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641Y1 -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641Y1
KR200150641Y1 KR2019950020021U KR19950020021U KR200150641Y1 KR 200150641 Y1 KR200150641 Y1 KR 200150641Y1 KR 2019950020021 U KR2019950020021 U KR 2019950020021U KR 19950020021 U KR19950020021 U KR 19950020021U KR 200150641 Y1 KR200150641 Y1 KR 200150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sieve
sides
magnet cran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659U (ko
Inventor
이명석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20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641Y1/ko
Publication of KR970009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6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그네트 크레인을 이용하여 슬라브를 뒤집을 경우 마그네트 크레인의 시이브가 전도되어 시이브에 감긴 와이어 로프가 시이브에서 이탈함으로서 마그네트크레인을 이용하여 슬라브를 재차 상승시킬 때 와이어 로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시이브 케이스의 상부면에는 양측으로 대향한 한쌍의 수직판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판에는 각각 양측으로 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긴 구멍에는 수직판의 사이에서 복수개의 로울러를 장착한 회전축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는 각각 수직판의 양외측에서 위치된 고정 보울트의 일측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한편, 상기 고정보울트는 수직판상의 구멍에 끼워져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로울러가 각각 와이어로프를 시이브측으로 밀착시키는 로울러 지지장치; 상기 로울러 지지장치의 수직판위에 고정되고, E형을 유지하여 각각의 오목부에 와이어로프가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와이어로프 이탈 방지판; 및, 상기 시이브의 과도한 전도를 방지하여 시이브로 부터 와이어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시이브 양측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받침판;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마그네트 크레인에서 시이브(sheave)가 전도되어 와이어 로프가 늘어진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의 전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에 갖취진 로울러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울러 지지장치 12 : 수직판
14 : 긴 구멍 16a, 16b : 로울러
20 : 고정 보울트 24 : 너트 부재
30 : 와이어로프 이탈방지판 32 : 오목홈
40 : 받침판 100 : 마그네크 크레인
본 고안은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마그네트 크레인을 이용하여 슬라브를 뒤집을 경우 마그네트 크레인의 시이브가 전도되어 시이브에 감긴 와이어 로프가 시이브에서 이탈함으로서 마그네트크레인을 이용하여 슬라브를 재차 상승시킬 때 와이어 로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슬라브등의 중량물을 권상하기 위하여 전자력을 이용하는 마그네트 크레인(100)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 크레인(100)은 슬라브(1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슬라브(110)의 전, 후면을 뒤집는 공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수평으로 놓여진 슬라브(110)를 수직으로 세워서 슬라브의 측면을 권상한다음 슬라브를 지면에 밀착시켜서 뒤집게되며 이러한과정에서 슬라브가 지면에 닿게되면 시이브(115)는 측방향으로 전도되어 시이브(115)에 감긴 와이어로프(120)가 풀리게 됨으로서 시이브(115)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슬라브(110)를 권상시키기 위하여 마그네트 크레인(100)을 동작시키면, 시이브(115)에서 이탈된 와이어 로프(120)는 시이브(115)의 돌출홈(115a)에 강하게 압착되어 와이어 로프(120)의 심선이 파손되고 그에따른 와이어 로프(120)의 수명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그네트 크레인을 이용하여 슬라브를 이송시키고 뒤집을 경우, 마그네트 크레인의 시이브가 측방향으로 과도하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이브에 감긴 와이어 로프가 시이브에서 이탈됨을 방지함으로서 와이어 로프가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여 설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가동율을 향상시켜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고안은, 제철소에서 슬라브를 이송시키기위해 