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867Y1 -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43867Y1 KR200143867Y1 KR2019970013021U KR19970013021U KR200143867Y1 KR 200143867 Y1 KR200143867 Y1 KR 200143867Y1 KR 2019970013021 U KR2019970013021 U KR 2019970013021U KR 19970013021 U KR19970013021 U KR 19970013021U KR 200143867 Y1 KR200143867 Y1 KR 2001438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fixing nut
- eye bolt
- vehicle
- tow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483—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dapted for being mounted to the side of a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2—Bolt or shackle-type coupl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에 관한 고안으로서, 특히 사이드 멤버(10)에 고정되는 브래킷(20)과, 견인고리(H)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아이볼트(40)가 체결되는 아이볼트 결합단(32)이 상기 브래킷(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너트(30)와, 상기 브래킷(20)의 내측면과 상기 고정너트(30)의 외주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이아프램(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를 제공하여, 아이볼트와 체결되는 고정너트가 그 일단의 아이볼트 결합단에서 브래킷 단부와 지지될 뿐만 아니라 그 타단은 브래킷의 내측면에 별도로 설치된 다이아프램에 의하여 지지토록하여서, 결국 고정너트의 양단이 브래킷 전체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견인고리 결합구의 횡방향 전단력에 대한 전단저항을 향상하여, 견인 자동차와 피견인 자동차의 위치가 직선축선을 벗어나는 경우에 견인고리가 끼워지는 아이볼트 및 이와 체결된 고정너트에 발생하는 횡방향 전단력에 의하여 고정너트와 브래킷 사이의 결합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에 관한 고안으로서, 특히 사이드 멤버에 고정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브래킷과, 견인고리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아이볼트가 체결되는 아이볼트 결합단이 상기 브래킷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브래킷의 내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를 제공하여, 아이볼트와 체결되는 고정너트가 그 일단의 아이볼트 결합단에서 브래킷 단부와 지지될 뿐만 아니라 그 타단은 브래킷의 내측면에 별도로 설치된 다이아프램에 의하여 지지토록하여서, 결국 고정너트의 양단이 브래킷 전체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견인고리 결합구의 횡방향 전단력에 대한 전단저항 및 전단파괴 강도를 향상하여, 견인 자동차와 피견인 자동차의 위치가 직선축선을 벗어나는 경우에 견인고리가 끼워지는 아이볼트 및 이와 체결된 고정너트에 발생하는 횡방향 전단력에 의하여 고정너트와 브래킷 사이의 결합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자체에 구비된 엔진 등의 동력 발생 장치나 동력 전달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고장이나 자동차 사고 등의 경우에 다른 자동차, 즉 견인 자동차,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고장 또는 사고 자동차, 즉 피견인 자동차,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게 될 때, 견인 자동차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 등의 견인고리가 피견인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여 사이드 멤버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견인고리 결합구의 아이볼트에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견인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등의 다양한 견인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아이볼트를 이용한 종래의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및 도 2의 결합상태 평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1)에 고정되는 브래킷(2)과, 견인고리(h)가 끼워지도록 끼움공(4a)이 형성된 아이볼트(4)가 체결되는 아이볼트 결합단(3a)의 외측면이 상기 브래킷(2)의 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2)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너트(3)로 견인고리 결합구(5)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견인 자동차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고장 또는 사고 자동차, 즉 피견인 자동차,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견인 자동차에 와이어 등으로 고정 설치되는 견인고리(h)를 후방 피견인 자동차의 사이드 멤버(1)의 단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견인고리 결합구(5)의 아이볼트(4)의 끼움공(4a)에 끼워서 결합시킴으로써 견인 자동차와 피견인 자동차를 연결하게 되는데, 