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789Y1 -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연소장치 - Google Patents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789Y1
KR200150789Y1 KR2019940020461U KR19940020461U KR200150789Y1 KR 200150789 Y1 KR200150789 Y1 KR 200150789Y1 KR 2019940020461 U KR2019940020461 U KR 2019940020461U KR 19940020461 U KR19940020461 U KR 19940020461U KR 200150789 Y1 KR200150789 Y1 KR 200150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valve
air
main body
connect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0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468U (ko
Inventor
프-쿠오린
Original Assignee
린프-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프-쿠오 filed Critical 린프-쿠오
Priority to KR2019940020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789Y1/ko
Publication of KR960008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4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7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1/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storage chambers
    • F02B21/02Chamber shape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종의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 연소장치를 제공하고,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동시에 이산화 탄소의 연소를 촉진시켜 페가스의 배출이 감소하고, 마력을 올리는 장치이다.
본고안은 본체를 제1연결아암으로 PVC관에 연결하고, 본체의 또 다른 일단을 제2연결아암으로 흡입다기관에 연결한다. 상기 제1연결아암은 도입공과 연결하고 또한 상기 도입공의 말단을 하방향으로 구부려 제2도입 구멍과 연통시킨다. 상기 본체의 하단의 적당한 위치에는 세로홈 형태의 구멍을 설치하고, 그 구멍의 적당한 위치에 위치결정 엣지를 설치하여 하우징을 그 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과 스폰지를 조합하여 공기중의 먼지나 재를 여과한다. 이에 따라 마르고 깨끗한 공기가 공기실을 거쳐 밸브실로 진입하고, 또한 고정편을 원추형 스프링에 고정하여 상기 원추형 스프링에 보올을 조합한 구조로 인해 밸브 구멍의 개폐를 제어하고, 공기실은 정량의 신선한 공기를 밸브 구멍이 불리딩시에 엔진에 제공하여 희박 연소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연소장치
제1도는 본고안 1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 1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 1실시예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본고안 2실시예의 사시도.
제5도는 본고안 2실시예의 단면도.
제6도는 본고안 3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제1연결아암
12 : 제2연결아암 13 : 제1도입공
131 : 말단 14 : 제2도입공
15 : 구멍 151,152 : 위치결정 엣지
153 : 공기실 16 : 밸브 구멍
17 :밸브실 171 : 보올
172 : 원추형 스프링 173 : 제어부재
1731 : 헤드 1732 : 볼록돌기
18 : 고정편 181 : 핀홀
19 : 제3도입공 20 : PVC관
30 : 흡입 다기관 40 : 하우징
41 : 관통공 42 : 스폰지
50 : 엔진 실린더
본고안은 일종의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고 이산화 탄소의 연소를 축진시켜 폐가스의 방출을 감소시키며 마력을 올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저연소형 폐가스 배출 구조의 종류는 매우 많은데, 그 구조는 거의가 엔진의 마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현재 시장에 생유기(省油器)기 나와 있다고는 하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높다. 그리고 오일기를 제조화할 필요가 있으며, 설치도중 부주의로 인한 기름 유출이 일어나기 쉽고 위험하며 기름 손실이 크다. 또한 상기생유기(省油器)는 시공후 배기 다기관 주위에 놓아야 되므로 간단히 생유기를 설치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열기로 인해 도관(conduit tube)이 열변형이나 단열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널리 보급되지않고 있다.
본고안은 일종의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 연소장치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a)구조가 간단하고, (b)설치가 간단하며, (c)실린더내의 가솔린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무화(霧化) 가스와 공기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일산화 탄소와 탄화 수소화합물인 폐가스의 배출을 적게 하며, 또한 마력을 원활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 연소장치는 본체의 적당한 위치에 제1연결아암을 설치하여 PVC관과 연결하고, 상기 본체의 다른 일단에는 제2연결아암을 설치하여 흡입 다기관에 연결하며, 상기 제1연결아암은 도입공과 연결하고, 또한 상기 도입공의 말단을 하방향으로 구부려 제2도입공과 연통시키고, 상기 본체 하단의 적당한 위치에는 세로홈 형태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의 적당한 위치에 위치 결정 엣지를 설치하여, 공기를 공기실로부터 밸브 구멍을 거쳐 밸브실에 진입시킨다. 상기 밸브실은 보올에 원추형 스프링을 조합시킨 구성으로서, 고정편을 상기 원추형 스프링에 고정하고 상기 보올을 상기 원추형 스프링에 조합시킴으로써 밸브 구멍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고정편에는 핀홀을 설치하여 제2도입공과 연통시킨다. 상기 본체는 그 하방으로 다수개의 관통공을 설치하여, 스폰지를 그 일단이 상기 본체내에, 다른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넣어두고 상기 스폰지에 공기중의 먼지나 재를 여과함으로써, 마르고 깨끗한 공기를 공기실로부터 밸브 구멍을 거쳐 밸브실에 진입시키고, 또한 상기 핀홀로부터 제2도입공에 진입시킨 후 엔진에 진입시키며, 상기 보올이 빠르게 이동하여 밸브 구멍의 개폐를 제어하고, 공기실에 정량의 신선한 공기를 저장하여 상기 밸브 구멍이 블리딩시에 신선한 공기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어 희박연소 효과를 얻는다.
