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023Y1 -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 - Google Patents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023Y1
KR200146023Y1 KR2019960035995U KR19960035995U KR200146023Y1 KR 200146023 Y1 KR200146023 Y1 KR 200146023Y1 KR 2019960035995 U KR2019960035995 U KR 2019960035995U KR 19960035995 U KR19960035995 U KR 19960035995U KR 200146023 Y1 KR200146023 Y1 KR 200146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auxiliary
pan
auxiliary lid
frying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633U (ko
Inventor
주지영
Original Assignee
주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영 filed Critical 주지영
Priority to KR2019960035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023Y1/ko
Publication of KR19980022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뚜껑상부면에 보조뚜껑을 구비한 후라이팬(FRY PAN)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조리기구인 후라이팬을 이용하여 냉동식품. 어류 및 만두와 같은 분식류 등을 조리할 때 조리물의 겉부분이 타거나, 물러지거나, 또는 딱딱해 지지않고 내부 속살까지 골고루 잘 익혀지도록 조리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크게 개선된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뚜껑상에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하부 포지션 센터를 상부면에 갖추고, 그 사이에 일정크기의 관통구멍을 갖추며,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에 거름망을 장착한 투입구를 갖추어 상기 팬의 상부둘레를 덮는 뚜껑부; 상기 하부 포지션센터와 일치하는 상부 포지션센터를 갖추고, 상기 관통구멍으로 끼워지는 축부재를 하부면에 장착한 보조뚜껑을 갖추며, 그 상부면에 보조손잡이를 갖추는 한편, 상기 보조뚜껑의 개페작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축부재에 끼워진 가이드링과 스냅링으로 고정된 와셔사이에 일정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를 갖추어 상기 투입구를 개페할수 있는 보조뚜껑부;를 포함하는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
본 고안은 뚜껑상부면에 보조뚜껑을 구비한 후라이팬(FRY PAN)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조리기구인 후라이팬을 이용하여 냉동식품, 어류 및 만두와 같은 분식류 등을 조리를 할 때 조리물의 타거나, 물러지거나, 또는 딱딱해 지지않고 내부 속살까지 골고루 잘 익혀지도록 조리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크게 개선된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후라이팬(100)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금속재료로 이루어진 팬(PAN)(101)의 상부둘레를 덮는 뚜껑(102)을 갖추며, 상기 뚜껑(102)의 상부면에는 조리시 취급의 용이하도록 뚜껑손잡이(103)를 갖추는 한편, 상기 팬부(101)의 일측에는 달구어진 팬(101)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04)를 갖추어 구성하는 바, 이러한 상기 뚜껑(102)은 유리재질, 스테인레스류와 같은 금속재질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그 크기도 덮여지는 상기 팬(101)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뚜껑(102)의 사용용도는 모두가 동일한 것이다.
즉, 상기 뚜껑(102)은 가열된 팬(101)내의 조리물을 빠르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익힐 수 있도록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고,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상기 팬(101)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덮여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뚜껑(102)의 형상은 상기 팬(101)의 상부둘레 크기에 맞추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취하는 한편, 상기 뚜껑(102)의 상부면 중앙에 부착된 뚜껑손잡이(103)는 열전도가 낮은 플라스틱재료나 나무재료 또는 섬유재료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리고, 근간에는 상기 후라이팬(100)에 내부압력차에 의해 작동되는 수증기배출장치(미도시)를 부착한 것도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후라이팬(100)을 이용하여 냉동보관되어 있던 만두류와 같은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 상기 후라이팬(100)의 팬(101)에 기름만 붓고 굽게 되면 겉은 타고 속살은 설익은 조리가 되는 경우가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물의 겉은 노릇노릇하게 잘 구울수 있고, 내부 속살도 잘 익힐 수 있으며, 조리물 전체가 촉촉하고 부드럽게 구워지면서 상기 팬(101)의 바닥면에 눌러붙지 않도록 상기 팬(101)에 적당량의 기름을 알맞게 부어야 한다. 이어서, 첨가된 기름을 달구면서 조리물을 넣으면, 하얀 밀가루색깔이던 조리물이 약간 노른빛이 될 정도로 조리할 때, 전체적으로 조리물을 한 번 뒤집은 다음,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두류와 같은 조리물은 팬(101)를 덮고 있던 뚜껑(102)을 조금만 열어놓은 상태에서 조리물의 양에 따라 물을 적당히 넣어야만 바람직한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높은 온도로 가열된 상기 팬(101)내에 물을 넣을 때, 가열된 기름과 물이 서로 섞으면서 외부로 심하게 튀기 때문에 대단히 위험하며 그 정도가 심할 경우는 조리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바, 물을 팬(101)에 부어야 되는 경우, 조리자는 후라이 팬(100)의 뚜껑(102)을 조금만 열은상태에서 뜨거움을 참으면서 용기(105)에 담긴 물을 신속히 넣은 다음, 상기 뚜껑(102)을 닫아야만 한다.
