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166Y1 -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 - Google Patents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166Y1
KR200149166Y1 KR2019970000212U KR19970000212U KR200149166Y1 KR 200149166 Y1 KR200149166 Y1 KR 200149166Y1 KR 2019970000212 U KR2019970000212 U KR 2019970000212U KR 19970000212 U KR19970000212 U KR 19970000212U KR 200149166 Y1 KR200149166 Y1 KR 200149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prefabricated
protrusions
foam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894U (ko
Inventor
허봉락
Original Assignee
허봉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봉락 filed Critical 허봉락
Priority to KR2019970000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166Y1/ko
Publication of KR970013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8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32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and grooves
    • E04B2002/0234Angular dovetails
    • E04B2002/0236Angular dovetails tapered, i.e. dovetail narrows in the direction of tongue or groove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내, 외장재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은, 상면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다수의 돌출된 조립돌기(2)들이 블럭본체(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 상기 조립돌기(2)들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조립홈(3)들이 상기 조립돌기(2)들과 동일하게 배열되도록 하여 블럭본체(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봉삽입홈(6)이 형성된, 발포우레탄폼으로 된 직육면체의 블럭본체(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계적인 내구력이 우수함은 물론, 방열, 방음효과가 우수하며, 조립이 간편한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을 제공하며, 발포우레탄 블럭을 사용하여 마감공사가 필요없고, 해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여 임시건물 등의 구축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건축 내, 외장재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
본 고안은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내, 외장재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블럭이라 함은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반죽한 몰탈로 일정하게 직육면체를 형성하여 양생한 것으로서, 기계적인 내구력은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나, 방열, 방음 등의 면에서는 큰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블럭을 사용하여 외형을 조적한 건물에 있어서는, 반드시 우레탄폼과 같은 단열재로 단열처리를 하고, 또 외적미관을 위하여 역시 시멘트와 고운모래를 혼합한 몰탈로 미장하여야 하는 등 별도의 단열처리 및 외형처리를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에 따라 건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별도로 내, 외장 처리를 하여야 하는 등 부수적인 작업이 요구되어 건축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수개월 내지 수년간의 비교적 단기간 사용되는 임시건물의 축조를 위하여는 불필요하게 과다한 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철거시에도 많은 경비가 소요되고, 건축폐재가 새로운 공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축내장용으로서 합성수지의 블럭의 표면에 석분(石粉)을 도포한 인테리어용 블럭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기는 하나, 이를 사용하여 기계적 내구력을 요하는 건축물 자체의 구축에는 적절치 못하였다.
더욱이, 임시건물용으로 최근 컨테이너박스가 사용되기는 하나, 이러한 컨테이너박스는 철제로 이루어진 케이스로서, 철제 자체의 우수한 열전도도로 인하여 단열성이 현저하게 낮으며, 별도로 단열재를 컨테이너박스의 내면에 부착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전에 제작되는 관계로 원하는 크기 및 구조를 갖는 임시건물을 축조하기에는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임시건물을 포함한 건축물 축조용의 새로운 블럭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구축용 및 건축 내, 외장재용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열성이 우수하고, 별도의 마감처리가 필요없는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의 사용상태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에 사용될 수 있는 마감블럭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에 사용될 수 있는 마감블럭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의 축조에 사용될 수 있는 지지봉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럭본체 2 : 조립돌기
3 : 조립홈 4 : 기밀돌기
5 : 기밀홈 6 : 지지봉삽입홈
7 : 마감블럭 8 : 지지봉
9 : 연결돌기 10 : 연결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은, 상면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다수의 돌출된 조립돌기들이 블럭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 상기 조립돌기들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조립홈들이 상기 조립돌기들과 동일하게 배열되도록 하여 블럭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봉삽입홈이 형성된, 발포우레탄폼으로 된 직육면체의 블럭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육면체의 블럭본체의 폭과 길이의 비는 1 : 2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돌기들은 바람직하게는 정자(井字)형이 2개가 연속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절반에 해당하는 조립돌기는 정자(井字)형이 될 수 있다.
