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861B1 -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861B1
KR100209861B1 KR1019970041007A KR19970041007A KR100209861B1 KR 100209861 B1 KR100209861 B1 KR 100209861B1 KR 1019970041007 A KR1019970041007 A KR 1019970041007A KR 19970041007 A KR19970041007 A KR 19970041007A KR 100209861 B1 KR100209861 B1 KR 100209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painting
paint
doo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925A (ko
Inventor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8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Landscapes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여러 가지 공정에 따라 별도의 도어 고정구를 제작 운영하므로서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작업성의 저하에 따라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몸체(110)의 상부에는 몸체(110)를 관통하여 회동이 가능한 회동구(120)를 설치하되, 회동구(120)의 일측은 상향으로 절곡하고 타측은 하향으로 절곡하며, 몸체(110)의 하부에도 회동이 가능한 걸림구(130)를 설치하되, 걸림구(130)의 핀설부(131)에는 선단에 걸림부(132)가 형성된 걸림봉(133)을 핀설하며, 몸체(110)의 전면 중앙에는 고정부(140) 및 회동방지구(150)를 형성하고, 몸체의 후면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간격유지구(160) 및 걸림편(170)을 형성하므로서, 자동차를 도장하는 과정에서, 바디(300)로부터 리어 도어(200)를 열어놓거나, 닫아야 하는 경우에 여러가지의 도어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도어 고정구(100)로서 여러 가지 공정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공정의 감소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과 제조원가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장작업시, 바디로부터 도어를 일정간격으로 열어놓거나 닫아놓을 경우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여러종류의 도장공정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를 한 종류로 구성하여 적용하므로서, 불필요한 공정의 감소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 및 제조원가의 절감시켜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여러개의 패널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차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롤상태의 동판을 차체 각 부분에 가공하기 쉬운 크기로 절단하는 재료 절단 과정을 거치고, 바닥, 문, 후드 등의 패널 부품으로 성형하는 프레스 가공 과정과 성형된 패널 부품을 대형 멀티스폿 용접기나 로봇을 이용하여 차체의 형태로 용접하는 차체 가공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립이 끝난 차체는 깨끗이 세정된 후, 도장이 되는데 상기 도장의 목적은 피도물의 보호와 미관의 향상 및 유지에 있다. 특히 차체 외판도장품질은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여도 도막의 열화나 발청이 없고 또한 도막의 광택이나 색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도장의 기본공정은 초벌칠(전착), 중간칠, 마무리칠의 3회 칠이 주류이며, 초벌칠과 중간칠 사이의 공정에는 실링 및 방음, 방청을 위한 언더코트 등의 공정이 정해져 있고, 고급차의 도장으로서 다층칠을 시공하는 것도 있다.
또한 도장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도료는 전착도료, 중간도료, 마무리도료 및 플라스티졸계도료로 분류할 수가 있으며, 전착도료는 차체 방청이 요구되어 초벌칠을 한 후 표면광택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 인자로서 개량을 해 왔다. 그리고 중간도료는 마무리도료의 표면 조정적 요소를 가지지만 섀시용의 흑 및 컬러실러 등 초벌칠의 대용으로서의 적극적인 사용방법도 있다. 그리고 초벌칠도료는 시대에 따른 최신의 컬러가 적용이 되며 표면, 광택이 뛰어난 것, 광휘성의 소재를 가한 마이카 도료 등의 실용례가 많다.
이러한 도장에 있어서, 전처리는 차체표면 및 인너패널의 소지면에 화성피막을 형성시켜 방청력이나 전착도료의 밀착력을 유지하는 공정이며, 전착도장은 종래의 디핑도장에 대하여 도막두께를 도료관리조건과 통전조건에 의해 정량적으로 관리가 되고, 또 그늘의 부품에 부착성이 좋으며, 도료손실이 적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자동차 차체의 초벌칠에 널리 보급되어 왔다.