그리고, 조리물의 양이 많을 경우는 수회에 걸쳐 물 보충을 해야하기 때문에, 상기 뚜껑(102) 조절을 잘못하거나 뚜껑(102)의 없이 상기 팬(101)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실수로 물을 팬(101)내로 붓게 되면, 외부로 물이 튈 때 기름도 같이 튀게 되므로 더 큰 화상을 입을 수 있고, 상태예측이 불가하여 화재발생의 우려도 있다. 또한 종래의 후라이팬(100)을 이용하여 냉동고기류를 조리하는 경우, 뚜껑(102)을 닫은 상태에서 냉동고기류를 조리하게 되면, 그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상기 뚜껑(102)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수분이 조리하는 고기조리물내로 그대로 모두 흡수됨에 따라 겉은 노릿노릿 잘 굽힌 것 같아도 내부 속살은 흡수된 수분에 의해서 물러질 수 있고, 상기 팬(101)내에서 조리를 하는 중에도 힘없이 부서지기도 하고 후라이팬(100)에서 외부로 고기조리물을 꺼내다 보면 살결이 맥없이 줄줄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라이팬(100)의 뚜껑(102)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조리를 계속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뚜껑(102)을 어느 정도 열어놓은 상태에서 조리를 하는 경우, 달구어진 팬(101)의 열이 외부로 발산되기 쉽고, 상기 팬(101)의 바닥면과 조리물의 윗부분과의 온도차가 많이 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조리물이 고르게 익지 않는다든가 조리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조리물의 설익은 부위를 익히기 위해서 굴려가면서 조리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팬(101)를 덮는 뚜껑(102)을 개방한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팬(101) 내부의 기름이 외부로 튀어 후라이팬(100) 주변이 매우 지저분해 지고, 많은 양의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 그 정도가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팬 상부둘레를 덮은상태에서 팬내로 첨가물을 첨가할 경우와 첨가물을 제거할 경우에 이에 맞추어 완전개방 및 부분개방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뚜껑을 장착한 후라이팬을 이용하여 조리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냉동어류나 분식류와 같은 조리물을 후라이팬에서 조리 할 때는 팬의 상부둘레를 뚜껑으로 닫아놓은 상태에서 조리에 필요한 첨가물을 보조뚜껑의 개방을 통해 넣을 수 있어 후라이팬 외부로 물과 기름이 튀길 염려가 없을 뿐만아니라, 조리물을 조리할때는 팬내의 수분을 조리에 알맞게 조절하면서 배출하도록 보조뚜껑만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완벽한 조리가 가능함으로써, 조리자가 화상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없이 안전하고, 조리시간의 지연없이 신속하게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을 제공한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라이팬을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라이팬의 뚜껑을 조리중 개방하는 작업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을 도시한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을 도시한 상세도로서,
(a)도는 보조뚜껑이 뚜껑의 투입구를 밀봉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세도.
(b)도는 보조뚜껑이 뚜껑의 투입구를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세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을 도시한 평면도로써,
(a)도는 보조뚜껑이 뚜껑의 투입구를 밀봉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b)도는 보조뚜껑이 뚜껑의 투입구를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을 구성하는 상,하부포지션센터를 프레스가공하는 작업상태도로서,
(a)도는 보조뚜껑과 뚜껑을 프레스가공하는 작업상태도.