본고안은 일종의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동시에 이산화탄소의 연소를 촉진시켜 폐가스의 배출이 감소하여 마력을 올리는 장치이다. 본고안은 본체를 제1연결아암에 의해 PVC관에 연결하고, 본체의 또 다른 일단을 제2연결아암에 의해 흡입 다기관에 연결한다. 상기 제1연결아암은 도입공과 연결하고 또한 상기 도입공의 말단을 하방향으로 구부려 제2도입구멍과 연통시킨다. 상기 본체 하단의 적당한 위치에는 세로홈 형태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의 적당한 위치에 위치 결정 엣지를 설치하여 하우징을 그 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에 스폰지를 조합하여 공기중에 먼지나 재를 여과한다. 이에 따라 마르고 깨끗한 공기가 공기실을 거쳐 밸브실로 진입하며, 또한 고정편을 원추형 스프링에 고정하고 상기 원추형 스프링에 보올을 조합한 구조로 인해 밸브 구멍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보올이 빠르게 이동하여 밸브 구멍의 개폐를 제어하고, 공기실에 있는 정량의 신선한 공기를 밸브 구멍이 블리딩시에 엔진을 제공하여 희박 연소 효과를 얻는다.
제1,2도 및 제3도에 나타나있듯이 본고안은 본체(10)의 적당한 위치에 제1연결아암(11)을 설치하여 PVC관(20)과 연결하고, 그후 공기를 엔진 실린더(50)로 진입시킨다. 상기 본체의 다른 일단에는 제2연결아암을 설치하여 흡입 다기관(30)에 연결하고, 상기 제1연결아암(11)은 도입공과 연결하고, 상기 도입공의 말단을 하방향으로 구부려 제2도입공과 연통시킨다. 상기 본체(10)하단의 적당한 위치에는 세로홈 형태의 구멍(15)을 설치하고 상기 구멍(15)의 적당한 위치 결정 엣지(151)(152)를 설치하며 하우징(40)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하우징(40)의 하방에는 다수의 관통공(41)을 설치하여 스폰지(42)를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40)내에 다른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40)에 넣어둔다. 상기 스폰지(42)가 공기중의 먼지나 재를 여과함으로써, 마르고 깨끗한 공기를 공기실(153)로부터 밸브 구멍(16)을 거쳐 밸브실(17)로 진입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실은 보올(171)과 원추형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또한 고정편(18)을 상기 원추형 스프링(172)에 고정하고 보올(171)에 원추형 스프링(172)을 조합하여 밸브 구멍의 개폐를 제어한다. 고정편(18)에는 핀홀(181)을설치하고, 또한 이것을 제2도입공(14)과 연통시킴으로써, 엔진흡입시에 큰 흡입력이 발생한다. 이때, 보올(171)은 끌어 내려지고, 이에따라 신선하고 건조한 공기를 밸브실(17)로 흡입된다. 또한 공기는 핀볼(181)로부터 제2도입공(14)에 진입하고 더나아가 엔진에까지 진입한다. 상기보올(171)이 빠르게 이동하여 밸브 구멍(16)의 개폐를 제어하고, 공기실(153)은 정량의 신선한 공기를 저장하였다가 블리딩시에 밸브 구멍(16)을 통해 신선한 공기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으며, 희박 연소 효과를 일으켜 공기 공급 부족으로 인한 불안전 연소를 막는다.
본 고안의 특징은 가솔린엔진이 발생하는 일산화 탄소를 감소시키고 이산화 탄소를 1%정도로 하고 탄화 수소화합물을 배출량을 감소시킨다. 즉 탄화 수소를 200ppm정도로 하고, 람다값(LAMBDA)을 1000정도로 함으로써 환경 보호에 기여한다는 점이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것은 본고안의 2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체(10)상에 제1연결아암(11)과 제2연결아암(12), 그리고 제1도입공(13)과 제2도입공(14) 및 제3도입공(19)을 설치한다. 상기 제1도입공(13)은 180°로 꺾어져 밸브실(17)로 진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먼저 기술한 실시예에 비해 보다 충분한 량의 공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제6도에 도시한 것은 본고안의 3실시예이다. 그구조는 제1,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1실시예와 거의 같지만, 1실시예에서의 보올(171) 제어 부재(173)로 대신하였다. 상기 제어부재(173)의 일단에는 헤드(1731)를 설치하고, 다른일단에는 볼록돌기(1731)를 설치한다. 상기헤드(1731)는 밸브 구멍(16)을 제어하고, 상기 볼록 돌기(1732)는 원추형 스프링(172)에 연접하여 제어 부재(173)가 밸브 구멍의 개폐를 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아래와 같다.
