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938Y1 -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 - Google Patents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938Y1
KR200143938Y1 KR2019960045659U KR19960045659U KR200143938Y1 KR 200143938 Y1 KR200143938 Y1 KR 200143938Y1 KR 2019960045659 U KR2019960045659 U KR 2019960045659U KR 19960045659 U KR19960045659 U KR 19960045659U KR 200143938 Y1 KR200143938 Y1 KR 200143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arm
bush
tube
bolt
plastic i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764U (ko
Inventor
신진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5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938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9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60G2204/4104Bushings having modified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 어퍼아암(10)의 양단에 상호대칭되게 보울트(20)와 너트(30)로 체결되어 쇽업소오버에 지지되는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에 있어서, 상기 부시(70)는, 쇽업소오버에 체결되는 로드(51)가 용접된 금속성의 외측관(71)과, 상기 보울트(20)가 끼워지도록 외측관(71)의 내부에 배치되되 한쪽끝의 내경이 작아진 소정길이의 내측계단부(721)를 갖춘 플라스틱내관(72) 및, 상기 외측관(71)과 플라스틱내관(72)의 사이에 성형된 고무(73)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플라스틱내관(72)에 끼워지되 상기 내측계단부(721)와 일치되어 결합되도록 외측계단부(741)가 형성된 금속재료관(74)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어퍼아암의 요동방향 마찰저항을 줄여서 승차감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
본 고안은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퍼아암의 요동방향 마찰저항을 줄여서 승차감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된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시본형(Wishbone Type)은 앞현가장치에 오래전부터 가장많이 사용되는 형식이며, V형으로된 상하 2개의 서스펜션아암이 축에 의해 프레임에 설치되고, 각 서스펜션 아암의 끝은 보올조인트에 의해 조항저클에 결합되어 있다.
이 형식은 바퀴에 발생하는 제동력이나 선회구심력은 모두 서스펜션아암이 지지하고, 스프링은 수직방향의 하중만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이 위시본형은 스프링의 배치나 사용하는 스프링의 종류에 따라 그 형식이 나누어지는 바, 상하 2개의 서스펜션 아암과 서스펜션 아암에 나사부시로 결합한 아암샤프트, 아래 서스펜션 아암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코일스프링 및 2개의 보올 조인트에 의하여 현가아암에 연결되어, 상하운동과 조향하기 위한 회전운동을 하는 조향너클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형식은 상하 서스펜션아암의 길이에 따라 캠버 또는 트레드가 변화하므로 타이어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아래아암을 위아암보다 길게 하여 캠버의 변화가 다소 커져도 트레드의 변화를 적게 한 것이 많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윗쪽 서스펜션아암 즉, 어퍼아암(10)은 보울트(20)와 너트(30)로 체결된 부시를 매개로 쇽업소오버에 지지되게 되는 바, 그 제1실시예의 부시(40)로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쇽업소오버에 체결되는 로드(51)가 용접된 금속성의 외측관(41)과, 상기 보울트(20)가 끼워지도록 외측관(41)의 내부에 배치된 플라스틱내관(42) 및, 상기 외측관(41)과 플라스틱내관(42)의 사이에 성형된 고무(43)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시의 구조는 상기 플라스틱내관(42)이 어퍼아암(10)에 보울트(20)와 너트(30)로 고정되어, 비틀림특성이 좋지 않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시(60)가 제안되었는 바, 상기 쇽업소오버에 체결되는 로드(51)가 용접된 금속성의 외측관(61)과, 상기 보울트(20)가 끼워지도록 외측관(61)의 내부에 배치된 플라스틱내관(62)의 안쪽에 이 플라스틱내관(62)보다 길이가 긴 금속재료관(63)을 삽입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64는 고무이다.
