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450Y1 - 자동차의 선바이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선바이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450Y1
KR200145450Y1 KR2019950036084U KR19950036084U KR200145450Y1 KR 200145450 Y1 KR200145450 Y1 KR 200145450Y1 KR 2019950036084 U KR2019950036084 U KR 2019950036084U KR 19950036084 U KR19950036084 U KR 19950036084U KR 200145450 Y1 KR200145450 Y1 KR 200145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installation groove
guide rail
upper sid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6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568U (ko
Inventor
김성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6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450Y1/ko
Publication of KR970021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5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4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08Sun visors combined with auxiliary vi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 상단에 각각 구비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가해지는 햇빛을 차양하도록 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도 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선바이저의 차양범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확대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양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는 선바이저(100)에 상부측으로 개구되면서 일정한 크기로 구비되고, 상부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21)과, 전,후단측의 소정위치에 각각 클립(112)(113)을 갖춘 설치홈(110)과; 상기 설치홈(110) 내에 설치되어 삽탈이 가능토록 구비되고, 후단일측에 설치홈(100)의 가이드레일(111)에 체결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는 로울러(121)와, 전단에 손잡이(122)를 갖춘 보조차양판(120);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선바이저구조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선바이저 구조를 보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선바이저 구조를 보인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 제2도의 A-A선 단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 제2도의 B-B선 단면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선바이저 101 : 힌지축
110 : 설치홈 111 : 가이드레일
112,113 : 클립 120 : 보조차양판
121 : 로울러 122 : 손잡이
본 고안은 자동차와 선바이저(SUN VISOR)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 상단에 각각 구비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가해지는 햇빛을 차양하도록 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도 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선바이저의 차양범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양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는 햇빛이 전면유리창 또는 측면유리창을 통하여 차의 내부로 가해지는 것을 차양하도록하는 선바이저(SUN VISOR)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선바이저의 종래 구성을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의 선바이저(10)는 첨부도면의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체형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의 상부 일측에는 힌지축(11)이 구비되어 자동차 천정면(12)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가능토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평상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선바이저(10)를 자동차의 천정면(12)으로 접게 되면, 이의 선바이저(10)는 힌지축(11)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어 천정면(12)에 밀착된채로 보관되어 지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태양광선이 자동차의 유리창을 통하여 지나치게 내부로 조사되어져 이를 차양하고자 할시에는 선바이저(10)를 유리창측으로 펼치게 되면, 선바이저(10)는 도면에서와 같이 그 전체적인 면이 유리창을 가리게 됨으로써 차양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구조의 선바이저(10)는 단순히 선바이저(10)의 크기에 해당되는 면적만이 차양을 하게 됨으로써 차양면적이 좁아 기대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특히 도면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선바이저(10)를 펼쳤을 경우에 이의 선바이저(10)의 상단면과 천정면(12)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의 사각지대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됨으로써 이를 통해 조사되는 태양광선이 운전에 막대한 장애를 주게 되는등 차양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선바이저의 차양면적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확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차양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각지대를 배제시켜 차양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의 선바이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개선된 선바이저를 제공함으써 달성되는데, 즉 일반적인 선바이저의 상부에 필요에 따라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는 보조차양부재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선바이저의 내부에 접어서 보관하였다가 사용시에는 이를 펼쳐서 차양면적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2도 이하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표현한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선바이저를 표시하고 있다.