(가)구조가 간단한 점, (나)설치가 간단하고, 간단히 PVC관만을 절단하여 절단된 양단을 각각 본고안에 연결하기만 하면 되는 누구나 신속하게 설치를 할 수 있다는 점, (다)실린더내의 가솔린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무화(霧化)가스와 공기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이에 따라 일산화 탄소와 탄화 수소화합물인 폐가스의 배출을 적게 하고, 또한 마력을 원활하게 상승시킴으로써 연료를 절약할 수가 있고 경제적이라는 이점이 있다는 점이다.

Claims (2)

  1. 일조의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 연소장치로, 본체의 적당한 위치에 제1연결아암을 설치하여 PVC관 (POSITIVE CRANKCASE VENTILATI ON HYDRO CARBON MIXTURE)과 연결하고, 상기 본체의 다른 일단에는 제2연결아암을 설치하여 흡입 다기관에 연결하며, 상기제1연결아암은 도입공과 연결하고, 상기 도입공의 말단을 하방향으로 구부려 제 2도입공과 연통시키고, 상기 본체 하단의 적당한 위치에는 세로홈 형태의 구멍을형성하고, 상기 구멍의 적당한 위치에 위치 결정 엣지를 설치하며, 공기를 공기실로부터 밸브 구멍을 거쳐 밸브실에 진입시키고, 상기 밸브실은 보올에 원추형 스프링을 조합시킨 구성으로, 고정편을 상기 원추형스프링에 고정하고 상기 보올을 상기 원추형 스프링에 조합시킴으로써 밸브 구멍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고정편에는 핀홀을 설치하여 제 2도입공과 연통시키며, 하우징은 그 하방으로 다수의 관통공을 설치하여 스폰지를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내로, 다른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상기 하우징에 넣어 두고, 상기 스폰지가 공기중의 먼지나 재를 여과함으로써,마르고 깨끗한 공기를 공기실로부터 밸브 구멍을 거쳐 밸브실에 진입시키고 상기 핀홀로부터 제 2도입공에 진입시킨 후 엔진에 진입시키며, 상기 보올이 빠르게 이동하여 밸브 구멍의 개폐를 제어 하고 공기실에 정량의 신선한 공기를 저장하여, 상기 밸브 구멍이 블리딩시에 신선한 공기를 충분히 제공하여 희박 연소효과를 갖는 간이형 가솔린 엔진 희박 연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밸브 구멍내의 보올 대신에, 일단을 헤드로하고 다른 일단에 볼록 돌기를 설치한 제어 부재로 한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 연소장치.
KR2019940020461U 1994-08-13 1994-08-13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연소장치 KR200150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461U KR200150789Y1 (ko) 1994-08-13 1994-08-13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461U KR200150789Y1 (ko) 1994-08-13 1994-08-13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68U KR960008468U (ko) 1996-03-15
KR200150789Y1 true KR200150789Y1 (ko) 1999-07-01

Family

ID=1939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0461U KR200150789Y1 (ko) 1994-08-13 1994-08-13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7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68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02704A1 (en) Breathe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036933A3 (en) Fuel injection valv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SE0000095D0 (sv) Spjäll för reglering av tillsatsluft till tvåtakts förbränningsmotorer
ATE455585T1 (de) Viertakt-verbrennungsmotor mit verminderter geräuschemission
KR200150789Y1 (ko) 간이형 가솔린엔진 희박연소장치
CN102644496B (zh) 用于汽缸盖的系统及用于内燃发动机的火花塞上点火线圈组件
JP3008158U (ja) 簡易型ガソリンエンジン希薄燃焼装置
US5406925A (en) Fuel engine combustion aid for a lean-burning
WO2023127221A1 (ja) ガスエンジン
KR100286892B1 (ko) 자동차의 에어컨 컴프레셔 브라켓 구조
JPS606594Y2 (ja) ブロ−バイガス還元装置付き気化器
KR200169932Y1 (ko) 와류형성밸브 작동용의 진공탱크 개폐밸브장치
KR970009534B1 (ko) 차량용 lpg엔진의 흡기다기관가스켓
KR20040033338A (ko) 엘피지 차량의 잔류가스 환원장치 및 그 방법
JP5512907B1 (ja) 混合気拡散用アダプタ、ピストンおよび2サイクルエンジン
KR830000205Y1 (ko) 자동차 엔진에 과열포화 수증기를 공급하는 장치
KR100187977B1 (ko) 디젤엔진의 재순환 배기가스 정화장치
JPS591090Y2 (ja)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810002310Y1 (ko) 자동차용 가솔린 연료 절약기
KR970007059A (ko) 오일연소기의 연소장치
US6708679B1 (en) Polution control kit
KR970046935A (ko) 석유연소기의 연료분사노즐 구조
KR19980075632A (ko) 자동차 흡기다기관의 공기흡입장치
KR970047112A (ko) 로타리 히터의 송풍구조
KR19990002518U (ko) 차량용 엔진의 블로바이 가스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