상기 블럭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양측면에 기밀돌기와 기밀홈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은 직육면체로 된 발포우레탄폼의 상면에는 조립돌기(2)들을 형성시키고, 그 저면에는 조립홈(3)들을 형성시키고, 구축물의 견고성을 위한 지지봉(8)의 삽입을 위한 지지봉삽입홈(6)이 적어도 2개 이상 상면과 하면을 서로 관통하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블럭본체(1)를 형성하는 발포우레탄폼은 폴리우레탄의 발포체로서, 통상 단열재 및 건축재로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주쇄 중에 우레탄결합을 가지는 폴리머로서, 대개 2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이나 아민 등 활성수소를 가지는 화합물과 2관능 또는 다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류와의 반응에서 얻어지며, 대개의 경우 프리폴리머(prepolymer)로 만들고, 다시 이를 디올 즉, 이가 알코올이나 아민 물 등을 반응시켜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머로의 중합시나 특히 경화시에 발포제를 혼입시켜 우레탄폼과 같은 발포체로 만들 수 있으며, 사용되는 알콜이나 이소시아네이트류에 따라 부드러운 것에서 단단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물성을 갖는 폴리머를 얻을 수 있으며, 탄성의 정도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무상 탄성을 갖는 것의 제조도 가능함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우레탄폼은 다포성 또는 스폰지 형의 폴리우레탄 수지로 열경화성 수지에 속하며,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형의 다가알콜오과 디이소시안산에스테르에서 물 등의 촉매의 존재하에 중부가반응시키면 발열해서 수지화되며, 이때 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발포도 진행되어 다공질이 되며, 이를 금형(mold) 중에서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금형에 대응하는 외형을 갖는 우레탄폼을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금형내에서 발포우레탄을 제조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돌기(2)와 조립홈(3) 및 보강을 위한 지지봉(8)이 삽입될 수 있는 지지봉삽입홈(6)들이 형성된, 직육면체 상의 블럭본체(1)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2)는 상기 조립홈(3)과의 결합에 의하여 블럭본체(1)간의 조적을 용이하게 하며, 정확한 배열이 되도록 조적하는데 적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직육면체의 블럭본체(1)의 폭과 길이의 비는 1 : 2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럭본체(1)들의 연속 조적에 의한 구조물의 구축시 일정한 형상으로 조적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높이를 높게하여 조적하는 경우에 유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2)들은 바람직하게는 정자(井字)형이 2개가 연속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절반에 해당하는 조립돌기(2)는 정자(井字)형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럭본체(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양측면에 기밀돌기(4)와 기밀홈(5)들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2에서와 같이 다수의 블럭본체(1)들이 연속으로 조적되는 경우에 블럭본체(1)들 간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기와의 차단효과를 증대시키며, 그에 의하여 단열 및 방음을 보다 확실하게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럭본체(1)들 이외에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마감블럭(7)들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감블럭(7)들은 모두 그 일측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본체(1)의 조립돌기(2)나 조립홈(3)들과 결합될 수 있는 조립돌기(2)나 조립홈(3)들이 형성되고, 그 타측면에는 편평한 면을 갖도록 하여 창틀이나 문틀과 같이 노출되는 부분에 적용되는 경우에 그 노출되는 면을 편평한 면으로 마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감블럭(7)은 모두 본 고안에 따른 블럭본체(1)의 변형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블럭본체(1)를 길이방향으로 절반시킨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본 고안에 블럭본체(1)를 길이방향으로 절반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럭본체(1)의 조적시에 보강을 위하여 상기 블럭본체(1)의 지지봉삽입홈(6)에 삽입되는 지지봉(8)을 도5에 나타냈으며, 이 지지봉(8)은 그 일측단부에 연결돌기(9)가 형성되고, 그 타측단부에 연결홈(10)이 형성되어 있어, 두개 이상의 지지봉(8)의 연결시에 어느 하나의 지지봉(8)의 연결돌기(9)가 다른 하나의 지지봉(8)의 연결홈(10)에 삽입되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개이상 다수의 지지봉(8)들을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하나의 길이가 긴 지지봉(8)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개가 연결된 지지봉(8)들이 상기 블럭본체(1)의 지지봉삽입홈(6)에 삽입됨으로써 다수의 조적된 블럭본체(1)들의 조적물의 높이에 대하여 수직방향 즉,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충분한 기계적 내구성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지지봉(8)은 그 길이가 상기한 