즉, 전처리공정의 건조로를 통과한 차체는 오버헤드 컨베어의 반송에 의해 각도를 가지고 전착조에 들어가 에어고임이나 기포가 제거되어 아우터면 및 인너면 모두에 걸처 방청의 기초가 되는 전착막이 형성되는 것이고, 그 후는 전착막의 잔사물을 울트라필트레이션(UF)액으로 씻어낸 후, 딥수세되어 소부공정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중간칠 도막은 초벌칠과 마무리칠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쌍방과의 밀착성, 내피칭성, 평활성, 내후성 등의 기능을 가지며, 특히 내치핑성에 대해서는 사용부위, 요구성능에 따라 스톤가드코트(SGC), 안티치핑코트(ACC) 등을 병용한다. 또 외관품질 향상을 노린 2 층 중간칠, 컬러 중간칠, 그레이 중간칠 등도 하고 있다.
또한 중간칠의 공정은 바탕(전착)도막 위의 먼지, 이물 등의 여러 결함을 제거하는 청소; 도료를 공기압 또는 회전 원심력 등으로 가늘게 무화하고 피도물에 부착시키는 스프레이; 소부가열시 급격한 용제증발에 의한 그을음을 막기 위해 사전에 용제를 증발시키고, 무화도료를 충분히 섞어서 플로우 시키는 세팅; 도료를 건조시키는 소부의 네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설비에는 도료의 상태변화(무화→부착→도막)를 안정하게 하기 위해 일정한 온습도로 유지하고 있으며, 목적의 피도물에 부착하지 않는 무화도료를 신속히 제거하기 위해 급배기를 하고 다른 피도물에의 부착방지와 작업환경의 유지를 꾀하고 있는 스프레이부스와; 적정조건으로 희석한 도료를 탱크에서 펌프에 의해 배관을 통해서 스프레이부스까지 공급하는 도료공급장치와; 소부로와; 스프레이기기 및 자동도장기가 있다.
또한 마무리칠은 차체 미관의 보호에 있는 것으로서, 미관에는 착색안료의 특성에 의해 여러 가지의 색을 발생시키는 솔리드컬러와 착색안료와 알루미프레이크를 조합하므로써 금속광택감을 주는 메탈릭컬러가 있으며, 보호기능으로서의 마무리칠 도막은 기능성 도막(전착, 중간칠 등)을 자외선으로부터 지키는 역할과 마무리칠 도막 자신의 내후성이나 내오염성에의 성능도 구비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장작업을 함에 있어서, 바디를 전착액조에 집어넣어 바디에 도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바디가 부력에 의해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고정구를 제작하여 사용하며, 다른 공정에서는 도어가 바디로 부터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또 다른 도어 고정구를 제작함에 따라 제작비용의 상승에 다른 제조원가의 증가 및 여러 가지의 도어 고정구를 사용하여 작업하므로서 작업공정이 많아지고 작업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를 도장작업시, 바디로부터 리어 도어를 열어놓거나, 닫아놓을 경우, 하나의 도어 고정구로 용이하게 수행하므로서, 작업공정의 단축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과, 제조원가의 절감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몸체의 상부에는 몸체를 관통하여 회동이 가능한 회동구를 설치하되, 회동구의 일측은 상향으로 절곡하고 타측은 하향으로 절곡하며, 몸체의 하부에도 회동이 가능한 걸림구를 설치하되, 걸림구의 핀설부에는 선단에 걸림부가 형성된 걸림봉을 핀설하며, 몸체의 전면 중앙에는 고정부 및 회동방지구를 형성하고, 몸체의 후면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간격유지구 및 걸림편을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를 도장하는 과정에서, 바디로부터 리어 도어를 열어놓거나, 또는 닫아야 하는 경우에 별도의 도어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도어 고정구로서 여러 가지 공정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공정의 감소 및 작업성의 향상과 제조원가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구를 예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사용 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사용 예를 보인 요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어 고정구 110 : 몸체
111 : 걸림구 112 : 지지편
113 : 돌설부 120 : 고정구
121 : 손잡이부 122 : 지지부
123 : 걸림부 130 : 삽입부
140 : 괘지편 141 : 괘지홈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구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바디로 부터 리어 도어를 개방시켜 고정한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바디에 리어 도어가 닫혀 열리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따라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어 고정구(100) 몸체(110)의 상부에는 몸체(110)를 관통하여 회동이 가능한 회동구(120)를 설치하되, 회동구(120)의 일측은 상향으로 절곡하고 타측은 하향으로 절곡하며, 몸체(110)의 하부에도 회동이 가능한 걸림구(130)를 설치하되, 걸림구(130)의 핀설부(131)에는 선단에 걸림부(132)가 형성된 걸림봉(133)을 핀설하며, 몸체(110)의 전면 중앙에는 고정부(140) 및 회동방지구(150)를 형성하고, 몸체(110)의 후면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간격유지구(160) 