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795Y1 - 클럭분주기를 이용한 동기화 회로 - Google Patents

클럭분주기를 이용한 동기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795Y1
KR200145795Y1 KR2019960062347U KR19960062347U KR200145795Y1 KR 200145795 Y1 KR200145795 Y1 KR 200145795Y1 KR 2019960062347 U KR2019960062347 U KR 2019960062347U KR 19960062347 U KR19960062347 U KR 19960062347U KR 200145795 Y1 KR200145795 Y1 KR 200145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input signal
clock
synchronization circuit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2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182U (ko
Inventor
김성곤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60062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795Y1/ko
Publication of KR199800491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1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7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2Synchronisation of different clock signals provided by a plurality of clock gener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3/00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 H03K23/40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all stages, i.e. synchronous counters
    • H03K23/50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all stages, i.e. synchronous counters using bi-stable regenerative trigger circuits
    • H03K23/54Ring counters, i.e. feedback shift register cou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스템 외부로 부터의 비동기입력신호를 시스템 내부의 동기가 필요한 블록에 사용하여야 할 경우, 시스템 내부에서 기인한 신호 지연에도 오류를 일으키지 않고 원하는 동기화된 입력신호를 얻을 수 있는 동기화 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부로 부터의 비동기입력신호를 시스템에 구비된 내부 동기회로에 맞게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화 회로에 있어서, 외부 시스템 클럭을 소정의 분주비로 분주시키는 분주기; 다수의 플립플롭이 직렬 접속 구성되며, 상기 분주된 시스템 클럭을 동기클럭으로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동기입력신호를 동기화하는 제1플립플롭부; 및 클럭 스큐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플립플롭의 출력을 상기 시스템 클럭으로 동기시켜 출력하는 제2플립플롭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클럭분주기를 이용한 동기화 회로
시스템 외부에서 필요에 의해 시스템 내부로 입력되는 비동기 입력신호들이 시스템 내부의 동기회로에 입력으로 쓰일 경우, 시스템 클럭에 정확히 동기된 동기화된 입력신호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이때, 시스템 내부에서 기인한 신호 지연에도 오류를 일으키지 않고 원하는 동기화된 입력신호를 얻을 수 있는 클럭 분주기를 이용한 동기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외부에서 필요에 의해 시스템 내부로 입력되는 비동기입력신호들이 시스템 내부의 동기회로에 입력으로 쓰일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때 동기화 회로를 필요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동기화 회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비동기입력신호를 동기시스템의 입력으로 사용하기 위해 시스템 클럭에 동기화된 입력신호로 전환해 주도록, 플립플롭을 사용하고 있다.
전체 시스템이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동기된다고 할 때, 제1도의 노드 A에서 얻고자 하는 동기화된 입력신호에 관한 타이밍도가 제2도에 나타나 있다.
도면에서, clk는 시스템 클럭, DA는 플립플롭의 D단자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비동기입력신호, DB는 시스템 내부의 신호 지연에 의한 지연된 비동기입력신호, QA는 정상적인 비동기입력신호(DA)가 시스템 클럭에 동기되어 전환된 정상적인 동기화된 입력신호, QB는 지연된 비동기입력신호가 시스템 클럭에 동기되어 전환된 비정상적인 동기화된 입력신호를 말한다.
정상적으로 동기된 입력신호(QA)는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비동기입력신호가 1을 유지하고 있으면 1로 토글 되고(구간 P1), 다음 클럭 주기에서 0으로 인식되면 다시 0으로 토글하게 된다(구간 P2).
그러나, DB와 같이 신호가 지연된 경우, 실제적으로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에서 0이 유지되지 못하고 그전 값인 1이 나타남으로써 QA와 같이 0으로 토글되지 못하고 그전 값인 0을 계속 유지하는 QB가 생성된다(구간 P2).
이와 같이 될 경우, 시스템 외부로부터 인터럽트와 같은 비동기 입력신호에 의한 서비스 요구가 발생하더라도 시스템 내부에서 이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오동작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시스템 외부로 부터의 비동기입력신호를 시스템 내부의 동기가 필요한 블록에 사용하여야 할 경우, 시스템 내부에서 기인한 신호 지연에도 오류를 일으키지 않고 원하는 동기화된 입력신호를 얻을 수 있는 동기화 회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통상적인 동기화 회로.
제2도는 제1도의 동작 및 문제점을 나타내는 각 신호의 타이밍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2분주기 20,30,40 : 플립플롭
100 : 동기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로 부터의 비동기입력신호를 시스템에 구비된 내부 동기회로에 맞게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화 회로에 있어서, 외부 시스템 클럭을 소정의 분주비로 분주시키는 분주기; 다수의 플립플롭이 직렬 접속 구성되며, 상기 분주된 시스템 클럭을 동기클럭으로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동기입력신호를 동기화하는 제1플립플롭부; 및 클럭 스큐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플립플롭의 출력을 상기 시스템 클럭으로 동기시켜 출력하는 제2플립플롭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기본적인 요지는 시스템 클럭을 일정한 분주비로 분주시켜 이를 동기화 회로의 동기 클럭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시스템에서 대표적인 외부 비동기입력신호들인 인터럽트, 외부 메모리 사용 요구 신호 등은 동기회로 지연 시간에 비해 빠른 동작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비동기입력신호의 변화 허용 주기를 고려하여 1/2 분주기를 이용하고 이에 따라 같은 수의 플립플롭을 직렬로 연결하여, 최종 출력이 보다 안정된 동기화된 입력값을 가질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이러한, 회로 구성은 상대적으로 원하지 않는 글리치 신호에 취약할 수도 있으나 보다 신뢰성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회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시스템 클럭을 /12분주비로 분주시키는 1/2분주기(10)와, 분주된 시스템 클럭신호를 동기클럭으로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동기입력신호를 동기화하는 제1플립플롭(20)과, 상기 제1플립플롭(20)의 출력이 준안정 상태일 경우 완전히 동기화시키기 위해 상기 분주된 시스템 클럭신호를 동기클럭으로하여 상기 제1플립플롭(20)의 출력신호를 동기화하는 제2플림플롭(20)과, 클럭 스큐를 제거하기 위해 동기화가 끝난 상기 제2플립플롭(30)의 출력신호를 상기 외부 시스템 클럭으로 동기시켜 동기시스템(100)으로 출력하는 제3플립플롭(40)으로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동기화 회로에서, 비동기입력신호가 제1플립플롭(30)의 셋업 또는 홀드 타임 규격에 맞지 않을 경우, 제1플립플롭(30)의 출력 노드 A는 준안정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회로 클럭의 주기가 준안정 상태 시간과 다음단 제2플림플롭(30)의 셋업 시간의 합보다 충분히 길기 때문에 제2플립플롭(30)의 출력 노드 B는 동기화된 신호를 가지게 된다. 또한, 마지막 단의 제3플립플롭(40)이 원래의 시스템 클럭에 의해 동작되지 때문에 제3플립플롭(40)의 출력 노드 C에서는 클럭 스큐가 제거된 완전히 동기화된 입력신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시스템 외부로 부터의 비동기입력신호를 시스템 내부의 동기가 필요한 블록에 사용하여야 할 경우, 신호 지연 시간에 따른 오동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외부로 부터의 비동기입력신호를 시스템에 구비된 내부 동기회로에 맞게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화 회로에 있어서, 외부 시스템 클럭을 소정의 분주비로 분주시키는 분주기; 다수의 플립플롭이 직렬 접속 구성되며, 상기 분주된 시스템 클럭을 동기클럭으로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동기입력신호를 동기화하는 제1플립플롭부; 및 클럭 스큐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플립플롭의 출력을 상기 시스템 클럭으로 동기시켜 출력하는 제2플립플롭부를 구비하는 클럭분주기를 이용한 동기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기는 상기 비동기입력신호의 변화 허용 주기를 고려한 분주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분주기를 이용한 동기화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립플롭부는 상기 분주비에 따라 같은 수의 플립플롭이 직렬로 접속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분주기를 이용한 동기화 회로.
KR2019960062347U 1996-12-30 1996-12-30 클럭분주기를 이용한 동기화 회로 KR200145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347U KR200145795Y1 (ko) 1996-12-30 1996-12-30 클럭분주기를 이용한 동기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347U KR200145795Y1 (ko) 1996-12-30 1996-12-30 클럭분주기를 이용한 동기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182U KR19980049182U (ko) 1998-10-07
KR200145795Y1 true KR200145795Y1 (ko) 1999-06-15

