이며, 따라서 배터리의 "+" 전압이 분배 저항(R3)에서 전압 강하된 후 잡음제거회로(4')를 거치면서 잡음이 제거되어 하이레벨로서 래치(9)의 일측 입력단자에 입력되며 그 타측 단자에는 로우레벨이 공급되다가 하이레벨이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래치(6)의 양측 입력단자에는 모두 하이레벨이 공급되어 그 출력은 래치의 특성에 의하여 전(前)의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전의 상태를 살펴 보면 지연회로(6)의 출력이 하이레벨이 있으므로 인버터(8)를 거쳐 로우레벨이 타측 입력 단자에 입력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문이 열린 상태에서 리미트 스위치(LS)가 "On"되어 있으므로 래치(9)의 일측 입력 단자에는 하이레벨이 입력되어 결과적으로 래치(9)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양측 입력이 모두 하이레벨로 바뀌므로 래치(9)의 출력은 계속 하이레벨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하이레벨 신호는 버퍼(5')를 거치면서 적절한 출력레벨로 대기하고 있는 것이며, 승객의 다리나 몸등 신체의 일부분이 문사이에 끼어서 적외선(U.V) 센서(Sensor)등의 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면 이 신호는 센서의 접점(10을)"On" 시켜 주어 지연회로(6')에 하이레벨을 공급하여 주므로 인버터(12')는 로우레벨을 낸드 게이트(7)의 타측단자에 공급하여 트랜지스터(3)의 베이스는 하이레벨이 입력되며 리레이(RL)에는 동작 전류가 다시 흐르고 그러므로 전기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SOL)에는 전원이 공급되어 문을 열게되는 것이며, 부져(BZ)는 리레이 접점(RL2)이 이미 조작스위치(B)의 일측단자(a')으로 전환되어 있기 때문에 동작 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쎈서 접점(11)은 "On" 되었다가 곧 "off" 되는 것이어서 솔레노이드(SOL)에 전원이 공급되는 시간은 지연회로(6')의 시정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며, 따라서 설정시간 경과한 후에는 인버터(12')의 출력이 즉시 하이레벨이 되므로 낸드 게이트(7)의 양입력이 모두 하이레벨이 되어 그 출력은 로우레벨로 변화되어 트랜지스터(3)는 리레이(RL)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따라서 솔레노이드(SOL)는 다시 전원이 차단되어 문은 다시 닫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문이 닫히는 도중에 승객이 빠른 속도로 승하차하여 지연회로(6')이 설정시간 이내에 쎈서의 접점(11)이 온-오프 되면 지연회로(6')의 출력이 로우이므로 불피요하게 문이 열리지는 않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본 고안에서는 문이 닫히는 도중에 승하차하는 승객이 있으며 즉시 자동적으로 문이 열리고 잠시후에 닫히도록 된 것이어서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쎈서의 접점(11)과 병렬로 스위치(10)를 버스내에 설치하면 쎈서의 접점과 같이 일시적으로 문이 열리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기존버스에 있어서 문 개폐용 실린더를 솔레노이드(SOL)에 연결하여 주는 것과 쎈서(11) 및 테이프 스위치(10)를 추가 설치하며, 조작스위치(B)는 운전석 근처에 고정시켜 주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어서 본 고안에 의한 장치로 쉽게 개조된다.
또한 본 고안의 부져를 멜로디 IC등으로 교체 설치면승 객들에게 경보음으로써 음악을 들려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본 고안은 안내양의 안내 없어도 승객 스스로 인지하여 용이하게 하차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승객이나 운전자 모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승객이 안전하게 승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신뢰도가 높은 집적회로로서 구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이어서 배터리의 전압변동에도 오동작하는 일이 없으며, 전류의 소모량이 극소하고, 쎈서의 집점이나 테이프스위치의 접점에 흐르는 전류량이 적어서 아크의 발생이 거의 없으므로 그 수명이 연장되며,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조작스위치(B)로써 입력된 신호레벨이 버퍼(5)를 통하여 지연회로(6)에 인가되도록 하고 그 출력으로 인버터(12) 및 낸드게이트(7)를 구동하며, 지연회로(6)의 출력을 인버터(12)를 거쳐 래치(9)의 타측 입력단자에 입력시키고, 리미트스위치(LS)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 레벨을 래치(9)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하여 줌으로써 래치(9)의 출력이 쎈서(11)나 테이프 스위치(10)등을 거쳐서 지연회로(6')와 인버터(12')에 입력되며, 그 출력으로 낸드게이트(7)를 구동하도록 하여, 이의 출력에 접속된 트랜지스터(3)가 리레이(RL)을 동작시켜 줌으로써 일측접점(RL1)에 의하여 버스문 개폐용 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SOL)가 작동되게 하고, 부져(BZ)가 타측 접점(RL2)에 의하여 조작스위치(B)의 양단자(a')(b')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게 하여서 된 버스문의 개폐제어 장치.
KR2019840008687U 1984-09-03 1984-09-03 버스문의 개폐제어장치 KR870001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8687U KR870001719Y1 (ko) 1984-09-03 1984-09-03 버스문의 개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8687U KR870001719Y1 (ko) 1984-09-03 1984-09-03 버스문의 개폐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72U KR860003672U (ko) 1986-04-21
KR870001719Y1 true KR870001719Y1 (ko) 1987-05-13

Family

ID=7016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8687U KR870001719Y1 (ko) 1984-09-03 1984-09-03 버스문의 개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7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639B1 (ko) * 2007-01-29 2009-08-28 주식회사 제이엠씨 무연 구이기 및 그것이 장착된 구이용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639B1 (ko) * 2007-01-29 2009-08-28 주식회사 제이엠씨 무연 구이기 및 그것이 장착된 구이용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72U (ko) 198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0545A (en) Voice responsive door lock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870001719Y1 (ko) 버스문의 개폐제어장치
GB2095450A (en) Warning device
US4836323A (en) Vehicular voltage regulating system
US6118372A (en) Method of side illumination for passenger cars
US4539548A (en) Vehicle alarm apparatus
JPS625932Y2 (ko)
JP2003049586A (ja) 開閉体制御装置
KR870001718Y1 (ko) 버스 승객의 하차 예고 장치
JP3410289B2 (ja) 車両用パワー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制御装置
KR0120754Y1 (ko) 철도 차량용 칸막이 문 개폐 제어 장치
JP3796451B2 (ja) 自動ドアのブレーキ装置
KR200151482Y1 (ko) 차량내부 환기를 위한 도어글라스 개폐장치
JPS6039302Y2 (ja) パツシブシ−トベルト制御装置
JPS6310357Y2 (ko)
JPH017610Y2 (ko)
JPS61106884A (ja) 自動車のパワ−ウインド装置
KR940003767A (ko)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안전구동장치
KR19990027651A (ko) 차량의 트렁크 안전 개폐장치
GB2089080A (en) Vehicle inadvertence alarms
KR0113593Y1 (ko) 자동차의 속도감응형 자동 도어 중앙잠금장치
KR0140234Y1 (ko) 차량 주행중 자동 본넷트 잠금장치
KR0119283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JPH06305362A (ja) 車両用電動ステップの制御装置
KR930019446A (ko) 자동차 윈도우 자동닫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