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714B1 -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 Google Patents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714B1
KR100899714B1 KR1020070067462A KR20070067462A KR100899714B1 KR 100899714 B1 KR100899714 B1 KR 100899714B1 KR 1020070067462 A KR1020070067462 A KR 1020070067462A KR 20070067462 A KR20070067462 A KR 20070067462A KR 100899714 B1 KR100899714 B1 KR 100899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ross
safety net
cross beam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992A (ko
Inventor
김진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앤디
Priority to KR1020070067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7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시빔 교량의 크로스빔 위치에 크로스빔 설치와 해체를 위한 물건 등의 상,하역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서, 교각 사이에 연결되는 피시빔의 하방에 안전망설치구와 피시빔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비계파이프 및 상기 비계파이프의 횡 방향으로 연결되는 횡파이프로 물건 등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을 설치하고; 상기 피시빔의 중간에 좌굴현상을 방지하도록 크로스빔을 설치하고 설치자재 해체 물건의 상,하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크로스빔 부위에 크로스빔용 안전망을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빔 위치에 물건을 상,하역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유지시켜 크로스파이프를 설치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는 일측의 크로스파이프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와 다른 측의 크로스파이프에 연접 및 이탈되게 구비하는 가동파이프 사이에 네트를 연결하고; 상기 가동파이프에는 가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Figure R1020070067462
피시빔, 교량, 크로스빔, 좌굴

Description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SAFETY NET OF CROSS BEAM FOR PRECASTCONCRETE BEAM BRIDGE}
본 발명은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시빔의 폭 방향으로 연결되는 크로스빔 부위에 설치되는 개선된 안전망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교량의 경우 일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교각 사이를 철큰콘크리트로 슬라브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게 되나, 높은 강성과 고 하중을 필요로 하는 교량의 경우 교각과 교각 사이를 박스 또는 피시빔으로 연결한 후 그 위에 슬라브를 설치하여 구축하게 된다.
특히, 피시빔 교량의 경우 교각과 교각 사이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교각 사이에 설치되는 피시빔이 좌굴(座屈, Buckling)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폭 방향으로 연결된 많은 수의 피시빔 전체가 좌굴될 경우에는 슬라브를 정상적으로 설치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교각과 교각 사이에 연결되는 피시빔의 좌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시빔의 중도에 인접한 피시빔과 서로 연결시키는 데, 이를 크로스빔이라 한 다.
상기 크로스빔은 교각과 교각 사이에 피시빔을 연결한 후 피시빔의 하방에 안전망을 설치한 후 시공하기 때문에 크로스빔 시공을 위한 거푸집이나 기타 자재 등은 지상에서 바로 직 상방으로 공급하지 못하게 되고, 크로스빔 설치 후 해체한 거푸집과 자재 또한 직 하방으로 바로 철거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시빔의 하방에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에 있음으로서 크로스빔 설치와 해체에 사용된 거푸집과 자재를 대형 크레인을 동원하여 교각 사이에 연결된 피시빔의 외곽을 통하여 상,하역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장비로 인한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것은 물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안전을 위하여 설치한 안전망을 피하여 물건 등을 상,하역하기 때문에 상,하역 과정에서 물건 등의 낙하가 있을 경우 안전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시빔의 하방에 설치되는 안전망 중 피시빔의 좌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크로스빔 위치에는 개폐가능하게 구성하여 크로스빔 설치와 해체를 위한 물건 등의 상,하역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안전망 중 크로스빔이 설치되는 부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 크로스빔용 안전망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크로스빔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설치 후 물건 등의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전체적인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용을 절감하면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피시빔교량에 크로스빔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교각과 교각 사이에 연결되는 피시빔(100)의 하방에는 안전망설치구(101)와 피시빔(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비계파이프(102) 및 상기 비계파이프(102)의 횡 방향으로 연결되는 횡파이프(103)를 이용하여 물건 등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104)을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시빔(100)의 중간에 좌굴현상을 방지하도록 설치하는 크로스빔(105) 위치의 안전망(104)을 개선하여 크로스빔(105) 설치에 필요한 물건과 크로스빔(105) 설치 후 해체에 따른 물건의 상,하역을 용이하게 하는 크로스빔용 안전망(1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빔용 안전망(110)은 크로스빔(105) 위치에 크로스빔(105) 설치에 따르는 거푸집과 같은 물건을 쉽게 상,하역할 수 있을 정도의 폭(B)을 유지시켜 크로스파이프(111)를 더 설치하여 개구부(112)를 형성한다.
상기 크로스파이프(111)와 크로스파이프(111) 사이에 형성하는 개구부(112) 외에는 비계파이프(102)와 횡파이프(103) 및 크로스파이프(111)를 통하여 안전망(104)을 그대로 연결하여 안전확보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개구부(112)에는 일측의 크로스파이프(111)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113)와 다른 측의 크로스파이프(111)에 연접 및 이탈되는 가동파이프(114)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파이프(113)와 가동파이프(114) 사이에는 네트(115)를 연결하여 물건 등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동파이프(114)에는 고정수단(116)을 구비하여 가동파이프(114)가 움직인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고정수단(116)은 가동파이프(114)에 다수 개 구비하는 로프 또는 고정파이프(113)와 크로스파이프(111)와 원터치 타입에 의하여 걸림 되고 해제될 수 있는 걸고리를 구비하여보다 쉽게 가동파이프(114)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110)은,
평상시에는 크로스빔(105) 부위에 더 구비되는 크로스빔용 안전망(110)은 폐쇄된 상태로 두어 물건 등의 낙하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폐쇄 상태에서는 가동파이프(114)는 고정파이프(113)의 대향 측 크로스파이프(111)과 연접되도록 함으로서 개구부(112)가 폐쇄된 형태가 되도록 하고, 가동파이프(114)에 구비되는 고정수단(116)을 구성하는 로프 또는 걸고리를 피시빔(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스터드볼트에 걸어서 고정하거나 또는 크로스파이프(111)에 걸림 되도록 함으로서 가동파이프(114)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한다.
그리고, 크로스빔(105)을 설치하기 위하여 거푸집과 같은 물건을 들어올려야 하거나 크로스빔(105)의 설치를 완료한 후 해체한 거푸집 등을 하역하고자 할 경우에는 개구부(112)를 개방시켜 지상에서 피시빔(100) 방향으로 또는 피시빔(100)에서 지상으로 바로 상,하역하면 되는 것이다.
이를 살펴보면, 일측의 크로스파이프(111)에 연접되어 로프(116) 또는 걸고리(117)에 의하여 단속되어 있던 가동파이프(114)를 해제한 후, 상기 가동파이프(114)를 고정파이프(113) 방향으로 이동시켜 연접시킨 후 다시 고정수단(116)을 이용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단속함으로서 개구부(112)가 개방되고, 개방된 개구부(112)를 통하여 물건 등의 상,하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개구부(112)에 네트(115)를 가지는 격자(120)를 구비하고, 상기 격자(120)의 일측은 크로스파이프(111)와 힌지(121, 경첩)로 연결하여 도어타입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힌지(121) 대향 측의 격자(120)에는 단속을 위한 통상적인 시건수단(122)을 구비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피시빔 교량에 크로스빔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피시빔
104; 안전망
105; 크로스빔
110; 크로스빔용 안전망
111; 크로스파이프
112; 개구부
113; 고정파이프
114; 가동파이프
116; 고정수단