이의 선바이저(100)는 통상에서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체형으로 구비되면서 그 일측에는 힌지축(101)이 구비되어 자동차의 내부의 천정면(102)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바이저(100)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선바이저(100)에 상부측으로 개구되는 설치홈(110)이 갖추어져 있음과 동시에 이의 설치홈(110)에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보조차양판(1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차양판(120)은 그 일측 하단부에 회전구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로울러(121)가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측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12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조차양판(120)은 선반이저(100)의 길이보다는 작게 구비되어 설치홈(110)내에서 삽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홈(110) 내의 상부측에는 양측으로 보조차양판(120)의 로울러(121)가 삽입되어 구름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111)이 구비되어 있고, 설치홈(110)의 전단 하부와 후단 상부에는 각각 보조차양판(120)을 유동없이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112)(113)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차양판(120)은 후단 하단부에 구비되는 로울러(121)가 설치홈(110)의 가이드레일(111)에 삽입되어 지지된채로 설치홈(110)내에 설치가 되어 질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바이저(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또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차양판(120)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시에는 첨부된 도면의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차양판(120)이 설치홈(110)내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이때는 첨부도면의 제3도 및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차양판(120)의 로울러(121)는 설치홈(110)의 후단부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그전단 손잡이(122)의 하부측이 설치홈(110)내에 구비되는 클립(112)에 체결됨으로써 보조차양판(120)은 유동없이 선바이저(100)에 체결완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보조차양판(120)이 선바이저(10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선바이저(100)의 크기는 기존의 선바이저 크기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통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선바이저(100)를 접어서 보관할 수도 있을 것이고, 또한 기존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차양범위를 넓게 사용하고 할 경우에는 즉, 상기한 보조차양판(120)을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첨부도면의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차양판(120)의 손잡이(122)을 잡고 상부측으로 인출시킨 다음 이를 전단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면, 보조차양판(120)에 구비된 로울러(121)가 가이드레일(111)를 따라 구름작동되면서 전단으로 이송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차양판(120)의 손잡이(122)를 설치홈(110)의 후단에 삽입체결하게 되면, 이의 손잡이(122)는 설치홈(110) 후단에 구비된 클립(113)에 체결되어 유동없이 체결완료되어 지는 것이다.
즉, 상기 보조차양판(120)은 선바이저(100)의 설치홈(110)으로 부터 인출되어 선바이저(100)의 상부에 노출된 상태로 체결이 완료되어 지는 것임으로써 선바이저(100)의 전체적인 면적이 그만큼 넓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바이저(100)의 상단부에 별도의 보조차양판(120)이 구비됨으로써 차양면적이 그만큼 넓어져 차양효율이 향상되어 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선바이저(100)와 자동차 천정면(101) 사이의 사각지대를 차양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차양판(120)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가 있음으로써 그 사용성도 향상되어 지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 상단에 절첩가능토록 설치되어 차내부로 조사되는 햇빛을 차양하도록 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100)에 상부측으로 개구되면서 일정한 크기로 구비되고, 상부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21)과, 전,후단측의 소정위치에 각각 클립(112)(113)을 갖춘 설치홈(110)과; 상기 설치홈(110) 내에 설치되어 삽탈이 가능토록 구비되고, 후단일측에 설치홈(100)의 가이드레일(111)에 체결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는 로울러(121)와, 전단에 손잡이(122)를 갖춘 보조차양판(120);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바이저구조.
KR2019950036084U 1995-11-28 1995-11-28 자동차의 선바이저구조 KR200145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084U KR200145450Y1 (ko) 1995-11-28 1995-11-28 자동차의 선바이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084U KR200145450Y1 (ko) 1995-11-28 1995-11-28 자동차의 선바이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568U KR970021568U (ko) 1997-06-18
KR200145450Y1 true KR200145450Y1 (ko) 1999-06-15

Family

ID=1943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6084U KR200145450Y1 (ko) 1995-11-28 1995-11-28 자동차의 선바이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4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568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1363A (en) Visor system
US6979042B2 (en) Automotive sun visor device
US4558899A (en) Collapsible visor
KR200145450Y1 (ko) 자동차의 선바이저구조
KR950006006Y1 (ko) 자동차용 차양막
US5058942A (en) Permanent sunshields fully cover automobile windows
KR0140678Y1 (ko) 아웃사이드 미러에 내설되는 차양장치
KR910008102Y1 (ko)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
KR19980051373U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장착구조
KR970000356Y1 (ko)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선 바이저)
KR900006553Y1 (ko) 차량용 차광커텐의 고정장치
KR200147019Y1 (ko) 자동차의 바캉스용 선바이저 체결구조
KR200417554Y1 (ko) 자동차 앞 유리용 차양판 조립구조
KR0126699Y1 (ko) 자동차 도어 선 바이저의 장착 구조
KR0135215Y1 (ko) 자동차 도어 선 바이저의 장착 구조
KR19980059276U (ko) 차량용 측면 선바이저
KR19980043490U (ko) 차량의 선 바이저 좌우 길이 조절장치
KR970041922A (ko) 자동차용 스포일러
KR19980052176U (ko) 자동차용 선 바이저
KR20020035270A (ko) 자동차의 가변식 썬바이저
KR19990033653U (ko) 자동차용버티칼햇빛가리개
KR19980029821U (ko) 루우프패널 내장형 차양 장치
KR19980028819U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970034911A (ko) 햇빛가리개 구조
KR19980031613U (ko) 차량용 선바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