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459Y1 - 자동차의 안개등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개등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459Y1
KR200146459Y1 KR2019960046215U KR19960046215U KR200146459Y1 KR 200146459 Y1 KR200146459 Y1 KR 200146459Y1 KR 2019960046215 U KR2019960046215 U KR 2019960046215U KR 19960046215 U KR19960046215 U KR 19960046215U KR 200146459 Y1 KR200146459 Y1 KR 200146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water
dust cover
fog ligh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308U (ko
Inventor
권태석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60046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45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3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3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4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행노면에 안개가 끼거나 눈, 비가 내릴 때 등 전조등(Head Light)만으로는 조명효과가 나쁜 경우에 사용하는 자동차 안개등(Fog Lamp)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 구조는 별다른 방수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우천시나 자동차 세척시에 하우징(10)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나 안개등(3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어 안개등(30)내부의 금속부품을 부식시킴으로써 안개등(30)의 수명을 저하시키게 되거나 합선 등 전기회로의 이상을 초래하게 되는 일이 빈번하였던 바, 안개등(30)의 결합원통부(31)가 삽입되는 설치공(11)의 외측둘레에 돌출플랜지(12)를 형성하고, 돌출플랜지(12)의 상부에 수벽(13)을 형성하는 한편, 먼지커버(32)의 외주중앙에 단턱(33)과 평면상의 누름면(3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우천시나 자동차를 세척할 때에 하우징(10)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나 세척수가 수벽(13)과 돌출 플랜지(12)에 의해 차단되어 안개등(30)쪽으로 접근할 수 없게 되므로 안개등(30)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게 되고 결합원통부(31)에 먼지커버(32)를 조립할 때에 누름면(34)을 누르면서 먼지커버(32)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안개등 취부구조
본 고안은 주행노면에 안개가 끼거나 눈, 비가 내릴 때 등 전조등(Head Light)만으로는 조명효과가 나쁜 경우에 사용하는 자동차 안개등(Fog Lamp)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하우징(Housing)을 통해 안개등 내부로 빗물이나 세척수 등의 물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무재인 먼지커버(Dust Cover)의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조등을 통해 충분한 조명효과를 얻기 어려울 때에 전조등과 같이 주행노면을 조명함으로써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안개등은 전조등과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제1도와 같이 전조등(20)의 일측에 함께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본 고안은 제1도와 같이 동일한 하우징(10)에 전조등(20)과 함께 설치되는 안개등(30)에 관계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안개등의 취부구조는 제2도와 같이 하우징(10)의 설치공(11)에 안개등(30)의 후단에 마련되는 결합원통부(31)를 삽입하고, 결합원통부(31)에 고무재질의 먼지커버(32')를 설치하는 것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제2도의 종래구조에 있어서는 별다른 방수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우천시나 자동차 세척시에 하우징(10)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나 안개등(3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어 안개등(30) 내부의 금속부품을 부식시킴으로써 안개등(30)의 수명을 저하시키게 되거나 합선 등 전기회로의 이상을 초래하게 되는 일이 번번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구조에 있어서는 안개등(30)의 결합돌출부(31)에 고무재인 먼지커버(31)를 조립하기가 어려워 그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하우징에 조립되는 안개등의 내부로 물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개등 내부부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안개등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에 투입되는 안개등의 결합돌출부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안개등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커버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안개등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이 관계하는 안개등의 장착상태도.
제2도는 종래구조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설치공
12 : 돌출플랜지 13 : 수벽
20 : 전조등 30 : 안개등
31 : 결합원통부 32 : 먼지커버
33 : 단턱 34 : 누름면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개등이 결합되는 하우징의 설치공에 돌출플랜지를 마련하고, 그 상부에 수벽을 마련하는 동시에 먼지커버의 외주에 단턱과 누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제3도와 같이 하우징(10)의 일측에 전조등(20)이 설치되고, 하우징(10)의 타측 설치공(11)에 먼지커버(32)가 결합되는 결합원통부(31)가 삽입되는 안개등(30)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안개등(30)의 결합원통부(31)가 삽입되는 설치공(11)의 외측둘레에 돌출 플랜지(12)를 형성하고, 돌출 플랜지(12)의 상부에 수벽(13)을 형성하는 한편, 먼지커버(32)의 외주 중앙에 단턱(33)과 평면상의 누름면(34)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35는 밸브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우천시나 자동차를 세척할 때에 하우징(10)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나 세척수가 수벽(13)과 돌출플랜지(12)에 의해 차단되어 안개등(30)쪽으로 접근할 수 없게 되므로 안개등(30)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결합원통부(31)에 먼지커버(32)를 조립할 때에 누름면(34)을 누르면서 먼지커버(32)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안개등(30)의 내부로 물이 진입하여 내부부품을 부식시키거나 합선 등 전기적 이상을 초래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안개등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안개등(30)의 결합원통부(31)에 먼지커버(32)를 용이하게 조립할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개선하고, 사후 정비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하우징(10)의 일측에 전조등(20)이 설치되고, 하우징(10)의 타측 설치공(11)에 먼지커버(32)가 결합되는 결합원봉투(31)가 삽입되는 안개등(30)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안개등(30)의 결합원통부(31)가 삽입되는 설치공(11)의 외측둘레에 돌출플랜지(12)를 형성하고, 돌출플랜지(12)의 상부에 수벽(13)을 형성하는 한편, 먼지커버(32)의 외주 중앙에 단턱(33)과 평면상의 누름면(3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개등 취부구조.
KR2019960046215U 1996-12-07 1996-12-07 자동차의 안개등 취부구조 KR200146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215U KR200146459Y1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의 안개등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215U KR200146459Y1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의 안개등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308U KR19980033308U (ko) 1998-09-05
KR200146459Y1 true KR200146459Y1 (ko) 1999-06-15

Family

ID=1947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215U KR200146459Y1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의 안개등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4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308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6459Y1 (ko) 자동차의 안개등 취부구조
KR200337373Y1 (ko) 차량의 안개등 커넥터
KR100221266B1 (ko) 자동차의포그램프의취부방법
KR100410884B1 (ko) 자동차용 실드 및 베젤 일체형 헤드램프 구조
KR960009004Y1 (ko) 자동차의 후미등(Tail Lamp) 장착구조
KR0129685Y1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방습구조
KR20000007174U (ko) 자동차램프용 벌브소켓.
KR200298861Y1 (ko) 안개등 점등 릴레이
KR0125706Y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의 후드
KR200156443Y1 (ko) 자동차용 번호판램프 부착장치
KR200240265Y1 (ko) 자동차 램프의 콘넥터 일체형 더스트카바
KR19980029245U (ko) 차량용 리어컴비네이션 램프의 취부구조
KR19980045207U (ko)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KR200337372Y1 (ko) 차량의 사이드램프용 커넥터
JPH10203233A (ja) 車両用ランプの取付構造
KR100320535B1 (ko) 헤드 램프 구조
KR200151624Y1 (ko) 램프하우징의 물유입방지 구조
KR0124365Y1 (ko)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
KR0125726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백 커버 구조
KR200156444Y1 (ko) 자동차용 번호판 램프구조
KR970006465Y1 (ko) 자동차용 안개등의 커넥터 고정구조
JPH0115042Y2 (ko)
KR970002657Y1 (ko) 자동차용 안개등 구조
KR100407265B1 (ko) 차량의 전조등
KR200184764Y1 (ko) 램프용 컨넥터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