및 걸림편(170)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은 리어 도어이고, (210)은 리어 도어(200)의 인너 패널이며, (211)은 상기 인너 패널(210)에 형성된 구멍이고, (220)은 상기 리어 도어(200)의 아우터 패널이며, (300)은 바디이고, (310)은 휠 하우스이며, (311)은 휠 하우스의 플랜지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하나의 도어 고정구(100)로서 자동차의 도장과정에서 바디 내부로 전처리액 및 전착도료가 쉽게 유입되도록 리어 도어(200)를 개방하여 고정시켜야 하는 경우나, 리어 도어(200)를 바디(300)에 닫은 상태로 고정시켜야 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리어 도어(200)를 개방시켜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리어 도어(200)의 인너 패널(210)에 형성된 구멍(211)에 몸체(110) 후면 하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편(170)을 삽설함과 동시에 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회동구(120)를 회동시키게 되면 회동구(120)의 일측이 리어 도어(200)의 아우터 패널(220)과 인너 패널(210)이 이루고 있는 공간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회동구(120)의 일측과 몸체(110)의 후면 사이에 상기 인너 패널(210)의 선단부가 끼워지면서 도어 고정구(100)의 몸체(110)가 리어 도어(200)의 인너 패널(21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 고정구(100)를 리어 도어(200)의 인너 패널(210)에 고정시킨 뒤, 몸체(110)의 하단에 설치된 걸림구(130)를 회동시켜 걸림구(130)의 걸림봉(133)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132)가 바디(300)의 휠 하우스 패널(310)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311)에 끼워 고정시킴에 따라 리어 도어(200)가 바디(300)로 부터 10∼15㎝ 정도 개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자동차를 도료액조에 넣을 경우 부력에 의해 리어 도어(200)가 바디(300)로 부터 완전히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 고정구(100)는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측 리어 도어(200)를 고정시킬 경우에는 상기 걸림구(130)를 좌측으로 회동시켜 고정하고, 우측 리어 도어(도면중 미도시)를 고정시킬 경우에는 걸림구(130)를 우측으로 회동시켜 사용하므로서 좌측 리어 도어(200)와, 우측 리어 도어에 모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 걸림구(13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방지구(150)는 걸림구(130)가 360°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걸림구(130)의 걸림부(132)가 휠 하우스 패널(310)의 플랜지(311)에 보다 용이하게 괘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 고정구(100)의 몸체(110)가 리어 도어(200)의 인너 패널(210)에 설치된 후, 몸체(110)의 후면과 인너 패널(210)이 접면되면 도료액이 상기 접면면 부위에 유입되지 못하여 도장이 양호하게 되지 않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10)의 후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간격유지구(160)를 형성하여 몸체(110)의 후면과 리어 도어(200)의 인너 패널(210)이 완전히 접면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공정에 따라 리어 도어(200)가 바디(300)에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리어 도어(200)의 인너 패널(210)에 도어 고정구(100)의 몸체(110)를 설치한 후, 걸림구(130)를 경사지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바디(300)의 내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걸림구(130)가 경사짐에 따라 핀설부(131) 또한 경사를 이루어 바디(300)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며, 몸체(110)의 하단부는 바디(300)의 외부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인너 패널(210)에 고정된 몸체(110)의 하단부가 바디(300)의 외부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경사되도록 회동시켰던 걸림구(130)를 반대로 회동시켜 핀설부(131)와 상기 하단부의 사이에 바디(300)의 휠 하우스 패널(310)이 끼워지도록 하여 리어 도어(200)를 바디(300)에 닫혀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 걸림구(130)는 몸체(110)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부(140)에 고정시키므로서 걸림구(130)의 불필요한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장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하나의 