Family

ID=1948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2347U KR200145795Y1 (ko) 1996-12-30 1996-12-30 클럭분주기를 이용한 동기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7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6696B2 (en) 2006-09-01 2010-08-31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harged by external power generator and supplying discharge power to external load in parallel to external power gen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110B1 (ko) * 1999-04-26 2006-06-28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클럭 동기화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6696B2 (en) 2006-09-01 2010-08-31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harged by external power generator and supplying discharge power to external load in parallel to external power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182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5392A (en) Circuit for the glitch-free changeover of digital signals
US7795921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reducing noise
US6535048B1 (en) Secure asynchronous clock multiplexer
KR20080101495A (ko) 클럭 스위칭 회로
US4823365A (en) Synchronization method and elastic buffer circuit
KR200145795Y1 (ko) 클럭분주기를 이용한 동기화 회로
US6249157B1 (en) Synchronous frequency dividing circuit
US5185537A (en) Gate efficient digital glitch filter for multiple input applications
KR100291126B1 (ko) 복수개의서브-회로및클럭신호재생회로를구비하는회로장치
JPH0779211A (ja) マルチプレクサのための制御回路
KR100187695B1 (ko) 검출 에러없이 입력신호의 에지를 검출하기 위한 에지 검출 회로
US7328229B2 (en) Clock divider with glitch free dynamic divide-by change
US7555083B2 (en) Synchronizing circuit for stably generating an output signal
KR100244430B1 (ko) 반도체 칩의 테스트 회로
KR100473384B1 (ko) 클럭 스위치 회로
JPH0282812A (ja) クロック切換方式
JPH01296734A (ja) クロック、データ信号の位相同期回路
KR0125588Y1 (ko) 카운터의 캐리 출력에 대한 글리치 방지 회로
KR20000042405A (ko) 동기 시스템의 주 시스템 클럭 전환 회로
KR100278271B1 (ko) 클럭주파수분주장치
JP3072494B2 (ja) 並列形フレーム同期回路のチャネル選択状態のモニタ回路
KR100278018B1 (ko) 기준펄스동기카운터
KR940003771Y1 (ko) 글리치 방지용 동기회로
KR100447397B1 (ko) 통신시스템의 비트에러방지장치
KR19990055374A (ko) 비동기 카운터의 글리치 제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