사용되는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이탈 방지 장치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가 감긴 시이브를 내장하는 시이브 케이스의 상부면에는 양측으로 대향한 한쌍의 수직판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판에는 각각 양측으로 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긴 구멍에는 수직판의 사이에서 복수개의 로울러를 장착한 회전축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는 각각 수직판의 양외측에서 위치된 고정 보울트의 일측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한편, 상기 고정보울트는 수직판상의 구멍에 끼워져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로울러가 각각 와이어로프를 시이브측으로 밀착시키는 로울러 지지장치; 상기 로울어 지지장치의 수직판위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단면형상이 E형을 유지하여 각각의 오목부에 와이어로프가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와이어로프 이탈 방지판; 및, 상기 시이브의 과도한 전도를 방지하여 시이브로 부터 와이어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시이브 양측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받침판;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1)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20)가 감긴 시이브(115)를 내장하는 시이브 케이스(130)의 상부면에 로울러 지지장치(10)를 장착한다. 상기 로울러 지지장치(10)는 시이브 케이스(130)의 양측으로 대향하여 한쌍의 수직판(12)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판(12)에는 각각 양측으로 긴 구멍(14)이 형성되며, 상기 긴 구멍(14)에는 수직판(12)의 사이에서 복수개의 로울러(16a)(16b)를 장착한 회전축(18)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8)의 양단부는 각각 수직판(12)의 양외측에서 고정 보울트(20)의 일측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보울트(20)는 타측단부가 수직판(12)상의 후방벽(22)에 마련된 구멍(미도시)에 끼워져서 너트부재(24)에 의해서 고정되고 ㄴ형 안내돌기(26)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서 후방벽(22)으로 부터 돌출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18)에 끼워진 로울러(16a)(16b)는 각각 와이어로프(120)를 시이브(115)측으로 밀착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시이브(115)측으로 와이어 로프(120)의 밀착정도를 양호하게 하기위하여 서로 다른 직경(d1)(d2)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로울러 지지장치(10)의 수직판(12)위에는 와이어로프 이탈 방지판(30)이 용접으로 고정되는 바, 상기 와이어로프 이탈방지판(30)은 단면형상이 E형을 유지하여 일측면에 복수개의 오목부(32)를 형성하고, 각각의 오목부(32)에는 와이어로프(120)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이브(115)의 과도한 전도를 방지하여 시이브(115)로 부터 와이어로프(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판(40)이 시이브케이스(130) 양측의 프레임(140)에 고정되는 바, 이는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추고 각각 시이브(115)가 측방향으로 전도되는 경우, 이를 떠받쳐서 과도하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1)는 와이어로프 이탈방지판(30)이 1차적으로 와이어로프(120)를 안내하여 시이브(115)로 유도하여주고 로울러 지지장치(10)의 복수개의 로울러(16a)(16b)는 각각 와이어로프(120)를 시이브(115)측으로 밀착시켜 주면서 와이어 로프(120)의 승하강에 따라 공회전됨으로서 슬라브(110)의 이송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슬라브의 뒤집기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슬라브가 지면에 닿아서 시이브(115)가 측방향으로 전도되는 경우는 시이브(115)의 양측에 마련된 한쌍의 받침판(40)이 시이브(115)의 과도한 전도를 방지하여줌으로서 대략 45도 이내의 범위에서 전도되도록 하여주고, 로울러 지지장치(10)의 로울러(16a)(16b)가 와이어 로프(120)를 시이브(115)측으로 밀착시켜줌으로서 시이브(115)로부터 와이어로프(120)가 이탈되지 않으며, 이탈방지판(30)내의 오목홈(32)에 와이어로프가 위치됨으로서 전도된 후에 시이브(115)가 재상승되는 경우, 와이어로프(120)가 시이브(115)에 정확하게 일치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과정에서 로울러(16a)(16b)에 의한 와이러로프(120)의 누름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로울러 지지장치(10)의 보울트부재(20)에 나사결합하고 있는 너트부재(24)를 이동시켜서 후방벽(22)으로부터 보울트부재(20)의 돌출길이를 조절하면 로울러(16a)(16b)가 장착된 회전축(18)이 수직판(12)의 긴 구멍(14)에서 전,후방측으로 이동함으로서 로울러(16a)(16b)에 의한 와이어 로프(120)의 누름압력을 적절하게 조절 할수 있는 것이다.
