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487Y1 -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 Google Patents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487Y1
KR200145487Y1 KR2019960025576U KR19960025576U KR200145487Y1 KR 200145487 Y1 KR200145487 Y1 KR 200145487Y1 KR 2019960025576 U KR2019960025576 U KR 2019960025576U KR 19960025576 U KR19960025576 U KR 19960025576U KR 200145487 Y1 KR200145487 Y1 KR 200145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upport
pair
ropes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2037U (ko
Inventor
한상복
Original Assignee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헌출
Priority to KR2019960025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487Y1/ko
Publication of KR19980012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2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4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브등 수평구조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낙하되는 낙하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그 개구부를 통하여 각종 자재 및 장비등을 원활하게 반입·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수평구조체(8)예 형성되는 개구부(9) 직하부층 소정의 거리와 간격을 둔 지지기둥(10)들의 상부에 고정되는 전,후방도르레(11),(11a)들과, 상기 전,후방도르례(11),(11a)들에 지지되어 좌,우로 이동되며 대향되게 나란히 설치되는 1쌍의 지지로프(12)들과, 상기 1쌍의 지지로프(12)에 연결고정되며 상기 개구부(9)의 직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로프(12)를 따라서 좌,우로 이동되는 그물망부(13)와, 상기 지지로프(12)의 좌측 좌하방연장부(12a)에 연결되며 회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4)가 부착되는 권회수단(15)과, 상기 지지로프(12)의 우측 우하방연장부(12b) 끝부분에 매달리는 무게추(16)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제1도는 종래의 수평구조체 개구부에 임시 가설된 안전망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전체적인 이동개폐식 안전망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고안 안전망이 받쳐지는 받침봉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수평구조체 9 : 개구부
10 : 지지기둥 11,11a : 전후방도르레
12 : 지지로프 12a : 좌하방연장부
12b : 우하방연장부 13 : 그물망부
14 : 스토퍼 15 : 권회수단
16 : 무게추 17 : 받침봉
18 : 받침판 19 : 사이기둥
20 : 연결로프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슬라브등 수평구조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낙하되는 낙하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그 개구부를 통하여 각종 자재 및 장비등을 원활하게 반입·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이나 지하터파기현장에는 시공중 하부층 굴착시 발생하는 토사 반출작업과 하부층에 필요한 각종 자재, 장비 및 기계의 효과적 반입·반출을 위해 바닥슬라브 및 복공판등 수평구조체에 개구부를 형성·유지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개구부를 통한 작업이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작업을 하지 않는 시간이 더 많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를 통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동안 작업원의 추락방지와 낙하물로부터 작업원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에 임시 가설물로 안전망을 설치할 필요가 발생한다. 특히 지상·지하공정이 동시에 진행되는 탑다운(Top-Down)방식의 건축현장에서는 통상적으로 상기 개구부를 각층에 2 개이상 장기간 유지해야 하는 바 보다 효과적이고 편리한 안전시설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진다 하겠다.
[종래기술 및 문제점]
종래의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안전망은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5-2848호로 출원한 바가 있다. 즉,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갈이, 종래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개구부(1)의 네 모서리부의 수평구조체(2)에 그 하부가 고정되어 각각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봉(3)들과, 상기 지지봉들의 소정의 높이에 각각 연결고정되어 둘러지는 지지로프(4)들과, 상기 지지로프들에 결착되어 착탈이 용이하며 슬라이드되도록 하되 일측이 트인 링형상의 몸체부의 일측끝에 연결되어 개폐되는 탄성편(5)으로 만들어지는 결착구(6)들에 의해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대향하는 2변이 결착되는 그물망부(7)로 구성되어, 설치 및 해체작업이 가능한 동시에 수평구조체 개구부를 통하여 각종 자재등의 반입·반출작업시 그물망부(7)를 한쪽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안전시설을 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것은 개구부에 그물망부(7)의 여러 곳이 지지로프(4)에 결착구(6)들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 고정되어 있어 추락 작업원 및 기타 낙하물이 안전망에 의해 효과적으로 걸러지고 시공중 하부층 굴착시 발생하는 토사 반출작업과 하부층에 필요한 각종 자재, 장비 및 기계의 반입·반출시에는 비교적 신속하게 그물망부(7)를 한쪽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개구부 안전망 설치구조에는 그물망부(7)를 한쪽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작업이 진행되도록 했을때 개구부(1)의 완전한 개방이 불가능하여 상기 개구부가 필요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개구부를 통하여 하부층 굴착시 발생하는 토사 반출작업과 하부층에 필요한 각종 자재, 장비 및 기계의 반입·반출시 일방에 슬라이드되어 있는 그물망부의 일부가 방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의 목적은 개구부의 완전한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구부를 통하여 하부층 굴착시 발생하는 토사 반출 및 하부층에 필요한 각종 자재, 장비 및 기계의 반입·반출시 그물망부의 일부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개구부를 통한 반입·반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을 제공하는데 있다.
