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053Y1 -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 Google Patents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053Y1
KR200145053Y1 KR2019950049538U KR19950049538U KR200145053Y1 KR 200145053 Y1 KR200145053 Y1 KR 200145053Y1 KR 2019950049538 U KR2019950049538 U KR 2019950049538U KR 19950049538 U KR19950049538 U KR 19950049538U KR 200145053 Y1 KR200145053 Y1 KR 200145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hose
piece
elastic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9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032U (ko
Inventor
윤석홍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50049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053Y1/ko
Publication of KR970042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053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자동차의 유압 적용 부위의 각종 전장품인 파이프 또는 호오스의 품질이 불균일 할 경우 또는 외경이 클램프보다 작을 경우에도 유동되지 않게 타이트하게 고정시키고 이탈시에는 도구를 통해 파손없이 간단히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는 U자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양단부가 외향으로 확장되는 확장편을 갖으며 양면에는 탄성보강홀이 형성된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탄성보강홀과 연이어서 내부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압착된 호오스 및 파이프를 상방향으로 밀어 고정하는 압입편과; 이 압입편과 일체로 형성되고 클램프의 하부로 직각 절곡되어 결합체와 탄성 고정되는 스톱퍼가 형성된 결합편으로 구성함으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제1도는 종래 호오스 고정용 클램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스톱퍼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클램프 201, 201a : 받침편
202, 203 : 확장편 204, 204a : 결합편
205, 205a : 스톱퍼 206, 206a : 구멍
207 : 결합체 208 : 호오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장품을 고정하기 위한 탄성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유압 적용부위(브레이크, 클러치)의 각종 전장품인 파이프 또는 호오스류 등을 안정하게 고정하고 수리(Repair)시에 그 호오스 및 파이프를 등을 용이하게 클램프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하는 착탈이 자유로운 호오스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유압 적용 부위의 각종 전장품인 파이프 또는 호오스류 등을 고정하는 클램프는 탄성을 갖고 안정하게 고정을 하여 주어야 하고 수리시에는 그 호오스 또는 파이프의 이탈이 자유로워야 한다.
이는, 호오스의 품질이 불균일할 경우나 또는 직경이 클램프에 비해 작을 경우, 또는 직경이 클경우에 있어서, 이때 자동차의 유동에 따라 그 호오스 또는 파이프가 클램프내에서 유동을 하여 스스로 이탈을 할 수도 있고, 또한 수리시에는 호오스 또는 파이프를 클램프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클램프는 호오스 및 파이프의 직경에 관계없이 탄성을 가지고 안정되게 고정시켜 주어야 하고 또한 그 호오스 및 파이프의 이탈시에는 무리없이 이탈이 되어야 한다.
제1도는 종래 호오스 고정용 클램프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U자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외향으로 확장되는 확장편(103)을 갖으며 이의 대향부분인 타단부의 외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결합편(101)을 갖고, 그 결합편(101)의 내면에는 결합체(105)와의 결합시에 이탈을 방지하여 주는 스톱퍼(10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탄성용 클램프(1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용 클램프(100)의 개구를 통해 호오스(104)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호오스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는 먼저, 호오스(104) 도는 파이프를 탄성용 클램프(100)의 확장편(103)과 결합편(10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해 압입하게 되면 상기 탄성용 클램프(100)는 호오스(104) 또는 파이프의 압입력에 의해서 탄성력을 갖고 외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호오스(104) 또는 파이프를 압입하여 밀어 넣게 되면 상기 클램프(100)는 다시 탄성력을 갖고 원상태로 복귀되어 호오스(104) 또는 파이프를 압착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호오스(104) 또는 클램프(104)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에 상기 클램프(100)의 외주면과 결합편(101) 사이로 결합체(105)를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압입하여 밀게 