상슬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는 마그네트 크레인을 이용하여 슬라브를 이송시키고 뒤집을 경우, 마그네트 크레인의 슬라브가 지면에 접촉하여 시이브가 측방향으로 과도하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이브에 감긴 와이어 로프가 이탈방지판에 의해서 시이브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함은 물론, 와이어 로프가 로울러에 의해서 시이브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가 시이브에서 이탈하여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마그네트 크레인에 의한 슬라브의 뒤집음 작업시에도 와이어 로프의 손상이 방지됨으로서 설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가동율을 향상시켜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실용상의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1)

  1. 제철소에서 슬라브(110)를 이송시키기위해 사용되는 마그네트 크레인(100)의 와이어 로프 이탈방지 장치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120)가 감긴 시이브(115)를 내장하는 시이브 케이스(130)의 상부면에는 양측으로 대향한 한쌍의 수직판(12)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판(12)에는 각각 양측으로 긴 구멍(14)이 형성되며, 상기 긴 구멍(14)에는 수직판(12)의 사이에서 복수개의 로울러(16a)(16b)를 장착한 회전축(18)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18)의 양단부는 각각 수직판(12)의 양외측에서 위치된 고정 보울트(20)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편, 상기 고정보울트(20)는 수직판(12)상의 구멍(14)에 끼워져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로울러(16a)(16b)가 각각 와이어로프(120)를 시이브(115)측으로 밀착시키는 로울러 지지장치(10); 상기 로울러 지지장치(10)의 수직판(12)위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단면형상이 E형을 유지하여 각각의 오목부(32)에 와이어로프(120)가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와이어로프 이탈 방지판(30); 및, 상기 시이브(115)의 과도한 전도를 방지하여 시이브로 부터 와이어로프(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시이브케이스(130) 양측의 프레임(f)에 고정되는 받침판(40);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
KR2019950020021U 1995-08-02 1995-08-02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 KR200150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021U KR200150641Y1 (ko) 1995-08-02 1995-08-02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021U KR200150641Y1 (ko) 1995-08-02 1995-08-02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659U KR970009659U (ko) 1997-03-27
KR200150641Y1 true KR200150641Y1 (ko) 1999-07-01

Family

ID=1942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021U KR200150641Y1 (ko) 1995-08-02 1995-08-02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6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659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3116A (ko) 슬래브, 패널 또는 시트 재료를 위한 리프팅 장치
KR200150641Y1 (ko) 마그네트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파손방지장치
US4105240A (en) Lifting device for large panels
DE69912027D1 (de) Bandgiessanlage
JPH07144846A (ja)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シュー装置
KR200237481Y1 (ko) 보조지지롤을갖춘벨트콘베이어
KR890012714A (ko) 압연대의 로울사이에서 압연재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
JPH025487B2 (ko)
AU2001279782A1 (en) Device for continuously casting metals, especially steel
JP2934636B2 (ja) 駆動金車装置
US5769201A (en) Safety apparatus for a novice ski lift
KR200216724Y1 (ko) 가역 벨트콘베어의 자동착탈식 크리너
CN219031283U (zh) 一种电缆放线装置
KR200168913Y1 (ko) 코일용 고정장치
KR100822969B1 (ko) 고중량 롤 이송용 통 크레인
US4261557A (en) Fence helper
CA2016788C (en) Extrusion puller mounting
JPH10202325A (ja) ロール成形機
KR0116807Y1 (ko)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제로장치의 롤러 정렬조정장치
KR20030052148A (ko) 천정 크레인용 와이어 킹크 방지장치
KR200160447Y1 (ko) 캐리어 로울러 교환용 리프터의 스탠드
SU1634629A1 (ru) Подъемник
JP3266820B2 (ja) ロール成形機
JPH07206376A (ja) 長尺材の吊出し装置
JPS5819171Y2 (ja) リンガ−ロ−ル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