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283Y1 -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 - Google Patents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283Y1
KR200150283Y1 KR2019970020718U KR19970020718U KR200150283Y1 KR 200150283 Y1 KR200150283 Y1 KR 200150283Y1 KR 2019970020718 U KR2019970020718 U KR 2019970020718U KR 19970020718 U KR19970020718 U KR 19970020718U KR 200150283 Y1 KR200150283 Y1 KR 200150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water droplets
outside
vehicle body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200U (ko
Inventor
최정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28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2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2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2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체를 도료를 건조시 소부로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하여 소부로의 벽면이나 천정면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고 상기 물방울은 오염된 이물질과 결합되어 차체에 떨어지게 됨에 따라 도장품질을 불량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소부로(100)의 벽면(110)과 천정면(120)에 각각 소정각도로 경사지고 선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유도판(111),(121)을 형성하되,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고, 마지막 유도판(114)은 소부로(100)의 외부와 연통된 배수관(130)에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소부로(10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하여 물방울이 생기게 되면 상기 물방울은 각각의 벽면(110) 및 천정면(120)에 설치되어 있는 경사진 유도판(111),(121)에 떨어지게 되고 그 경사에 의해 물방울이 지그재그로 내려와 결국 배수관(130)을 통해 소부로(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저렴하고 간단한 설비로서 도장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장작업 과정에서 차체의 도료를 건조시켜 도막을 형성하는 소부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체를 소부로에 건조시, 소부로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물방울이 유도판에 의해 소부로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므로서, 물방울이 차체로 떨어져 자동차 도장의 품질을 불량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목적은 피도물의 보호와 미관의 향상, 유지에 있고 제품의 특성상 높은 수준이 요구된다. 특히 차체 외판도장품질은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여도 도막의 열화나 발청이 없고 또한 도막의 광택이나 색채를 유지하여 미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도장의 기본공정은 차체의 전처리 후, 초벌칠(전착), 중간칠, 마무리칠의 3회 칠이 주류이며, 초벌칠과 중간칠 사이의 공정에는 실링 및 방음, 방청을 위한 언더코트 등의 공정이 정해져 있고, 고급차의 도장으로서 다층칠을 시공하는 것도 있다.
그리고 도장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도료는 전착도료, 중간도료, 마무리도료 및 플라스티졸계도료로 분류할 수가 있으며, 전착도료는 차체 방청이 요구되어 초벌칠을 한 후의 표면광택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 인자로서 개량을 해 왔다. 그리고 중간도료는 마무리도료의 표면 조정적 요소를 가지지만 섀시용의 흑 및 컬러실러 등 초벌칠의 대용으로서의 적극적인 사용방법도 있다. 그리고 초벌칠도료는 시대에 따른 최신의 컬러가 적용이 되며 표면, 광택이 뛰어난 것, 광휘성의 소재를 가한 마이카 도료 등의 실용례가 많다.
이러한 도장에 있어서, 전처리는 차체표면 및 인너패널의 소지면에 화성피막을 형성시켜 방청력이나 전착도료의 밀착력을 유지하는 공정이며, 전착도장은 종래의 디핑도장에 대하여 도막두께를 도료관리조건과 통전조건에 의해 정량적으로 관리가 되고, 또 그늘의 부품에 부착성이 좋으며, 도료손실이 적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자동차 차체의 초벌칠에 널리 보급되어 왔다.