되면 상기 결합편(101)도 결합체(105)의 압입력에 의해서 탄성력을 갖고 외향으로 벌어지고 결합체(105)가 다 끼워지게 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결합체(105)를 압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편(101)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스톱퍼(102)는 결합체(105)의 이탈을 방지하여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호오스 고정용 클램프는 개구부의 양쪽 확장편(103)중 한쪽에 결합체(105)가 만곡된 상태를 이루고 있어 호오스(104) 또는 파이프를 끼울 때 개구부인 양쪽 확장편(103) 사이가 잘 벌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호오스 또는 파이프의 외경이 클램프의 내경보다 작은 경우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되는 많은 진동이 전달될 때마다 클램프내에서 호오스나 파이프가 흔들리게 되어 호오스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반대로 호오스 또는 파이프의 외경이 클램프의 내경보다 크면 삽입이 되지 못하거나 가령 삽입이 되더라도 클램프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튕겨져 나가거나 또는 삽입시에 많은 힘을 주어 눌러 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이탈시에는 호오스 자체를 잡고서 빼야 함으로 인하여 그 호오스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자동차의 유입 적용 부위의 각종 전장품인 파이프 또는 호오스류 등을 안정하게 고정하고 수리시에 그 호오스 및 파이프를 파손시키지 않고 클램프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하는 착탈이 자유로운 호오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호오스 및 파이프의 외경의 크고 작음에 관계없이 탄성 작용으로 타이트하게 고정하여 주고, 이탈시에는 간단한 도구를 통해 이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호오스 고정용 클램프는 U자형상으로 개구부의 양측 끝단을 외향으로 만곡되는 확장편으로 형성하고, 클램프 몸체의 일측면을 안쪽으로 타발하여 호오스를 받쳐주기 위한 탄성있는 받침편을 형성하며 몸체의 타측면에는 외측으로 타발한 후 아래로 절곡시켜서 결합체에 결합 가능한 경합편을 개구부인 확장편의 반대편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 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중 호오스 고정용 클램프 몸체(200)를 U자형상으로 형성하면서 그 개구부의 양측 끝단을 외향으로 만곡시켜 확장편(203)으로 구성한 구성은 종래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한 클램프 몸체(200)의 일측면을 안쪽으로 타발하여 탄성력있게 2단으로 만곡된 받침편(201)을 형성하여 호오스(208)를 받쳐주도록 한 것과; 클램프 몸체(200)의 타측면을 외측으로 타발한 후 아래로 절곡시켜서 결합체(207)에 결합 가능한 결합편(204)(204a)을 개구부인 확장편(203)의 반대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205)(205a)는 결합체(207)와의 체결력을 높히기 위해 제4도에서와 같이 결합편(204)(204a)의 양쪽을 타발하여 형성한 스톱퍼 이고, (206) (206a)은 클램프 몸체(200)의 양측면에 받침편(201)(201a)과 결합편(204)(204a)을 타발하면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구멍이며, (209)는 상기 구멍(206)(206a)으로 삽입되어 받침편(201)(201a)을 올려주는 공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2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오스(208) 또는 파이프를 클램프 몸체(200)의 두 확장편(202)(203)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해 밀어 끼우게 되면 결합체(207)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편(204)(204a)이 개구부와 반대쪽에 위치됨에 따라 클램프 몸체(200)의 개구부에는 양측 확장편(202)(203)만이 형성되어 있어 확장편(202)(203)이 손쉽게 외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호오스(208) 또는 파이프를 계속 압입하여 클램프 몸체(200)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상기 클램프(200)의 양측 확장편(202)(203)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며, 클램프 몸체(200) 속으로 들어간 호오스(208)의 구경이 클램프 몸체(200)의 내경보다 작은 경우에는 하부의 탄성력있는 받침편(201)(201a)이 호오스(208) 또는 파이프를 상방향으로 올려주므로 호오스(208) 또는 파이프는 타이트하게 클램프 몸체(20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호오스(208)의 구경이 클램프 몸체(200)의 내경과 거의 같은 경우에는 탄성있는 받침편(201)(201a)이 호오스(208)에 눌려서 아래로 휘어지면서 호오스(208)를 받쳐주므로 호오스(208)는 제3도에서와 같이 하부가 밀착된 받침편(201)(201a)의 형태를 따라 만곡되면서 클램프 몸체(20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호오스(208) 또는 파이프를 클램프 몸체(200)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에 본 고안의 클램프 몸체(200)를 저면에 절곡 형성한 결합편(204)(204a)에 의해 결합체(207)에 끼우면 스톱퍼(205)(205a)에 의해 결합체(207)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고하게 결합되는 것은 종래의 클램프와 같다.