따라서 상기 플라스틱내관(42)과 금속재료관(51)이 서로 미끄러지도록 되어 비틀림특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플라스틱내관(62)과 금속재료관(63)이 서로 미끄러지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어퍼아암(10)의 기하학적인 위치가 변경되어 조종안정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플라스틱 내관과 금속재료관의 형상을 계단진 형상으로 끼워맞추도록 하여 좌우가 대칭되게 어퍼아암에 설치한 구조로, 어퍼아암의 요동방향 마찰저항을 줄여서 승차감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된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1실시예의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가 어퍼아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2실시예의 위치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가 어퍼아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가 어퍼아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어퍼아암 20 : 보올트
30 : 너트 51 : 로드
70 : 부시 71 : 외측관
72 : 플라스틱관 721 : 내측계단부
73 : 고무 74 : 금속재료관
741 : 외측계단부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어퍼아암의 양단에 상호대칭되게 보울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쇽업소오버에 지지되는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쇽업소오버에 체결되는 로드가 용접된 금속성의 외측관과, 상기 보울트가 끼워지도록 외측관의 내부에 배치되되 한쪽끝의 내경이 작아진 소정길이의 내측계단부를 갖춘 플라스틱내관 및, 상기 외측관과 플라스틱내관의 사이에 성형된 고무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플라스틱내관에 끼워지되 상기 내측계단부와 일치되어 결합되도록 외측계단부가 형성된 금속재료관으로 아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가 어퍼아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어퍼아암(10)에 보울트(20)와 너트(30)로 체결된 부시를 매개로 쇽업소오버에 지지되게 되는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에 있어서, 상기부시(70)는, 쇽업소오버에 체결되는 로드(51)가 용접된 금속성의 외측관(71)과, 상기 보울트(20)가 끼워지도록 외측관(71)의 내부에 배치되되 한쪽끝의 내경이 작아진 소정길이의 내측계단부(721)를 갖춘 플라스틱내관(72) 및, 상기 외측관(71)과 플라스틱내관(72)의 사이에 성형된 고무(73)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플라스틱내관(72)에 끼워지되 상기 내측계단부(721)와 일치되어 결합되도록 외측계단부(741)가 형성된 금속재료관(74)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부시(70)는 어퍼아암(10)의 양단에 끼워져 조립될 때 좌우측의 측면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게 상호대칭되게 조립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부시(70)를 사용하면 플라스틱내관(72)과 금속재료관(74)이 상호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비틀림특성이 좋게 되고, 또한 상기 어퍼아암(10)의 좌우측에 대칭되게 설치한 플라스틱내관(72)과 금속재료관(74)의 내/외측계단부(721, 741)에 의해 측면의 충격을 상쇄시켜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조종안정성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시에 의하면, 플라스틱내관과 금속재료관의 형상을 계단진 형상으로 끼워맞추도록 하여 좌우가 대칭되게 어퍼아암에 설치되어, 어퍼아암의 요동방향 마찰저항을 줄여서 승차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어퍼아암(10)의 양단에 상호대칭되게 보울트(20)와 너트(30)로 체결되어 쇽업소오버에 지지되는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에 있어서, 상기 부시(70)는, 쇽업소오버에 체결되는 로드(51)가 용접된 금속성의 외측관(71)과, 상기 보울트(20)가 끼워지도록 외측관(71)의 내부에 배치되되 한쪽끝의 내경이 작아진 소정길이의 내측계단부(721)를 갖춘 플라스틱내관(72) 및, 상기 외측관(71)과 플라스틱내관(72)의 사이에 성형된 고무(73)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플라스틱내관(72)에 끼워지되 상기 내측계단부(721)와 일치되어 결합되도록 외측계단부(741)가 형성된 금속재료관(7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
KR2019960045659U 1996-12-05 1996-12-05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 KR200143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659U KR200143938Y1 (ko) 1996-12-05 1996-12-05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659U KR200143938Y1 (ko) 1996-12-05 1996-12-05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764U KR19980032764U (ko) 1998-09-05
KR200143938Y1 true KR200143938Y1 (ko) 1999-06-15

Family

ID=1947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659U KR200143938Y1 (ko) 1996-12-05 1996-12-05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9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461B1 (ko) 2019-09-05 2024-04-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압축기 마운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764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9708A (en) Off-road vehicle
US4269432A (en)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US7185902B1 (en) Strut suspension with pivoting rocker arm
US4538831A (en) Suspension for vehicles
KR940013896A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US5405162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for steerable wheel
US5421606A (en) Steerable front wheel suspension for vehicle
JP2518349B2 (ja) 車輌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JPH05162518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7077407B2 (en) Interconnected suspension
KR200143938Y1 (ko) 위시본형 서스펜션의 어퍼아암용 부시
JPH05169941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EP0506141A1 (en) Suspension mechanism for vehicles
KR0136258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S621762Y2 (ko)
KR200237453Y1 (ko) 자동차의 위시본형 조향장치
KR0139579Y1 (ko) 전륜 독립현가장치
JP4254595B2 (ja) サスペンション支持構造
KR100201471B1 (ko)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KR20070102133A (ko) 차량용 위시본식 현가장치
JP3180833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69847Y2 (ja) ダブルリンク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516994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S604804Y2 (ja) 自動車の後輪懸架装置
JPH0858326A (ja) 操舵車輪用独立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