도어 고정구로서, 리어 도어를 바디로부터 개방시키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여러공정에 다양하게 적용함에 따라 작업공정을 단축시켜 작업성의 향상효과와 공정에 따라 별도의 도어 고정구를 제작, 운영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제조원가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어 고정구(100) 몸체(110)의 상부에는 몸체(110)를 관통하여 회동이 가능한 회동구(120)를 설치하되, 회동구(120)의 일측은 상향으로 절곡하고 타측은 하향으로 절곡하며, 몸체(110)의 하부에도 회동이 가능한 걸림구(130)를 설치하되, 걸림구(130)의 핀설부(131)에는 선단에 걸림부(132)가 형성된 걸림봉(133)을 핀설하며, 몸체(110)의 전면 중앙에는 고정부(140) 및 회동방지구(150)를 형성하고, 몸체의 후면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간격유지구(160) 및 걸림편(170)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
KR1019970041007A 1997-08-26 1997-08-26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 KR100209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007A KR100209861B1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007A KR100209861B1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925A KR19990017925A (ko) 1999-03-15
KR100209861B1 true KR100209861B1 (ko) 1999-07-15

Family

ID=1951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007A KR100209861B1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9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45B1 (ko) * 2018-11-19 2019-06-11 임병옥 자동차 생산공정용 도어홀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151B1 (ko) * 1999-12-30 2002-02-21 이계안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
KR100401632B1 (ko) * 2001-05-25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
CN101811112B (zh) * 2010-03-25 2012-03-2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轿车前盖喷漆辅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45B1 (ko) * 2018-11-19 2019-06-11 임병옥 자동차 생산공정용 도어홀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925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74968A1 (en) Wet-on-wet two-tone painting
KR20170099404A (ko) 도장 건조 장치 및 도장 건조 방법
CN109550670A (zh) 一种低温水性三涂一烘涂装工艺
CA23901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ating a substrate
KR100209861B1 (ko)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
Mahajan et al. Review on automotive body coating process
RU2659039C1 (ru) Способ цифровой печати на кузов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209860B1 (ko) 자동차의 도장작업용 도어 고정구
KR19990017924A (ko) 자동차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어 고정구
JPS61276833A (ja) 合成樹脂成形品の塗装方法
KR200150283Y1 (ko) 배수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도료 건조용 소부로
JP3653953B2 (ja) マスキングレスツートーン塗装方法
KR100205759B1 (ko) 자동차 스프레이부스의 자동청소장치
JP2005177631A (ja) 塗装方法
KR101923336B1 (ko) 도장 건조 방법 및 자동차 보디의 도장 공정용 도어 오프셋 장치
KR19990017927A (ko) 자동차 도장용 스프레이부스
KR0135130Y1 (ko) 전착도장시 도어고정지그의 구조
JP2790465B2 (ja) 自動車の塗装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されるメタリック塗料
US20030132116A1 (en) Process for coating workpieces, in particular vehicle bodies
JP3991923B2 (ja) 塗装方法
KR100232035B1 (ko) 자동차 도장용 펌프의 배관 연결구조
KR20090012877A (ko) 차량용 도어의 전착액 흐름 방지 구조
KR19990012825A (ko) 자동차 도료 건조용 소부로의 배기장치
KR100212807B1 (ko) 차량 도장공정의 도료 절감 시스템
JPS5889975A (ja) 2色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