한편, 상기 클램프(200)에 고정된 호오스(208)를 빼내고자 할 때 본 고안은 제3도에서와 같이 드라이버 등의 공구(209)를 결합편(204)을 타발하면서 클램프 몸체(200) 일측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구멍(206)을 통해 집어넣어 공구(209) 끝단이 받침편(201)(201a)의 아래에 놓이거나 또는 호오스(208) 저면에 직접 닿도록 한다.
그 후 공구(209)의 손잡이를 아래로 눌르게 되면 반대쪽의 공구(209) 끝단은 지렛대 원리에 의해 간접적으로 받침편(201)(201a)을 통해 호오스(208)를 밀어 올리거나 또는 직접 호오스(208)를 밀어 올리게 됨에 따라 받침편(201)(201a) 위에 놓인 호오스(208)는 힘들이지 않고 클램프(200)의 개구부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에 따르면 자동차의 유압 적용 부위의 각종 전장품인 파이프 또는 호오스의 품질이 불균일할 경우 또는 외경이 클램프보다 작을 경우에도 유동되지 않게 타이트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뿐 아니라 이탈시에는 도구를 통해 파손없이 간단히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클램프 몸체(200)를 U자형상으로 형성하면서 그 개구부의 양측 끝단을 외향으로 만곡시켜 확장편(203)으로 형성한 것에 있어서, 클램프 몸체(200)의 일측면을 안쪽으로 타발하여 호오스(208)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편(201)(201a)을 탄력있게 만곡 형성하고, 클램프 몸체(200)의 타측면을 외측으로 타발한 후 아래로 절곡시켜서 결합체(207)에 결합 가능한 결합편(204)(204a)을 개구부인 확장편(203)의 반대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KR2019950049538U 1995-12-28 1995-12-28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KR200145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538U KR200145053Y1 (ko) 1995-12-28 1995-12-28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538U KR200145053Y1 (ko) 1995-12-28 1995-12-28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032U KR970042032U (ko) 1997-07-29
KR200145053Y1 true KR200145053Y1 (ko) 1999-06-15

Family

ID=6088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9538U KR200145053Y1 (ko) 1995-12-28 1995-12-28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0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032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7741B2 (ja) クリップ
JP3522765B2 (ja) スナップ止めリテーナ付きスクイズ解除クイックコネクタ
EP0303505A1 (en) Hose clamp
JPH1068481A (ja) チューブ継手部材
KR960002986B1 (ko) 귀없는 클램프 구조물
KR200145053Y1 (ko)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JP4296882B2 (ja) ホースクランプ
KR200165836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구조물
JP2848246B2 (ja) ヒューズ抜取治具
KR950000605Y1 (ko) 잠금쇠
JPH07260071A (ja) 配管接続構造
KR200163514Y1 (ko) 플라스틱 튜브 어셈블리
JPH10274222A (ja) 軸体操作用ハンドル
KR100204890B1 (ko) 파이프 고정용 클립
KR20010029119A (ko) 호스 체결용 클램프 및 파이프
JPH1047397A (ja) 制動片の摩耗検知プローブの取付構造
JP2000028867A (ja) 光ファイバ固定装置
JP3648010B2 (ja) 軸用クランプ継手
KR0140314Y1 (ko) 자동차의 트림고정용 클립
KR20050095291A (ko) 관 이음 장치
JP2001099178A (ja) 自在継手
JP3281482B2 (ja) 管継手
JPH08301102A (ja) 管固定装置
JP3872240B2 (ja) ケーブルクランプ
KR200174955Y1 (ko) 다용도 클립형 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