[고안의 구성]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갈다.
본 고안의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은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수평구조체(8)에 형성되는 개구부(9) 직하부층 소정의 거리와 간격을 둔 지지기둥(10)들의 상부에 고정되는 전,후방도르레(11),(11a)들과, 상기 전,후방도르레(11),(11a)들에 지지되어 좌,우로 이동되며 대향되게 나란히 설치되는 1쌍의 지지로프(12)들과, 상기 1쌍의 지지로프(12)에 연결고정되며 상기 개구부(9)의 직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로프(12)를 따라서 좌,우로 이동되는 그물망부(13)와, 상기 지지로프(12)의 좌측 좌하방연장부(12a)에 연결되며 회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4)가 부착되는 권회수단(15)과, 상기 지지로프(12)의 우측 우하방 연장부(12b) 끝부분에 매달리는 무게추(16)로 구성되어, 상기 권회수단(15)과 무게추(16)에 의해 이동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구부(9) 직하방얘 설치되어 있는 그물망부(13)가 화살표 방향으로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개구부(9)가 열려지게 된다. 그리고 반대방향으로 그물망부(13)를 이동시키면 개구부(9)가 닫혀지게 된다.
개구부(9)가 개폐되는 것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갈다. 먼저, 개구부(9)가 닫혀진 상태에서 열려고 할 때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권회수단(15)에 부착된 스토퍼(14)를 풀어주면 된다. 그러면 반대방향에 매달린 무게추(16)의 중량에 의해서 그물망부(13)가 지지로프(12)를 따라서 화살표로 표시된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개구부(9) 직하방에 위치되었던 그물망부(13)가 우측으로 이동되므로 개구부(9)가 열려지게 된다. 그리고 개구부(9)가 열려진 상태에서 닫을려고 할 때는 권회수단(15)을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좌하방연장부(12a)를 감아주면 된다. 그러면 그물망부(13)가 지지로프(12)를 따라서 화살표 반대방향인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그물망부(13)가 개구부(9) 직하방까지 이동되면 권회수단(15)의 회동을 멈추고 스토프(12)를 채워서 고정시키게 되면 개구부(9)가 안전하게 닫혀지게 된다.
상기 무게추(16)의 수직이동거리는 그물망부(13)의 수평이동거리와 같다. 따라서 개구부(9)가 그물망부(13)의 수평이동에 따라 충분히 개폐될 수 있도록 무게추(16)의 수직이동거리를 한정하는 우하방연장부(12b)의 길이는 죄소한 개구부(9)의 길이와 같거나 길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1쌍의 지지로프(12)들의 중간위치 정도에 지지로프(12)가 받쳐지는 받침봉(17)이 사이기둥(19)에 횡방향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이기둥(19)에 부착판(18)이 고정되고 그 부착판에 다시 받침봉(17)이 횡방향으로 부착된다.