(b)도는 프레스가공전의 뚜껑을 도시한 평면도.
(c)도는 프레스가공전의 보전뚜껑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라이팬(fry pan) 10 : 뚜껑부
11 : 뚜껑 12 : 하부 포지션센터(position center)
13 : 관통구멍 14 : 거름망
15 : 돌출부 16 : 투입구
20 : 보조뚜껑부 21 : 보조뚜껑
22 : 상부 포지션센터 23 : 축부재
24 : 가이드링 27 : 스프링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손잡이가 달린 팬을 이용하여 조리물에 대한 조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후라이팬에 있어서, 뚜껑상에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하부 포지션 센터를 상부면에 갖추고, 그 사이에 일정크기의 관통구멍을 갖추며,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에 거름망을 장착한 투입구를 갖추어 상기 팬의 상부둘레를 덮는 뚜껑부; 상기 하부 포지션센터와 일치하는 상부 포지션센터를 갖추고, 상기 관통구멍으로 끼워지는 축부재를 하부면에 장착한 보조뚜껑을 갖추며, 그 상부면에 보조손잡이를 갖추는 한편, 상기 보조뚜껑의 개폐작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축부재에 끼워진 가이드링과 스냅링으로 고정된 와셔사이에 일정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를 갖추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보조뚜껑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뚜껑을 갖는 후라이팬(1)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1a) 의 상부둘레를 덮는 뚜껑(11)의 일측 상부면 가장자리 즉, 뚜껑손잡이(1a)에 간섭이 되지않고 뚜껑(11) 끝단(11c)에 이탈되지 않는 중간쯤 적당한 곳에 장착된 보조뚜껑(21)의 보조손잡이(21a)가 상기 뚜껑(11)의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시 필요한 조리용도에 맞추어 팬(1a)내로 첨가물을 첨가시킬 때와 제거시킬 때 또는 종래 조리방법 그대로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뚜껑(21)을 개폐조작할 수 있는 조리용 기구인 바, 이러한 후라이팬(1)은 뚜껑부(10) 및 보조뚜껑부(20)를 갖추어 구성된다.
즉, 조리가 이루어지는 팬(1a)의 상부둘레를 덮는 뚜껑부(10)는 제4(a),(b)에 도시한 바와같이, 뚜껑(11)의 상부면 일측에 갖추어지고,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하부 포지션 센터(position center)(12)을 갖추고, 그 사이에는 일정크기의 관통구멍(13)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뚜껑(11)의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거름구멍(14a)을 형성한 거름망(14)을 하부면에 용접하여 장착한 일정크기의 투입구(16)를 형성한다. 그리고, 개방된 투입구(16)를 통해 상기 거름망(14)의 위쪽으로 부터 조리에 필요한 만큼의 첨가물을 보충할 때, 상기 거름망(14)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5)를 갖춤으로써, 투입된 첨가물을 다수개의 거름구멍(14a)을 통해 원활하게 하방으로 분산낙하시킴과 동시에, 첨가물에 포함된 이물질도 동시에 거를수 있는 바, 조리자가 조리물에 대하여 이물질의 혼입없이 청결한 조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리방법에 따라 상기 투입구(16)를 개폐할 수 있는 보조뚜껑부(20)는 상기 하부 포지션센터(12)와 일치하는 상부 포지션센터(22)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13)에 끼워지는 축부재(23)를 하부면에 용접 고정한 보조뚜껑(21)을 갖추며, 그 상부면에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보조손잡이(21a)를 갖추는 한편, 상기 투입구(16)의 개폐를 위한 보조뚜껑(21)의 선회작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축부재(23)에 끼워진 가이드링(24)과 스냅링(25)으로 고정된 와셔(26)사이에는 일정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27)를 갖추어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뚜껑을 갖는 후라이팬(1)은 팬(1a)을 덮는 뚜껑(11)을 전체적으로 개방하지 않고, 닫은 상태에서 상기 뚜껑(11)에 장착된 보조뚜껑(21)을 부분적으로 선택개방함으로써, 조리자가 후라이팬(1)의 조리조건을 조리에 적합하도록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조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이러한 후라이팬(1)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뚜껑(11)의 하부 포지션센터(12)와 보조뚜껑(21)의 상부 포지션센터(22)가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일치하여 결합되어 