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322Y1 - 건축용 골조부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골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322Y1
KR200142322Y1 KR2019960011987U KR19960011987U KR200142322Y1 KR 200142322 Y1 KR200142322 Y1 KR 200142322Y1 KR 2019960011987 U KR2019960011987 U KR 2019960011987U KR 19960011987 U KR19960011987 U KR 19960011987U KR 200142322 Y1 KR200142322 Y1 KR 200142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ntainer
waste resin
waste
binder layer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1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603U (ko
Inventor
권택주
Original Assignee
권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택주 filed Critical 권택주
Priority to KR2019960011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322Y1/ko
Publication of KR9700626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6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3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골조부재에 관한 것으로, 속이 빈 단면형상으로 그 내부에 단열공간(11)을 갖는 폐수지용기(10)와; 이 폐수지용기(10)의 외부에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증대 토록 도포되는 결합제층(20)으로 구성되어, 폐합성수지용기를 활용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여 값싸게 널리 보급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폐수지용기가 소유하는 강한 압축강도를 이용해 보강는 결과로 방음하벽이나 바닥면의 강도가 우수해지고, 소음의 염려를 배제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골조부재
제1도는 본 고안의 골조부재를 일부 절결하여 보인 사시도.
제2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일부절결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폐합성수지용기 11 : 공간
20 : 결합제층 30 : 콘크리트층
본 고안은 건축용 골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속이 빈 진공용기를 이용해 방음이나 단열효과가 우수한 건축용 골재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최근, 각종 실내외의 건축물은 방음및 단열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즉, 실내의 경우 공간을 구분하는 벽체 및 충을 구획하는 슬라브층에 단열 및 방음을 위한 처리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종 팬스나 터널등에도 소음흡수 및 방음처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 벽체 및 팬스등의 경우 방음처리로는 벽체의 경우 판넬 형상으로 그 내부에 속이 빈 상태로 섬유상의 흡음재를 채워넣는 것에 의해 방음 및 단열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음을 전달하는 요소, 즉 매질(媒質)이 고체상태의 섬유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판넬의 내부가 음의 전달이 고체상의 물질에 의해 마치 실(絲)로서 음을 타측으로 전달하는 것과 같은 상태로 채워지는 결과로 방음의 효과가 미진하였던 것이다.
또한, 슬라브층에 수행하는 방음처리는 기초 슬라브층의 상부에 기포나 입자상의 우레폼과 같은 단열부재가 혼입되는 기포콘크리트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단열효과와 아울러 방음을 기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또한 음을 전달하는 요소(매질)가 고체상태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직접 음을 전달하는 결과로 방음효과를 거의 기대하지 못하여, 아파트와 같이 다층으로 건축되는 경우 소음문제가 심각하게 야기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방음 판넬 및 콘크리트층의 경우 외압이나 충격에 견디는 강도가 매우 취약하고 하중이 무거워 취급도 곤란하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방음 및 단열의 효과가 우수하도록 한 건축용 골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폐기되는 폐합성수지재를 수거하여 재생 성형토록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제조원가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골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그 강토가 향상되도록 하는 건축용 골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속이 빈 단면형상으로 그 내부에 단열공간(11)을 갖는 폐수지용기(10)의 외부에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중대토록 하는 결합제층(20)이 도포되어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벽이나 바닥재등의 내부로 배열되어 콘크리트와의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단열 및 방음효과를 증대토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골조부재를 칠부 절결하여 보인 사시 도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속이 빈 단면형상으로 내부에 밀폐된 공간(11)을 갖는 폐수지용기(10)의 외부로는 결합제층(20)이 도포되어 있게 된다.
상기 폐 수지용기(10)는 생활쓰레기에서 수거된 폐수지를 재 용융하며 성형하는 것으로, 그 용도에 따라 크기와 형상을 다르게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그 외 부면으로는 결합제층(20)을 도포하게 된다.
