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386Y1 -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 - Google Patents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386Y1
KR200144386Y1 KR2019960048393U KR19960048393U KR200144386Y1 KR 200144386 Y1 KR200144386 Y1 KR 200144386Y1 KR 2019960048393 U KR2019960048393 U KR 2019960048393U KR 19960048393 U KR19960048393 U KR 19960048393U KR 200144386 Y1 KR200144386 Y1 KR 200144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blind spot
auxiliary
secondary mirr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8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420U (ko
Inventor
황태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8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386Y1/ko
Publication of KR19980035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4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386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사각지대의 물체를 파악하기 위한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Support mirror for ablique angle zone)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부에 미러상에 나타나지 않는 사각지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보조미러를 절첩가능하게 장착하여 줌으로서, 차량 주행시 운전자에게 다양한 시야확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
본 고안은 차량의 사각지대의 물체를 파악하기 위한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Support mirror for ablique angle zon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러는 자동차에 있어서, 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로서, 인사이드 미러와 아웃사이드 미러로 나누어지게 되며, 상기 인사이드 미러는 차실 내부에 제공되어 차체 직후방의 시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고,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체 측후방의 시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량의 사각지대 즉, 미러상에 나타나지 않는 부분인 차량의 바닥부분이라던가 미러와 수직선상에 위치한 곳 등을 볼수가 없으므로서, 차량 주행시 운전자에게 다양한 시야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부에 미러상에 나타나지 않는 사각지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보조미러를 절첩가능하게 장착하여 줌으로서, 차량 주행시 운전자에게 다양한 시야확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의 격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보조미러 몸체, 10a: 후크, 20: 힌지축, 30: 레버, 40: 토션스프링, 50: 보조미러, 60: 콘트롤러, 70: 아웃사이드 미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는,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부면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설되도록 끝단부에 후크가 돌출되어 형성된 보조미러 몸체와, 상기 보조미러 몸체의 펼쳐짐과 접힘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미러 몸체 일단부에 연결되는 보조미러 개폐수단과, 사각지대를 관측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미러 몸체의 내면에 제공되어 회전되는 볼록렌즈의 보조미러와, 상기 보조미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미러 개폐수단은, 보조미러 몸체를 개폐시키도록 끝단부가 힌지축에 의해 고정된 레버와, 상기 레버에 의한 보조미러 몸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토션스프링을 구성요소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 는 본 고안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은 보조미러의 격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 는 사각지대 관측을 위해 보조미러를 전개시킨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같이, 아웃사이드 미러(70)의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차량의 사각지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보조미러 몸체(10)가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조미러 몸체(10)의 끝단부에는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70)와의 체결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후크(10a)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미러 몸체(10)의 펼쳐짐과 접힘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미러 몸체(10)의 일단부에 보조미러 개폐수단을 설치한다.
즉, 상기 보조미러 개폐수단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보조미러 몸체(10)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보조미러 몸체(10)의 회전 중심축을 구성하는 힌지축(20)상에 레버(30)의 끝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버(30)와 힌지축(20)상에는 상기 보조미러 몸체(10)의 보다 신속한 펼쳐짐을 위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토션스프링(40)을 부설하여 주게 된다.
이같은, 상기 보조미러 몸체(10)의 내면에는 사각지대를 보다 넓은 시야각으로 보기 위해 회전동작하는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는 보조미러(5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보조미러(50)의 원활한 회전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60)가 상기 보조미러(40)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일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시키는 도중 차량의 사각지대 즉, 아웃사이드 미러(70)상에 나타나지 않는 측방의 시야를 확보하고자 아웃사이드 미러(70)의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격납된 보조미러 몸체(10)를 레버(30)를 이용하여 지면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보조미러 몸체(10)는 레버(30)의 개폐동작에 따라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오픈된 상태가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픈된 보조미러 몸체(10)는 힌지축(20)에 체결되면서 아웃사이드 미러(70) 및 보조미러 몸체(10)에 양끝단이 지지된 토션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므로서, 차량의 주행시 바람으로 인한 상기 보조미러 몸체(10)의 밀림현상은 방지된다.
이때, 상기 보조미러 몸체(10)에는 볼록렌즈의 보조미러(50)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장된 볼록렌즈의 보조미러(50)에 의해 아웃사이드 미러(70)상에 나타나지 않는 차량의 사각지대를 볼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보조미러(50)는 콘트롤러(60)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서, 상기 콘트롤러(60)의 제어동작에 따라 보조미러(50)는 회전동작을 함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사각지대의 지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오픈된 보조미러 몸체(10)를 다시 아웃사이드 미러(70)로 격납시키고자 운전자가 보조미러 몸체(10)를 밀면, 상기 보조미러 몸체(10)의 끝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후크(10a)에 의해 아웃사이드 미러(70)에 체결되므로서, 상기 보조미러 몸체(10)는 아웃사이드 미러(70)에 격납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부에 미러상에 나타나지 않는 사각지대를 볼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격납되는 방식을 이용한 보조미러를 장착시키므로서, 차량 주행시 운전자에게 다양한 시야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부면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설되도록 끝단부에 후크가 돌출되어 형성된 보조미러 몸체와, 상기 보조미러 몸체의 펼쳐짐과 접힘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미러 몸체 일단부에 연결되는 보조미러 개폐수단과, 사각지대를 관측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미러 몸체의 내면에 제공되어 회전되는 볼록렌즈의 보조미러와, 상기 보조미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미러 개폐수단은, 보조미러 몸체를 개폐시키도록 끝단부가 힌지축에 의해 고정된 레버와, 상기 레버에 의한 보조미러 몸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토션스프링을 구성요소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
KR2019960048393U 1996-12-12 1996-12-12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 KR200144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393U KR200144386Y1 (ko) 1996-12-12 1996-12-12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393U KR200144386Y1 (ko) 1996-12-12 1996-12-12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420U KR19980035420U (ko) 1998-09-15
KR200144386Y1 true KR200144386Y1 (ko) 1999-06-15

Family

ID=5398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8393U KR200144386Y1 (ko) 1996-12-12 1996-12-12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3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420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4386Y1 (ko)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미러
EP0515616B1 (en) Semi-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un visor mirrors provided with a hinged cover
KR20010001742U (ko) 차량용 햇빛가리개의 배니티미러구조
JPH0495543A (ja) 車載テレビ格納装置
KR0140686Y1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KR0119720B1 (ko)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자동차 트렁크리드 개방장치
KR100969076B1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미러 커버의 2중 선회 구조
KR0116317Y1 (ko) 백미러 스테이의 접동구조
KR960010641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JPH10100670A (ja) 自動車用のサンバイザー装置
KR0135974Y1 (ko) 자동차 뒷좌석 확인용 안전미러
KR0184414B1 (ko) 자동차용 보조 사이드미러
KR19980045299A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KR0136942Y1 (ko) 승용차 뒷좌석용 암 레스트
KR100212262B1 (ko) 자동차의 실내 접이식 백미러
KR19990030495U (ko) 차량의 전방 시계 관찰용 백미러
KR200238155Y1 (ko) 차량용사이드미러
KR0118531Y1 (ko) 자동차의 실외후사경 접힘구조
KR19990035031A (ko) 자동차용 룸밀러의 구조
KR200206402Y1 (ko) 차량용 선바이저
KR20000009904U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빗물 가리개
KR100229446B1 (ko) 차량용 눈부심 방지 후방 미러
KR19990034877A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미러
KR19980029227U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9990017885U (ko) 차량에 구비된 자동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