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677Y1 - 필기구의 손잡이 장치 - Google Patents

필기구의 손잡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677Y1
KR200150677Y1 KR2019960036540U KR19960036540U KR200150677Y1 KR 200150677 Y1 KR200150677 Y1 KR 200150677Y1 KR 2019960036540 U KR2019960036540 U KR 2019960036540U KR 19960036540 U KR19960036540 U KR 19960036540U KR 200150677 Y1 KR200150677 Y1 KR 200150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ember
groove
writing instrument
writ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161U (ko
Inventor
박성만
Original Assignee
박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만 filed Critical 박성만
Priority to KR2019960036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67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3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6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지가 용이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압박부(4)(5)와 원둘레 형상홈(3)을 형성한 필기구몸체(1)의 압박부(4)(5)에 , 경사부(9)(9a)와 홈(8)을 형성한 탄성체로 된 손잡이 부재(2)의 내면 앞, 뒤쪽(2a)(6)이 탄성에 의해 강제적으로 끼워지면서 필기구몸체(1)와 손잡이 부재(2) 사이에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7)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된 것이다.

Description

필기구의 손잡이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장치의 단면도로서
제1a도는 홈의 부위를 잡은 손잡이부재가 중앙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1b도는 홈가 경사부 부위를 잡은 손잡이부재가 뒤쪽 끝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1c도는 또 다른 부위를 잡은 손잡이부재가 앞쪽 끝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손잡이부재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a도는 본 고안 손잡이장치의 사용상태도
제4b도는 회전방향을 성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c는 축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로서의 부분단면도.
제5도는 본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로서의 a도는 회전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b도는 축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기구몸체 2 : 손잡이부재
3 : 원둘레형상홈 4 : 압박부
5 : 나사부를 형성한 압박부 6 : 손잡이부재 나사부
7 :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 8 : 홈
9, 9a : 경사부 10 : 선단캡
본 고안은 파지가 용이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둘레 형상홈을 형성한 필체의 손잡이부에 홈을 형성한 손잡이부재가 끼워 설치되면서 필체와 손잡이부재 사이에는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서 필기시 상시 공간부 내로 파지되는 3손가락과 동일한 휘어짐 상태로서의 흠이 형성됨으로서 미끄럼 방지 및 더욱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면서 편하게 잡고서 필기를 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필기구의 사용감을 좋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필기구를 잡은 사정에 따라 조절 사용할 수 있게한 필기구위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필기구 몸체에는 미끄러지지 않게 하거나 사용자의 피로를 막기 위해 필기구 몸체의 손잡이부에 파형무늬 같은 것을 새겨 미끄러짐을 방지하였으나 장기간 필기를 하다보면 중지 옆부분에 피부가 변색된다든가, 심할 경우에는 굳은살이 생기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종류의 고안들이 안출된바 있으나 그중 일본실용신안 실개평7-778호와 한국실용신안 공고번호 96-5198호와 같은 것은 제6도와 같이 축방향으로 복수의 요철흠(凹凸)부를 형성하여 요홈(凹)부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고 철홈(凸)부에 의해 손잡이부재의 회전방지 수단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필기구를 잡으면 요홈의 공간부에서는 휘어짐 상태가 되고 철홈의 회전저지부는 휘어지지 않음으로서 휘어지는 부분과 위어지지 않는 부분이 파지된 손가락 안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파지되어야 할 손잡이부재는 손가락 특성에 맞지않게 자연스러운 손가락 모양에 맞는 휘어짐 상태가 아닌 이상한 부자연스러운 휘어짐 상태가 일어남으로서 불편하다.
따라서 상기 필기구를 잡았을 때에는 감각적으로 철홈의 회전지지부를 피하여 휘어짐이 양호한 상태의 요홈의 공간부를 찾아서 편안한 상태로 고쳐 잡아야 하는 습관을 가지게 된다. 또한 부여되는 탄력이 손잡에 부재의 재질에 의해 생기는 것만이어서 자체의 탄력에 한계가 있었다.
또다른 본인의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96-966호는 파지부가 단단하고 매끄러운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에 파지된 3손가락에 통증을 유발시킨다는 것이다.