이같은 받침봉(17)이 부착되는 이유는 1쌍의 지지로프(12)가 지지되는 전,후방도르레(11),(11a)들이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갈이, 3경간의 먼 거리를 유지한 채 고정되므로 지지로프(12) 중간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받침봉(17)이 1쌍의 지지로프(12)들의 중간위치 정도에 위치되는 사이 기둥(19)에 횡방향으로 부착함으로써, 지지로프(12)의 처짐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같은 받침봉(17)은 제2도 및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갈이, 전,우방도르레(11),(11a)들이 설치된 지지기둥(10)들 사이에 위치해 있는 2쌍의 사이기둥(19)들에 각각 1개씩 설치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고안은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1쌍의 지지로프(12)들의 좌우측에 상기 1쌍의 지지로프(12)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프(20)들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연결로프(20)는 1쌍의 지지로프(12)들의 하중을 각각 좌,우하방연장부(12), (12a)들로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안의 효과]
이와 같이, 본고안은 종래에 개구부상부예 설치되어 개구부를 통하여 하부층 굴착시 발생되는 토사반출 및 하부층에 필요한 각종 자재, 장비 및 기계의 반입·반출시에 그물망부의 일부가 방해되었던 것과는 달리, 개구부의 직하부층 지지기둥(10) 상부에 설치되어 좌우측으로 이동하여 완전한 개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개구부를 본 건축물의 시공에 필요한 자재, 장비 및 기계의 투입과 반출, 굴착토의 반출시에 그물망부(13)가 방해받지 않으므로 반출 반입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의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그물은 제거시 개구부에 불필요한 부분이 남아있지 않아 상기 개구부를 통한 제반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작업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특히, 지상 지하공정이 동시에 진행되는 탑다운(Top-Down) 방식의 건축현장에서는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지하 각층별로 2개 이상의 슬라브개구부를 장기간 유지해야 하므로 본 고안의 효과적이고 간편한 슬라브개구부 이동개폐식 안전망을 운용함으써 획기적인 작업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1회의 설치로 공사 종료시까지 사용이 가능하여 자재 및 인원절감의 효과가 극대화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고안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은 번거릅고 복잡한 설치 및 제거방법으로 인해 수시로 안전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슬라브개구부를 방치했던 종래의 수평구조체 개구부 안전망 설치구조에 상존해 있던 문제점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수평구조체(8)에 형성되는 개구부(9) 직하부층 소정의 거리와 간격을 둔 지지기둥(10)들의 상부에 고정되는 전,후방도르레(11),(11a)들과, 상기 전,우방도르레(11),(11a)들에 지지되어 좌,우로 이동되며 대향되게 나란히 설치되는 1쌍의지지로프(12)들과, 상기 1쌍의 지지로프(12)에 연결고정되며 상기 개구부(9)의 직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로프(12)를 따라서 좌,우로 이동되는 그물망부(13)와, 상기 지지로프(12)의 좌측 좌하방연장부(12a)에 연결되며 회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4)가 부착되는 권회수단(15)과, 상기 지지로프(12)의 우측 우하방연장부(12b) 끝부분에 매달리는 무게추(16)로 구성되어, 상기 권회수단(15)과 무게추(16)에 의해 이동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지지로프(12)들의 중간위치 정도에 지지로프(12)를 받치는 받침봉(17)이 사이기둥(19)에 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지지로프(12)들의 좌우측에 1쌍의 지지로프(12)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프(20)들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KR2019960025576U 1996-08-24 1996-08-24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KR200145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576U KR200145487Y1 (ko) 1996-08-24 1996-08-24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576U KR200145487Y1 (ko) 1996-08-24 1996-08-24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037U KR19980012037U (ko) 1998-05-25
KR200145487Y1 true KR200145487Y1 (ko) 1999-06-15

Family

ID=1946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576U KR200145487Y1 (ko) 1996-08-24 1996-08-24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4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14B1 (ko) 2007-07-05 2009-05-27 주식회사 엠앤디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14B1 (ko) 2007-07-05 2009-05-27 주식회사 엠앤디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037U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5311A3 (en) Hydraulic scaffold
KR200145487Y1 (ko)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CN216109664U (zh) 建筑施工用具有安全防护功能的施工平台
RU2736256C2 (ru) Сборный защитный экран для ограждения по периметру
JP2005299280A (ja) 移動足場システム
CN206328110U (zh) 一种定制吊篮用具
CN212582683U (zh) 桩基孔口施工设备
CN212403253U (zh) 物料垂直运输装置
CN111945583B (zh) 一种悬灌梁挂篮端头临边防护施工方法及装置
CN209339578U (zh) 一种内置于井道的可移动式防护及操作平台
CN207633773U (zh) 一种集块建筑装配化施工钢筋引导管拆除系统
JPH08326330A (ja) 覆工板上の養生柵
JPH0469244B2 (ko)
JP2001253402A (ja) 土嚢用袋詰め装置
CN220301792U (zh) 一种用于临边倾斜悬挑结构柱的操作架
CN220504476U (zh) 用于临边倾斜结构柱的可旋转开启式悬挑操作架
JPH0444716Y2 (ko)
CN107916790A (zh) 一种集块建筑装配化施工钢筋引导管拆除系统及拆除方法
CN221031600U (zh) 一种楼板洞口防护装置
CN212583202U (zh) 一种房建用于高空施工的悬挂装置
CN219431695U (zh) 一种全自动启闭式吊物口盖板装置
JP7043094B1 (ja) 共同溝蓋開閉運搬装置
CN220746666U (zh) 一种可调节公路限高架
SU1206418A1 (ru) Щитова опалубка
JP4520629B2 (ja) 揚重物搬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