상기 결합제층(20)은 벽이나 바닥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층(30)과 일체화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으로, 그 재질은 콘크리트와 결합력이 양호한 광물질재 중에서 석분이나 시멘트재가 주로 사용된다.
이때, 광물질로 된 결합제출(20)을 폐 수지용기(10)의 외부로 일정 두께로 도포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접착제가 사용된다.
따라서, 접착제에 의해 결합제층(20)이 폐수지용기(10)의 외부로 도포된 상태로 대량 생산하여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난방관(1)이 배관되는 바닥면을 시공하는 용도나,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벽체로 시공되는 데 콘크리트층(30)의 중앙에 매립 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와같이 콘크리트층(30)의 내부로 폐수지용기(10)가 매립될 때 결합제층(20)에 의해 일체화 된 상태로 매립되는 것이며, 이 폐수지용기(10)의 내부 공간(11)에 의해 단열 및 방음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 이 폐수지용기(10)가 갖는 강도가 우수하여, 전체적으로 시공된 상태에서 강도가 콘크리트층(30)으로만 시공되는 경우에 비하여 향상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보다 벽체 및 바닥면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섬유재 및 철망과 같은 보강매트(31)를 콘크리트층(30)의 내부로 설치하는 것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음이나 열이 전달되는 매질이 진공상태로 유지되므로 방음및 단열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폐기되는 폐 합성수지용기를 활용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여 값싸게 널리 보급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폐 수지용기가 소유하는 강한 압축강도를 이용해 보강하는 결과로 방음벽이나 바닥면의 강도가 우수해지고, 소음의 염려를 배제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속이 빈 단면형상으로 그 내부에 단열공간(11)을 갖는 폐 수지용기(10)의 외부에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증대토록 하는 결합제층(20)이 도포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골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층(20)은 광물질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골조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층(20)은 석분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골조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층(20)은 시멘트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골조부재.
KR2019960011987U 1996-05-15 1996-05-15 건축용 골조부재 KR200142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987U KR200142322Y1 (ko) 1996-05-15 1996-05-15 건축용 골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987U KR200142322Y1 (ko) 1996-05-15 1996-05-15 건축용 골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603U KR970062603U (ko) 1997-12-11
KR200142322Y1 true KR200142322Y1 (ko) 1999-06-01

Family

ID=1945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1987U KR200142322Y1 (ko) 1996-05-15 1996-05-15 건축용 골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3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975B1 (ko) * 2004-12-28 2005-09-26 (주) 지오시스 복층건물의 층간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975B1 (ko) * 2004-12-28 2005-09-26 (주) 지오시스 복층건물의 층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603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147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US7601234B2 (en) Housing created from high strength expanded thermoformable honeycomb structures with cementitious reinforcement
KR20060021052A (ko) 차음시트를 갖는 콘크리트 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0908920B1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200142322Y1 (ko) 건축용 골조부재
KR950001912B1 (ko) 단열방음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182731Y1 (ko) 건축용 골조부재
KR101269113B1 (ko) 바닥충격음 저감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9346B1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KR100473834B1 (ko) 뜬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060111330A (ko) 유기 또는 무기수지가 처리된 부직포 방음판넬.
KR100743154B1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방음판 구조
KR100875598B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장치 및 저감재의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
KR100453879B1 (ko) 건축물용 벽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77844B1 (ko) 하지패널, 외벽화장방법 및 단열피씨카텐월
KR20120001159A (ko) 층간차음바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차음구조
KR100495041B1 (ko)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0469124B1 (ko) 건축물용 벽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1924Y1 (ko) 건축물용 층간소음 저감패널
KR19980084997A (ko) 폐고무를 이용한 복합판상 차음재
KR100629309B1 (ko) 액체용기에 의한 진동소음 방지구조
JPH0138183Y2 (ko)
KR200387009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20060127548A (ko) 뜬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
JPH069235Y2 (ja) 浮き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