즉, 전처리공정의 건조로를 통과한 차체는 오버헤드 컨베어의 반송에 의해 각도를 가지고 전착조에 들어가 에어고임이나 기포가 제거되어 아우터면 및 인너면 모두에 걸처 방청의 기초가 되는 전착막이 형성되는 것이고, 그 후는 전착막의 잔사물을 울트라필트레이션(UF)액으로 씻어낸 후, 딥수세되어 소부공정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중간칠 도막은 초벌칠과 마무리칠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쌍방과의 밀착성, 내피칭성, 평활성, 내후성 등의 기능을 가지며, 특히 내치핑성에 대해서는 사용부위, 요구성능에 따라 스톤가드코트(SGC), 안티치핑코트(ACC) 등을 병용한다. 또 외관품질 향상을 노린 2 층 중간칠, 컬러 중간칠, 그레이 중간칠 등도 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칠의 공정은 바탕(전착)도막 위의 먼지, 이물 등의 여러 결함을 제거하는 청소; 도료를 공기압 또는 회전 원심력 등으로 가늘게 무화하고 피도물에 부착시키는 스프레이; 소부가열시 급격한 용제증발에 의한 그을음을 막기 위해 사전에 용제를 증발시키고, 무화도료를 충분히 섞어서 플로우 시키는 세팅; 도료를 건조시키는 소부의 네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설비에는 도료의 상태변화(무화→부착→도막)를 안정하게 하기 위해 일정한 온습도로 유지하고 있으며, 목적의 피도물에 부착하지 않는 무화도료를 신속히 제거하기 위해 급배기를 하고 다른 피도물에의 부착방지와 작업환경의 유지를 꾀하고 있는 스프레이부스와; 적정조건으로 희석한 도료를 탱크에서 펌프에 의해 배관을 통해서 스프레이부스까지 공급하는 도료공급장치와; 소부로와; 스프레이기기 및 자동도장기가 있다.
이러한 설비에 있어서, 상기 소부로는 차체의 도료를 건조시켜 도막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가열에 의한 용제의 증발과 수지의 경화반응을 하며, 이에는 적외선 램프나 적외선 히터를 사용하는 적외선로와 도시가스의 연소열을 사용하는 열풍로가 있으며, 상기 열풍로에는 연소가스로 직접 가열하는 직접로와 연소가스와 열교환한 열풍으로 가열하는 간접로가 있다.
또한 마무리칠은 차체의 미관과 보호에 있는 것으로서, 미관에는 착색안료의 특성에 의해 여러 가지의 색을 발생시키는 솔리드컬러와 착색안료와 알루미프레이크를 조합하므로써 금속광택감을 주는 메탈릭컬러가 있으며, 보호기능으로서의 마무리칠 도막은 기능성 도막(전착, 중간칠 등)을 자외선으로부터 지키는 역할과 마무리칠 도막 자신의 내후성이나 내오염성에의 성능도 구비하여야 한다.
한편 도 1 은 열풍을 이용한 소부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방이 폐쇄된 소부로(10)에 차체(20)를 집어넣고, 연소가스 또는 열풍으로 도장된 차체(20)를 건조시켜 도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하여 수증기가 응측되면서 소부로의 벽면(11)이나 천정면(12)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고 상기 물방울은 오염된 이물질과 결합되어 차체(20)에 떨어지게 됨에 따라 도장품질을 불량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하여 소부로의 벽면과 천정면에 발생되는 물방울을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도판을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함에 따라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설비로서 도장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소부로의 벽멱과 천정면에 각각 소정각도로 경사지고 선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유도판을 형성하되, 유도판을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고, 마지막 유도판은 소부로의 외부와 연통된 배수관에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달설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장된 차체를 소부로에 집어넣고 열풍 및 연소가스로서 건조시킴에 있어서, 소부로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하여 물방울이 생기게 되면 상기 물방울은 각각의 벽면 및 천정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사진 유도판에 떨어지게 되고 그 경사에 의해 물방울이 지그재그로 내려와 결국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저렴하고 간단한 설비로 도장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부로 111, 121,114 : 유도판
130 : 배수관 200 : 차체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소부로의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체(200)의 도료를 건조시키는 소부로(100) 각각의 벽면(110)과 천정면(120)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고 선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유도판(111),(121)을 형성하되, 유도판(111),(121)을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고, 마지막 유도판(114)은 소부로(100)의 외부와 연통된 배수관(130)에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0)은 소부로(100)의 벽면이고, (120)은 소부로(100)의 천정면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체(200)를 도장시, 차체(200)의 도료를 건조시켜 도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차체(200)를 소부로(100)에 집어넣고 연소가스나 열풍을 발생시켜 차체(200)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소부로(100)의 내부온도와 외부온도의 차로 인하여 소부로(100)의 벽면(110)이나 천정면(120) 등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방울은 