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338Y1 -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338Y1
KR200148338Y1 KR2019950016924U KR19950016924U KR200148338Y1 KR 200148338 Y1 KR200148338 Y1 KR 200148338Y1 KR 2019950016924 U KR2019950016924 U KR 2019950016924U KR 19950016924 U KR19950016924 U KR 19950016924U KR 200148338 Y1 KR200148338 Y1 KR 200148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ox
fuse
lead
opening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6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275U (ko
Inventor
장석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16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338Y1/ko
Publication of KR970005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2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3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즈박스(fuse box)를 휴즈박스용 리드가 개폐 본 고안은 대형트럭의 먼트판넬(instrument panel)에 내장하여 휴즈 및 릴레이의 불량시 간단하게 리드를 열어서 교체 및 수리작업을 수행하여 휴즈박스의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트럭의 인스트루먼트판넬(10)의 전방에 개구부(11)를 통해 휴즈박스설치 공간부를 형성하여 그 공간부에 휴즈박스(20)를 부착하고, 개구부(11)의 내측 상부에는 힌지브라켓트(12)를 고정하며, 상기 개구부(11)에는 힌지브라켓트(1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핀(31)으로 연결되는 힌지(32)가 구비된 휴즈박스용 리드(30)를 개페가능하게 설치하고, 개구부(11)와 휴즈박스용 리드(30)상에는 상호 자력으로 부착되는 마그넷(13)과 스틸(33)을 각각 설치하며, 휴즈박스용 리드(30)의 전방하단에는 손가락홈(34)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
제1도는 종래 휴즈박스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트럭의 측면도.
제2도는 종래 휴즈박스커버용 로워판넬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스트루먼트판넬 11 : 개구부
12 : 힌지브라켓트 13 : 마그넷
20 : 휴즈박스 30 : 휴즈박스용 리드
31 : 힌지핀 32 : 힌지
33 : 스틸 34 : 손가락홈
본 고안은 대형트럭의 휴즈박스(fuse box)에 관한 것으로, 휴즈 및 릴 레이(relay)가 내장된 휴즈박스를 휴즈박스용 리드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인스트루먼트판넬(instrument panel)에 내장하여 휴즈 및 릴레이의 불량시 간단하게 리드를 열어서 교체 및 수리작업을 수행하여 휴즈박스의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즈 박스(1)를 트럭(T)의 인스트루먼트판넬(2)의 하단에 위치하는 로워판넬(3)에 내장하여 설치하였으며, 이때 로워판넬(3)에는 다수개의 볼트공(4)이 형성되어 볼트 또는 나사등에 의해 인스트루먼트판넬(3)에 고정된다.
따라서, 휴즈 또는 릴레이의 불량시 교체 및 수리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로워판넬(3)의 볼트공(4)체결된 나사등을 일일이 제거하여 로워판넬(3)을 인스트루먼트판넬(2)에서 먼저 해체시킨후에 휴즈박스(1)를 정비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으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이로 인하여 휴즈박스(1)의 정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휴즈 및 릴레이가 내장된 휴즈박스를 휴즈박스용 리드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인스트루먼트판넬에 내장하여 휴즈 및 릴레이의 불량시 간단하게 리드를 열어서 교체 및 수리작업을 수행하여 휴즈박스의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스트루먼트판넬에 전방으로 개구된 휴즈박스공간부를 형성하여 그 휴즈박스공간부에 휴즈박스를 부착하되, 공간부의 전방으로 개구된 개구부에는 휴즈박스용 리드를 지로 개폐가능하게 부착하여 휴즈박스의 정비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럭의 인스트루먼트판넬(10)의 전방에 개구부(11)를 통해 휴즈박스설치 공간부를 형성하여 그 공간부에 휴즈박스(20)를 부착하고, 개구부(11)의 내측 상부에는 힌지브라켓트(12)를 고정하며, 상기 개구부(11)에는 힌지브라켓트(1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핀(31)으로 연결되는 힌지(32)가 구비된 휴즈박스용 리드(30)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고, 개구부(11)와 휴즈박스용 리드(30)상에는 상호 자력으로 부착되는 마그넷(13)과 스틸(33)을 각각 설치하며, 휴즈 박스용 리드(30)의 전방하단에는 손가락홈(34)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휴즈박스(20)에 내장된 휴즈 및 릴레이의 불량시에는 간단하게 휴즈박스용 리드(30)의 손가락홈(34)을 통해 제3도의 가상선과 같이 휴즈박스용 리드(30)를 열고 인스트루먼트판넬(10)의 개구부(11)를 통해 휴즈교체 및 수리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손가락홈(34)에 손을 넣고 상부로 휴즈박스용 리드(30)를 위로 당기면 마그넷(13)에 자력으로 붙어 있던 스틸(33)이 당기는 힘에 의해 떨어지면서 휴즈박스용 리드(30)가 열린다.