블럭본체(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블럭본체(1)의 조적시에 매 블럭본체(1)들로 형성되는 층들마다에서 상기한 지지봉(8)을 삽입하고, 다음 블럭본체(1)의 층들을 조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적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기계적인 내구력이 우수함은 물론, 방열, 방음효과가 우수하며, 조립이 간편한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발포우레탄 블럭을 사용하여 마감공사가 필요없고, 해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여 임시건물 등의 구축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 내, 외장재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상면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다수의 돌출된 조립돌기들이 블럭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 상기 조립돌기들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조립홈들이 상기 조립돌기들과 동일하게 배열되도록 하여 블럭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봉삽입홈이 형성된, 발포우레탄폼으로 된 직육면체의 블럭본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육면체의 블럭본체의 폭과 길이의 비가 1 : 2가 되도록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들이 정자(井字)형이 2개가 연속된 형태가 되도록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양측면에 기밀돌기와 기밀홈들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
KR2019970000212U 1997-01-09 1997-01-09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 KR200149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212U KR200149166Y1 (ko) 1997-01-09 1997-01-09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212U KR200149166Y1 (ko) 1997-01-09 1997-01-09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94U KR970013894U (ko) 1997-04-28
KR200149166Y1 true KR200149166Y1 (ko) 1999-07-01

Family

ID=1949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212U KR200149166Y1 (ko) 1997-01-09 1997-01-09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1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42Y1 (ko) 2012-02-23 2013-07-17 김가영 조립식 블록
KR102014136B1 (ko) * 2019-02-20 2019-08-26 위드비웰 주식회사 조적식 블록과 이를 이용한 하부 트러스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67B1 (ko) * 2006-12-20 2008-04-07 이재수 실내장식용 합성수지 벽돌
KR101231785B1 (ko) * 2011-06-22 2013-02-08 이성근 조립식 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42Y1 (ko) 2012-02-23 2013-07-17 김가영 조립식 블록
KR102014136B1 (ko) * 2019-02-20 2019-08-26 위드비웰 주식회사 조적식 블록과 이를 이용한 하부 트러스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94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5193B1 (en) Method for making a faux stone concrete panel
US3562985A (en) Reinforced synthetic resin structural panels
US4856248A (en) Structural building element
US3476634A (en) Heat and sound insulation
ITVI940172A1 (it) Pannello modulare isolante termoacustico ammortizzante a montaggio rapido e metodo di fabbricazione dello stesso.
IE42358B1 (en) Composite building module
KR200149166Y1 (ko) 조립식 발포우레탄 블럭
KR100420299B1 (ko) 다중경량 단열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2157741B1 (ko) 단열성 강화를 위한 창틀 시공방법
JP3858216B2 (ja) タイルの製造方法
KR100934415B1 (ko) 유연성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방법
KR100934413B1 (ko) 유연성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방법
KR200166869Y1 (ko)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CN2485369Y (zh) 复合型保温砌块
JPH0860663A (ja) 透水性軽量ブロック
KR200246525Y1 (ko) 단열블록
CA1069263A (en) Composite building module
JPH1046713A (ja) コンクリート壁用または基礎用型枠
KR101206730B1 (ko) 단열 및 방음성능이 우수한 건축재
KR200189796Y1 (ko) 폴리우레탄 블록(polyurethane block)
KR19990078738A (ko) 토목 및 건축용 복합패널.
KR102226689B1 (ko) 초경량 단열 마그네슘 중공형 판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초경량 단열 마그네슘 중공형 판넬
JPH0860664A (ja) 透水性軽量ブロック
KR200142322Y1 (ko) 건축용 골조부재
KR20020088724A (ko) 합성수지재 프레임을 갖는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조립식 허니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