각종 이물질이나 먼지 등과 섞이게 되면서 오염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오염된 물방울이 바로 차체(200)로 떨어지는 경우, 도장품질이 불량해지므로 상기 오염된 물방울을 신속히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도장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소부로(100)의 사방 벽면(110)과 천정면(120)에 유도판(111),(121)을 설치하되, 서로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벽면(110)이나 천정면(120)에 발생된 물방울이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측 유도판(111)에 떨어지게 되면 그 경사각에 의해 하방으로 흘러가다가 상기 일측 유도판(111)과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 타측 유도판(112)으로 이동되고 상기 타측 유도판(112)의 경사에 의해 다시 하방으로 흘러가다가 다음 유도판(113)에 이동되면서 물방울이 점점 아래로 흘러가게 되어 결국 마지막 유도판(114)과 연결된 배수관(130)에 의해 물방울은 소부로(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체의 도료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차체를 소부로에 넣고 연소가스나 열풍으로 건조시킴에 있어서, 소부로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한 물방울이 소부로의 벽면과 천정면에 맺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물방은 소부로의 벽면과 천정면에 지그재그로 형성된 유도판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간단한 시설과 유지비로서 도장품질이 불량해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도장된 차체(200)를 건조시키는 소부로(100) 각각의 벽면(110)과 천정면(120)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고 선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유도판(111),(121)을 형성하되,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고, 마지막 유도판(114)은 소부로(100)의 외부와 연통된 배수관(130)에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
KR2019970020718U 1997-07-31 1997-07-31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 KR200150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718U KR200150283Y1 (ko) 1997-07-31 1997-07-31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718U KR200150283Y1 (ko) 1997-07-31 1997-07-31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200U KR19990007200U (ko) 1999-02-25
KR200150283Y1 true KR200150283Y1 (ko) 1999-07-01

Family

ID=1950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718U KR200150283Y1 (ko) 1997-07-31 1997-07-31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2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200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9625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de aplicacion de un revestimiento sobre un sustrato.
CA2121185C (en) Vehicle coating process
US20090074968A1 (en) Wet-on-wet two-tone painting
US62967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ating a substrate
KR930001714B1 (ko) 도장방법
JPH0315503B2 (ko)
CN109550670A (zh) 一种低温水性三涂一烘涂装工艺
US200201228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polychromatic coating onto a substrate
CA2536979A1 (en) Multi-stage processes for drying and curing substrates coated with aqueous basecoat and a topcoat
KR200150283Y1 (ko)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
KR100209860B1 (ko) 자동차의 도장작업용 도어 고정구
KR100209861B1 (ko)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
KR19990012825A (ko) 자동차 도료 건조용 소부로의 배기장치
JP4935086B2 (ja) 回転霧化式塗装装置を用いた塗装方法
JP4599990B2 (ja) 水系塗料の塗装方法及び塗装システム
KR19990017927A (ko) 자동차 도장용 스프레이부스
JP2014023996A (ja) 自動車車体の上塗り塗装方法及び装置
JP2014023995A (ja) 自動車車体の上塗り塗装方法及び装置
JP2002153812A (ja) 多彩模様塗膜の形成方法
KR19990017924A (ko)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
JP4734919B2 (ja) 塗装方法及び塗装装置
JP2790465B2 (ja) 自動車の塗装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されるメタリック塗料
JP3061681B2 (ja) 艶消し多彩模様塗膜の形成方法
KR100314530B1 (ko) 도장 공정 전용 에어 공급 장치
KR19990007192U (ko) 자동차의 도장용 스프레이 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