또다른 한국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95-5524호와 같은 것을 미끌림 방치효과는얻을 수 있으나 음푹한 파지부의 일정할 틀속에서 3손가락이 파지됨으로서 모든 사용자의 손가락 특성에 맞는 자연스럽게 쥐어지는 현상이 아닌 사용자의 손가락 특성에 맞지않는 강제적으로 홈에끼워지는 부자연스러운 파지가 됨으로서 부드러운 촉감에 의한 편안한 상태로서 파지가 되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필기구는 부여되는 탄력이 손잡이 부재위 재질에 의해 생기는 , 즉 한정된 탄력을 가진 탄성체의 부재로서 필기구 몸체에 끼워져 몸체의 외주연과 밀착시켜지도록 되어 있는 것인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재의 탄력에 의해 몸체의 외주연에 강제적으로 끼워져 있는 손잡이부재는 복원될려는 손잡이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필기구를 쥐었을때 휘어짐의 탄력분보다 복원될려는 손잡이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충분한 압력을 흡수할 수 없게 됨으로서 장기간 필기시에는 통증과 함께 중지손가락의 피부가 변생된다는가 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경질고무나 플라스틱 같은 탄력부재의 손잡이 부재로서 미끌림방지 및 편안 하면서도 부드러운 탄력에 의한 촉감과 모든 사용자의 각각 다르게 파지되는 3손가락 모양과 동일한 상태로서의 자연스럽게 휘어지는 홈을 형성되게 함과 아울러 구조상으로도 비약적인 탄력을 얻을 수 있으며 회전방향으로는 넓게, 축방향으로는 길게 손잡이 부재가 3손가락에 파지되어서 사용자의 필기조작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를 잡고서 축방향으로 원하는 위치에 손잡이부재를 조절 사용할 수 있는 필기구의 손잡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필기구를 손으로 잡고서 필기를 하도록 된 필기구 몸체의 손잡이부부에 형성된 원둘레 형상홈과 압박부에형성된 나사부와 나합된 소잡이부재 사이에 공기가 통하지 않는 밀페된 공기층을형성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손잡이부재 외주연은 홈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상기 손잡아 부재의 두께는 중앙홈에서 경사부 양끝쪽을 향하여 완만하게 두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이와 같이 중앙의 홈에서 경사부의 끝 가장자리를 향하여 손잡이부재의 두께가 완만하게 두꺼워지는 홈을 가진 손잡이부재의 나사부와 필기구 몸체의 나사부를 형성한 압박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서 필기구 몸체의 원둘레 형상홈(3)에 의해 손잡이부재와 필기구 몸체사이에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홈을 잡고서 필기를 하는 경우 손잡이부재는 밀폐된 공기층에 대항해서 공간부 내로 두께가 얇은 홈쪽이 먼저 휘어지면서 양경사부는 홈을 잡은 손가락의 밑쪽과 위쪽이 밀착되어지면서 모든 사용자의 각각 다르게 파지되는 3손가락의 특성에 맞는 손가락모양과 동일한 상태로서 자연스럽게 밀착 휘어지면서 홈이 형성되어 3손가락에 앞, 뒤 좌,우 넓고 길게 밀착되어져 받져주기 때문에 미끌림 방지 및 손가락이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손잡이부재의 탄력과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 내의 공기가 압축 되어져 그 탄발력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비약적인 탄력과 함께 부드러운 감촉과 함께 편안한 파지에 의한 안정된 필기상태가 된다.