한편, 교체 및 수리가 완료되면 열려진 휴즈박스용 리드(30)를 원상태로 닫으면 다시 마그넷(13)에 스틸(33)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휴즈박스용 리드(30)가 개구부(11)에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휴즈 및 릴레이가 내장된 휴즈박스를 휴즈박스용 리드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인스트루먼트판넬에 내장하여 휴즈 및 릴레이의 불량시 간단하게 리드를 열어서 교체 및 수리 작업을 수행하여 휴즈박스의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트럭의 인스트루먼트판넬(10)의 전방에 개구부(11)를 통해 휴즈박스설치 공간부를 형성하여 그 공간부에 휴즈박스(20)를 부착하고, 개구부(11)의 내측 상부에는 힌지브라켓트(12)를 고정하며, 상기 개구부(11)에는 힌지브라켓트(1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핀(31)으로 연결되는 힌지(32)가 구비된 휴즈박스용 리드(30)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고, 개구부(11)와 휴즈박스용 리드(30)상에는 상호 자력으로 부착되는 마그넷(13)과 스틸(33)을 각각 설치하며, 휴즈박스용 리드(30)의 전방하단에는 손가락홈(34)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
KR2019950016924U 1995-07-10 1995-07-10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 KR200148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924U KR200148338Y1 (ko) 1995-07-10 1995-07-10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924U KR200148338Y1 (ko) 1995-07-10 1995-07-10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275U KR970005275U (ko) 1997-02-19
KR200148338Y1 true KR200148338Y1 (ko) 1999-06-15

Family

ID=1941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6924U KR200148338Y1 (ko) 1995-07-10 1995-07-10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3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109B1 (ko) * 2002-07-19 2004-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플랩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275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8338Y1 (ko) 트럭의 휴즈박스용 리드 개폐구조
IL123395A (en) Cabinet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KR100251975B1 (ko) 선반힌지결합구조
KR0124746Y1 (ko) 옥외배전반의 도어구조
KR100472845B1 (ko) 파친코기
KR960015984B1 (ko) 세탁기 도어 힌지구조
KR19990000931A (ko) 도어 개폐 장치
KR200148946Y1 (ko) 세탁기용 후면 패널의 구조
KR0136893Y1 (ko) 버스의 메인텐스 도어용 스테이 브래킷의 고정 구조
JPH09273359A (ja) 両扉同時開閉可能な観音開き扉
KR20040051399A (ko) 글로브박스의 체결구조
KR200145886Y1 (ko) 버스용 엔진룸의 일체형 도어
KR19980058903U (ko) 차량용 도어 핸들구조
JPH11340645A (ja) ラッチ取り付け構造
KR200146728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힌지구조
KR0128111Y1 (ko) 사이드 도어힌지구조
JPH0722478Y2 (ja) 門扉錠
KR100307142B1 (ko) 트렁크리드의토숀바
KR19980045146U (ko) 버스용 엔진 플랩 도어구조
KR100380336B1 (ko) 테일게이트용 아웃사이드 핸들
JPH0678420A (ja) 配電盤の照明装置
JPH0737481A (ja) 回路しゃ断器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KR970025065A (ko) 도어 개폐형 텔레비젼
KR19980063221A (ko) 선반 힌지 구조
KR19980055324U (ko) 양방향 여닫이 냉장고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