있을때는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1a)의 상부둘레를 뚜껑(11)으로 닫은 상태에서 투입구(16)를 보조뚜껑(21)으로 밀봉한 상태인바, 이러한 경우, 조리시 달구어진 팬(1a)으로 부터 물이나 기름등이 외부로 튀는 것을 불안해 하거나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어 조리자가 안전한 조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어류나 분식류와 같은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기 팬(1a)내부로 물과 같은 첨가물을 투입하거나, 거름망(14)에 의해서 걸러진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어류 조리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혀있는 보조뚜껑(21)의 보조손잡이(21a)를 잡고서 좌측 또는 우측이든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보조뚜껑(21)을 선회시킴으로써,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1)에 형성된 하부 포지션센터(12)위로 보조뚜껑(21)이 울려지면서 투입구(16)를 부분 또는 완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닫혀있던 보조뚜껑(21)을 좌측 또는 추측 어느한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보조손잡이(21a)를 돌리면, 상기 뚜껑(11)의 하부 포지션센터(12)와 보조뚜껑(21)의 상부 포지션센터(22)가 스프링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해 잠겨져 있던 상태에서 서로 이완되면서 일정간격(H)만큼 상기 보조뚜껑(21)이 상승되기 때문에, 상기 보조손잡이(21a)를 좌우로 돌릴 때 보조뚜껑(21)은 상기 뚜껑(11)에 간섭되지 않고 부드럽게 선회하면서 뚜껑(11)의 투입구(16)를 원하는 만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개방된 상기 투입구(16)를 통해 팬(1a) 내로 첨가물을 투입하거나, 불순물을 외부로 제거한 후에는 상기 뚜껑(11)의 투입구(16)를 밀봉해야 하는 바, 이러한 경우 수축된 상기 스프링(27)은 돌출된 상기 하부포지션센터(12)에 의해서 상승된 보조뚜껑(21)의 일정간격(H)만큼 비례하는 일정 탄성복원을 갖춘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상, 하부 포지션 센터(12),(22)가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축부재(23)를 회전축으로 보조뚜껑(21)을 선회시켜 원위치시키면, 상기 스피링부재(27)의 탄성복원력에 위해서 상기 보조뚜껑(21)과 뚜껑(11)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면서 투입구(16)를 밀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뚜껑(21)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뚜껑(21)의 일단부(21b)가 접해지는 상기 뚜껑(11)의 절곡부(11b)는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뚜껑(21)의 원활한 밀폐작동을 위해서는 제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뚜껑(21)의 상부 포지션센터(22)와 뚜껑(11)의 하부포지션센터(11)는 동시에 프레스가공해야 하는 바, 이러한 프레스가공은 프레스다이(200) 위에 평면형상으로 가공된 제6(b),(c)도의 뚜껑(11)과 보조뚜껑(21)을 정확히 좌우간격을 맞추어 서로 겹쳐 고정시킨 후에, 위치조정 완료된 2개의 펀치(210)을 정확히 좌우간격을 맞추어 서로 겹쳐 고정시킨 후에, 위치조정 완료된 2개의 펀치(210)를 동시에 하강시킴으로써, 일정깊이 함물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상, 하부 포지션센터(12),(22)를 동시에 프레스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1)에 의하면, 조리작업중 조리자가 물 또는 기타 첨가물을 필요에 따라 첨가시키거나 또는 후라이팬(1)내부의 필요없는 부산물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 팬(1a)을 덮고 있는 뚜껑(11)전체를 개방할 필요없이 닫혀진 상태에서 보조뚜껑(21)의 보조손잡이(21a)를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한 방향으로 부드럽게 선회시켜 뚜껑(11)의 투입구(16)를 완전개방 또는 부분 개방함으로써, 조리자의 임의대로 후라이팬(1)의 조리조건을 편리하게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뚜껑(11)을 항상 닫은 상태에서 조리작업이 가능하여 팬(1a)내부로 부터 물 또는 기름등이 외부로 튀어 조리자가 화상을 입거나,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종래 후라이팬(100)의 뚜껑(102)을 개방해 놓고 조리할 때 보다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조리작업하는 주변환경을 더럽히지 않고 청결한 조리작업이 가능한 실용상의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3)