또한 손잡이부재의 두께가 중앙홈에서 양경사부 끝쪽을 향하여 완만하게 두꺼워지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필기구위 두께를 선택하여 축방향으로 조절 사용이 가능함으로 필기 조작성이 극히 좋아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전부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제1도내지 2도,3도,4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필기구몸체(1)의 손잡이부에 양경사부(9)(9a)를 가지는 홈(8)을 형성한 손잡이부재(2)가 설치되는 바, 즉 필기구몸체(1)의 손잡이부에 원둘레 형상홈(3)이 형성되면서 이 홈(3) 앞쪽 끝에는 압박부(4)와 뒤쪽 끝에는 나사부를 형성한 압박부(5)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재(2)의 뒤쪽 내면 나사부(6)가 필기구몸체(1)의 손잡이부의 뒤쪽 나사부를 형성한 압박부(5)에 강제적으로 나사결합(5)(6)되는 상태로서 압박되이져 끼워지면, 그와 동시에 손잡이부재(2)의 내면 앞쪽 부위(2a) 또한 필기구 몸체(1)의 한쪽 압박구(4)에 손잡이부재(2)의 자체 탄력에 의해 복원될려는 복원력에 대항해서 압박되어져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필기구몸체(1)의 원둘레 형상홈(3)에 의해 손잡이부재(2)와 필기구몸체(1)사이에는 공기가 밀폐되는 상태로서의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7)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 실시예의 손잡이장치는 사용자가 필기구 손잡이장치의 손잡이부재(2)의 홈(8)을 잡고서 사용하게 되면 손잡이부재(2)가 제1도와 제3도와 같이 화살표 방향을 압력이 가해지는바, 이때 손잡이부재(2)가 필기구 몸체(1) 사이에 원둘레 형상홈(8)에 의해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7)가 마련되기 때문에 이 밀폐된 공기층에 대항해서 각각 홈의 깊이와 넓이를 다르게 3손가락과 동일한 형태로 접선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휘어지면서 변형되어 압력을 흡수하면 제4도와 같이 면의 길이가 서로 다른 3각형 홈으로서의 각각 다른 3손가락이 원하는 변형된 홈이 형성되면서 손가락의 회전방지 및 축방향으로 미끌림형장을 방지하면서 필기상태가 된다.
따라서 홈(8)이 사용자세게 조금 작게 만들더라도 모든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과 동일한 상태로 밀페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7)내에서 휘어지면서 변형되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의 손가락에 맞는 손잡이장치의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7)에 의해 비약적인 탄력을 얻을 수 있음으로서 탄력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부드러운 감촉이 3손가락에 전해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홈(8)에 의해 장기간 필기도중 엄지손가락의 피로를 풀려고 엄지손가락을 필기구에서 놓아도 검지와 중지가 홈(8)에 끼워져 있었기 때문에 밑쪽으로 빠지는 일은 없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재(2)의 두께가 중앙의 홈(8)에서 경사부(9)(9a) 양끝쪽을 향하여 완만하게 두꺼워지게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의 필기구의 위치를 선택하여 원하는 축방향으로 나사회동(5)(6)에 의해 조절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축방향의 이동수단으로 나사회동에 한정하지 말고 강제적인 이동수단이어도 좋다.)
따라서 손잡이부재(2)가 나사회동(5)(6)에 의해 더 끝쪽으로 이동하면 제1도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2)의 윗턱(2b)이 필기구몸체(1)의 나사부를 형성한 압박부(5)의 윗턱(5a)에 걸려 더 이상 이동이 멈추게 되고 손잡이부재(2)가 앞쪽 끝으로 이동하면 제1도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2)의 밑턱(2c)의 선단캡(10)의 윗턱(10a)에 걸려 더이상 이동을 멈추게 되면서 손잡이부재(2)는 필기구몸체(1)의 손잡이부에서 강제적으로 회동시키지 않는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제5도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을 손잡이부재(2)의 중앙 외주연에 홈(8)을 형성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손잡이부재(2)의 내면 중앙부분에 홈(8)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상기 홈(8)은 양경사부(9)(9a) 끝쪽을 향하여 손잡이부재(2)의 두께가 완만하게 두꺼워지게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손잡이부재(2)를 잡으면 화살표 방향으로 입력이 가해지면서 점선에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두께가 얇은 내면홈(8)쪽이 먼저 밀페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7) 내로 휘어지면서 변형되기 땜누에 자연스럽게 3손가락과 동일한 상태로서 변형된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원리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 필기구의 손잡이장치를 잡으면 제1도와 제3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는바, 이때 손잡이부재(2)와 필기구몸체(1) 사이에 공기가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7)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재(2)가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7) 내의 공기층에서 두께가 얇은 홈(83)쪽이 먼저 휘어지면서 변형되어 제4도의 a, b, c도에서 대항해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2)가 축방향으로는 길게, 회전방향으로는 넓게 각각 다른 형태로서 파지된 3손가락 모양과 동일한 상태로서의 변의 길이가 서로다른 3각형의변형된 홈이 형성되면서 파지된 3손가락이 회전방향으로도 회전하지 못하며 축방향으로도 미끌리자 않게 된다.
또한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7)의 공기층의 저항에 의해 한정된 탄력부재를 써서 구조상으로 비약적으로 향상된 탄력을 얻을 수 있음으로서 편안하면서도 부드러운 감촉과 함께 안정된 필기상태가 진행된다.
