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342Y1 - 와이어링 홀딩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대쉬 트림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와이어링 홀딩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대쉬 트림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342Y1
KR200148342Y1 KR2019950045608U KR19950045608U KR200148342Y1 KR 200148342 Y1 KR200148342 Y1 KR 200148342Y1 KR 2019950045608 U KR2019950045608 U KR 2019950045608U KR 19950045608 U KR19950045608 U KR 19950045608U KR 200148342 Y1 KR200148342 Y1 KR 200148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dash
trim
wir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5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863U (ko
Inventor
차광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5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342Y1/ko
Publication of KR9700348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8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3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자동차의 대쉬 트림을 대쉬 판넬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립의 표면 중앙에 와이어 링을 삽지시킬 수 있는 홀딩편을 일체로 구성 시켜 별도의 와이어링 클립의 사용을 배제시킴으로써, 작업 공정의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링 홀딩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대쉬 트림 고정클립
제1도는 본고안 홀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 홀더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제3도는 종래의 와이어링 홀더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대쉬 판넬 T : 대쉬 트림
H : 클립 끼움공 SB : 스터드 볼트
1 : 클립 2 : 삽지공
3 : 홀딩편 3' : 삽지홈
본고안은 자동차의 대쉬 트림을 대쉬 판넬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립의 표면 중앙에 와이어링을 삽지시킬 수 있는 홀딩편을 일체로 구성 시켜 별도의 와이어링 클립의 사용을 배제시킴으로써, 작업 공정의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가능토록 한 것이다.
기존에는 대쉬 판넬 부위의 와이어 링(W)의 고정과 대쉬 트림의 고정은 각기 별도의 고정 클립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로인해 많은 수의 클립이 소요됨은 물론, 클립의 고정을 위해 많은 수의 고정 구조를 마련해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증가되어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컸으며,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한편 제3도는 와이어링(W)을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의 일구성을 보인 것으로, 브라켓(B)을 대쉬 판넬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스크류 고정 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받침편(B')의 와이어링(W)을 고정시켜 주기 위해 별도의 고정 밴드가 구비되어야 하는 등 많은 부품이 소요되고 작업이 복잡 번거로운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클립의 표면 중앙에 와이어 링을 삽지시킬 수 있는 홀딩편을 일체로 구성시켜 별도의 와이어 링클립의 사용을 배제 시킴으로써, 작업 공정의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가능토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쉬 판넬(P)에 부착된 대쉬트림(T)에 클립 끼움공(H)을 형성 시킨뒤 이에 스터드 볼트(SB)를 고정시켜 클립(1)중앙의 삽지공(2)이 끼워지도록 하는 공지 구조에 있어서, 삽지홈(3')을 갖는 홀딩편(3)을 상기 클립(1)의 표면 중앙에 일체로 연결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W)는 와이어 링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와 같이 설치되는 본고안은 스터드 볼트(SB)에 클립(1)의 삽지공(2)이 억지로 끼워지도록 견고하게 삽지시켜 대쉬트림(T)을 대쉬 판넬(P)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며,와이어링(W)은 클립(1)에 일체로 형성된 홀딩편(3)의 삽지홈(3')에 끼워져 지지되게 하는 것으로, 이와같은 본고안은 대쉬트림(T)의 고정과 와이어링(W)의 고정을 하나의 부품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와이어링(W)을 위한 클립을 구비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클립의 소요 갯수와 작업 공정이 반으로 절감될 수 있으므로 시간과 인력의 소모를 줄여 제조 원가 절감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대쉬 판넬(P)에 부착된 대쉬트림(T)에 클립 끼움공(H)을 형성시킨뒤 이에 스터드 볼트(SB)를 고정시켜 클립(1)중앙의 삽지공(2)이 끼워지도록 하는 공지 구조에 있어서, 삽지홈(3')을 갖는 홀딩편(3)을 상기 클립(1)의 표면 중앙에 일체로 연결 형성 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홀딩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대쉬 트림 고정클림.
KR2019950045608U 1995-12-22 1995-12-22 와이어링 홀딩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대쉬 트림 고정클립 KR200148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608U KR200148342Y1 (ko) 1995-12-22 1995-12-22 와이어링 홀딩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대쉬 트림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608U KR200148342Y1 (ko) 1995-12-22 1995-12-22 와이어링 홀딩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대쉬 트림 고정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863U KR970034863U (ko) 1997-07-26
KR200148342Y1 true KR200148342Y1 (ko) 1999-06-15

Family

ID=1943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5608U KR200148342Y1 (ko) 1995-12-22 1995-12-22 와이어링 홀딩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대쉬 트림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3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863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27976A (en) Mounting structure of a plastic sheet for a vehicular exterior component
KR200148342Y1 (ko) 와이어링 홀딩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대쉬 트림 고정클립
JPS6328043Y2 (ko)
KR0130474Y1 (ko) 자동차용 와이어 고정클립
JPH046357Y2 (ko)
KR200178355Y1 (ko) 마운팅 부 너트 고정장치
KR0131617Y1 (ko) 클립
KR0132603Y1 (ko) 뒷좌석 시트 등받이용 지지부재
KR0114537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베젤 설치구조
JPH027087Y2 (ko)
JPH032425Y2 (ko)
KR100252280B1 (ko) 자동차용 유리 몰딩
KR200154660Y1 (ko) 자동차용 전선 홀더
JPS6212685Y2 (ko)
KR0133256Y1 (ko) 자동차의 승객용 에어백 장착구조
KR19980020462A (ko) 차량의 라이센스램프의 취부구조
KR200150777Y1 (ko) 자동차용 와이어링 클립
KR200149574Y1 (ko) 자동차의 쿼터가니시 장착구조
KR200149307Y1 (ko)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체결구조
KR0131782Y1 (ko)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 고정클립
KR200158449Y1 (ko) 자동차의 필러 트림 고정구조
KR200148343Y1 (ko) 자동차용 와이어 고정클립구조
KR19990035658A (ko) 자동차 도어 트림 체결용 클립
KR200148457Y1 (ko) 자동차의 트림 블랭킹 커버
KR19980029239U (ko)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