Claims (2)

  1. 교각 사이에 연결되는 피시빔(100)의 하방에 안전망설치구(101)와 피시빔(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비계파이프(102) 및 상기 비계파이프(102)의 횡 방향으로 연결되는 횡파이프(103)로 물건 등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104)을 설치하고;
    상기 피시빔(100)의 중간에 좌굴현상을 방지하도록 크로스빔(105)을 설치하고 설치자재 해체 물건의 상,하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크로스빔(105) 부위에 크로스빔용 안전망(110)을 더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빔용 안전망(110)은 크로스빔(105) 위치에 물건을 상,하역할 수 있을 정도의 폭(B)을 유지시켜 크로스파이프(111)를 설치하여 개구부(112)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12)에는 일측의 크로스파이프(111)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113)와 다른 측의 크로스파이프(111)에 연접 및 이탈되게 구비하는 가동파이프(114) 사이에 네트(115)를 연결하고;
    상기 가동파이프(114)에는 가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116)을 구비하여 개구부(112)를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2)에 네트(115)를 가지는 격자(120)를 구비하고;
    상기 격자(120)의 일측은 개,폐 가능하게 크로스파이프(111)와 힌지(121)로 연결하고;
    상기 힌지(121) 대향 측의 격자(120)에는 시건수단(122)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KR1020070067462A 2007-07-05 2007-07-05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KR100899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462A KR100899714B1 (ko) 2007-07-05 2007-07-05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462A KR100899714B1 (ko) 2007-07-05 2007-07-05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992A KR20090002992A (ko) 2009-01-09
KR100899714B1 true KR100899714B1 (ko) 2009-05-27

Family

ID=4048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462A KR100899714B1 (ko) 2007-07-05 2007-07-05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7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0414U (ko) 1976-03-10 1977-09-13
JPH01256665A (ja) * 1988-04-01 1989-10-13 Ohbayashi Corp 自動開閉式安全ネット
KR200145487Y1 (ko) 1996-08-24 1999-06-15 김헌출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0414U (ko) 1976-03-10 1977-09-13
JPH01256665A (ja) * 1988-04-01 1989-10-13 Ohbayashi Corp 自動開閉式安全ネット
KR200145487Y1 (ko) 1996-08-24 1999-06-15 김헌출 수평구조체 개구부의 이동개폐식 안전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992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028B1 (ko) 박스형 가설교량
KR20060099484A (ko) 교각 코핑면에 블럭아웃을 실시하여 매립한 케미컬앵커와고장력 장 볼트와 일체형의 철제선반구조물을 이용한 교량상부슬라브 인상공법
KR100728106B1 (ko)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101658390B1 (ko) 암거 보강 공법
KR100899714B1 (ko) 피시빔교량의 크로스빔용 안전망
KR101539412B1 (ko) 교량 해체공법
JP2008215031A (ja) 足場の施工方法
KR101750792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JP2017040113A (ja)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JP2006207209A (ja) 上路式吊床版橋の構築方法
JP2015229850A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JP6889010B2 (ja) 橋梁の施工方法
KR101562290B1 (ko) 부반력지지장치 및 수직부재를 이용한 폼트레블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5694468B2 (ja) 桁式サポート装置を使用した解体方法及び桁式サポート装置
KR20130036578A (ko) 트러스 구조가 적용된 선박의 외부 계류 터렛 시스템용 캔틸레버
KR100606944B1 (ko) 플레이트를 이용한 psc빔의 전도방지장치
KR100947305B1 (ko) 선행하중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KR101539413B1 (ko) 과선교 해체공법
JP6535474B2 (ja) 天井板の撤去方法
KR101257823B1 (ko) 곡선빔용 전도방지장치
KR100588350B1 (ko) 교량 슬래브의 중앙분리대측 측단부 시공방법 및 그에적용되는 상부브래킷
KR20090002993A (ko) 피시빔 안전망 설치 및 해체용 캐리어
KR101334232B1 (ko)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551244B1 (ko) 개방형복부를 가진 강재박스,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