따라서 필기시에는 전, 후, 좌, 우의 필기체의 필기 사정에 따라 미는 손가락쪽의 홈은 더욱 큰홈이 형성되고 힘을 뺀 손가락은 손잡이부재(2) 자체의 탄력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손가락에 밀착되어 짐녀서 어떠한 글씨체를 형성하여도 손잡이부재(2)의 넓은 부위가 손가락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서 지속되기 때문에 장기가 필기를 하여도 피로를 느낄 수 없게된다.
그리고 손잡이부재(2)의 홈(8)조금작게 하여도 손잡이부재(2)가 밀폐된 공기 층을 형성한 공간부(7) 내로 휘어지게 되면서 각각 다르게 파지되는 3손가락과 동일한 상태로서의 변형된 홈을 형성하고 변형된 홈을 형성하지 못한 부분의 손잡이 부재는 자체의 탄력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파지돤 3손가락의 밑쪽 끝과 위쪽 끝을 자연스럽게 경가를 그리면서 밀착되어져 올려주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의 손가락에 맞는 변형된 홈이 형성됨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는홈(8)을 갖출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필기구 손잡이장치는 홈(8)에서 양경사부(9)(9a) 끝쪽을 향하여 완만하게 두꺼워지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회전방향으로 원하는 두께를 잡고 축방향으로도 원하는 위치와 나사회동(5)(6)에 의해 조절 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어 편리한 필기구의 손잡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압박부(4)(5)와 원둘레 형상홈(3)을 형성한 필기구몸체(1)의 압박부(4)(5)에 경사부(9)(9a)와 홈(8)을 형성한 탄성체로 된 손잡이부재(2)의 내면 앞, 뒤쪽 (2a)(6)이 자체의 탄성에 의해 강제적으로 끼워지면서 필기구 몸체(1)와 손잡이부재(2)사이에 원둘레 형상홈(3)에 의해 원둘레 형상의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공간부(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손잡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필기구 손잡이부에 원둘레 형상홈(3)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손잡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2)가 모래시계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손잡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2)의 두께가 중앙의 홈(8)에서 양경사부(9)(9a) 끝쪽을 향하여 완만하게 두꺼워지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손잡이장치.
KR2019960036540U 1996-10-31 1996-10-31 필기구의 손잡이 장치 KR200150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540U KR200150677Y1 (ko) 1996-10-31 1996-10-31 필기구의 손잡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540U KR200150677Y1 (ko) 1996-10-31 1996-10-31 필기구의 손잡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61U KR19980023161U (ko) 1998-07-25
KR200150677Y1 true KR200150677Y1 (ko) 1999-07-01

Family

ID=1947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540U KR200150677Y1 (ko) 1996-10-31 1996-10-31 필기구의 손잡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6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649B1 (ko) * 2002-07-03 2004-12-03 주식회사 모리스 손잡이 굵기 조절 가능한 필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649B1 (ko) * 2002-07-03 2004-12-03 주식회사 모리스 손잡이 굵기 조절 가능한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61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484B2 (en) Gripping aid
US6343885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hand grip
US4721021A (en) Handle structure
US4402508A (en) Handle trigger grip
US8152396B2 (en) Function first grip
US20050087084A1 (en) Squeegee handle assembly
US20060083575A1 (en) Device for right grip of writing tools
KR200150677Y1 (ko) 필기구의 손잡이 장치
JP2002192885A (ja) 筆記用具
KR20010006617A (ko) 필기구 몸체
JP3431317B2 (ja) 筆記具用グリップ
KR19980019188U (ko) 필기구의 손잡이장치
JP5002400B2 (ja) 筆記具保持用補助具
US6098237A (en) Buffer brush for stenciling
JP2854084B2 (ja) 筆記具被覆体
JPH02141295A (ja) 筆記具被覆体および被覆体の移動止め構造
KR200399092Y1 (ko) 필기자세교정장치
JPH09209206A (ja) 手 袋
CN218948794U (zh) 书写用具
JPH0715373U (ja) 軸体のグリップ
WO2003029022A1 (en) Finger inserting type writing device
US5863032A (en) Protective cover for staple remover
JPH0140713Y2 (ko)
JPH0725182A (ja) 紙片めくり
JPH02210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