  1. 손잡이(104)가 달린 팬(1a)을 이용하여 조리물에 대한 조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후라이팬에 있어서, 뚜껑(11)상에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하부 포지션 센터(12)를 상부면에 갖추고, 그 사이에 일정크기의 관통구멍(13)을 갖추며, 상기 관통구멍(13)의 일측에 거름망(14)을 장착한 투입구(16)를 갖추어 상기 팬(1a)의 상부둘레를 덮는 뚜껑부(10); 상기 하부 포지션센터(12)와 일치하는 상부 포지션센터(22)를 갖추고, 상기 관통구멍(13)으로 끼워지는 축부재(23)를 하부면에 장창한 보조뚜껑(21)을 갖추며, 그 상부면에 보조손잡이(21a)를 갖추는 한편, 상기 보조뚜껑(21)의 개폐작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축부재(23)에 끼워진 가이드링(24)과 스냅링(25)으로 고정된 와셔(26)사이에 일정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27)를 갖추어 상기 투입구(16)를 개폐할 수 있는 보조뚜껑부(2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14)은 투입된 첨가물이 다수개의 거름구멍(14a)을 통해 원활하게 하방으로 분산낙하되고, 첨가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부(15)를 중앙부에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링(27)은 돌출된 상기 하부포지션센터(12)에 의해서 상승된 보조뚜껑(21)의 일정간격(H)만큼 비례하는 일정 탄성복원력을 갖추어 상기 상, 하부 포지션센터(12),(22)가 서로 일치되어 복귀될 때, 상기 스프링부재(27)의 탄성복원력에 위해서 상기 보조뚜껑(21)과 뚜껑(11)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
KR2019960035995U 1996-10-29 1996-10-29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 KR200146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995U KR200146023Y1 (ko) 1996-10-29 1996-10-29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995U KR200146023Y1 (ko) 1996-10-29 1996-10-29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633U KR19980022633U (ko) 1998-07-25
KR200146023Y1 true KR200146023Y1 (ko) 1999-06-15

Family

ID=1947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995U KR200146023Y1 (ko) 1996-10-29 1996-10-29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0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378B1 (ko) * 2007-02-07 2009-10-19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용기의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378B1 (ko) * 2007-02-07 2009-10-19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용기의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633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4152C1 (ru) Крышка для сковороды
KR101945253B1 (ko) 솥뚜껑 겸용 고기불판
US4759342A (en) Cooking utensil
KR200146023Y1 (ko) 보조뚜껑을 갖춘 후라이팬
KR200171229Y1 (ko) 조리용 기름비산방지판
KR940007035Y1 (ko) 다목적 구이판을 구비한 전열조리용기
KR200166413Y1 (ko) 후라이 팬용 기름튀김 방지판의 구조
KR100479621B1 (ko) 기름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덮개
KR100433315B1 (ko) 조리기
KR200339232Y1 (ko) 고기 구이판
KR200281157Y1 (ko) 기름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덮개
KR200230568Y1 (ko) 돌구이판의 기름받이 구조
KR200352899Y1 (ko) 다용도 집열식 조리용기
KR100344180B1 (ko) 고기 조리판
KR200278015Y1 (ko) 구이판
KR20220002278U (ko) 다기능 팬 뚜껑
KR200167496Y1 (ko) 끓어넘침방지냄비
KR20230077460A (ko) 부분 개폐가 가능한 요리도구용 뚜껑
KR100330623B1 (ko) 가열식 남비뚜껑
KR200150209Y1 (ko) 후지로 형성된 후라이팬 뚜껑
JP2021135025A (ja) ロースター用被覆カバー
KR200150632Y1 (ko) 조리용 남비
KR200464419Y1 (ko) 프라이팬의 분리형 뚜껑
JP3025855U (ja) 改良された揚物用鍋
KR960014616B1 (ko) 기름 튀김 방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