앞서 진행하는 견인 자동차가 먼저 선회하여서 견인 자동차와 피견인 자동차의 위치가 직선축선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는 견인고리(h)가 결합된 아이볼트(4) 및 이와 체결된 고정너트(3)에는 횡방향 전단력이 발생하게 되고, 종래의 견인고리 결합구(5)에 따르면 브래킷(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너트(3)의 용접 고정 지점이 고정너트(3)의 아이볼트 결합단(3a)과 브래킷(2)의 단부사이의 한 곳에만 존재하고 이곳에 전단응력이 집중 되어서 이러한 횡방향 전단력을 이길 수 있도록 하는 전단저항이 작기 때문에 고정너트(3)와 브래킷(2) 사이의 결합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아이볼트와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단을 브래킷 단부와 지지되는 아이볼트 결합단에서 뿐만 아니라 브래킷의 내측면에서도 형성함으로써 견인고리 결합구의 횡방향 전단력에 대한 전단저항을 향상하여, 견인 자동차와 피견인 자동차의 위치가 직선축선을 벗어나는 경우에 견인고리가 끼워지는 아이볼트 및 이와 체결된 고정너트에 발생하는 횡방향 전단력에 의하여 고정너트와 브래킷 사이의 결합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견인고리가 결합되도록 사이드 멤버의 일단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에 있어서, 상기 견인고리 결합구가 사이드 멤버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견인고리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아이볼트가 체결되는 아이볼트 결합단이 상기 브래킷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브래킷의 내측면과 상기 고정너트의 외주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의 결합상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의 결합상태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 견인고리 10 : 사이드 멤버
20 : 브래킷 22 : 고정공
24 : 다이아프램 30 : 고정너트
32 : 아이볼트 결합단 40 : 아이볼트
42 : 끼움공 50 : 견인고리 결합구
본 고안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고안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의 결합상태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는 견인고리(H)가 결합되도록 사이드 멤버(10)의 일단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50)에 있어서, 상기 견인고리 결합구(50)는 사이드 멤버(10)에 고정되는 브래킷(20)과, 견인고리(H)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아이볼트(40)가 체결되는 아이볼트 결합단(32)이 상기 브래킷(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너트(30)와, 상기 브래킷(20)의 내측면과 상기 고정너트(30)의 외주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이아프램(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고정너트(30)의 일단, 즉 아이볼트 결합단(32)은 내주면이 나사 가공되어서 아이볼트(40)와 나사체결로 결합되며, 또한 상기 아이볼트 결합단(32)의 외주면은 사이드 멤버(10)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2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공(22)에 끼워져 용접 등의 방법으로 브래킷(20)의 단부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너트(30)는 브래킷(20)의 내부 방향으로 설치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고정너트(30)의 타단은 브래킷(20)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다이아프램(24)에 의하여 그 외주면이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50)는 고정너트(30)의 일단에 형성된 아이볼트 결합단(32) 내측면에 아이볼트(40)가 나사체결된 상태에서, 아이볼트(40)의 끼움공(42)에 견인 자동차의 견인고리(H)가 끼워져 결합되어서 견인 자동차 및 피견인 자동차의 견인 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이 경우에 앞서 진행하는 견인 자동차가 먼저 선회하여서 견인 자동차와 피견인 자동차의 위치가 직선축선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 견인고리(H)가 결합된 아이볼트(40) 및 이와 체결된 고정너트(30)에는 횡방향 전단력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도, 본 고안의 견인고리 결합구(50)에 따르면 브래킷(2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너트(30)가 고정너트(30) 일단의 아이볼트 결합단(32)과 브래킷(20)의 단부사이에만 고정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너트(30)의 타단도 브래킷(20)의 내부에서 다이아프램(22)과 그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고정너트(30)의 양단이 브래킷(20) 전체와 일체로 지지되어서 보다 큰 전단저항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횡방향 전단력이 작용하여도 브래킷(20)과 고정너트(30) 사이의 결합부의 전단파괴 강도가 다이아프램(24)에 의한 지지에 의하여 휠씬 증가하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에 따르면, 브래킷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너트가 그 일단의 아이볼트 결합단은 브래킷의 단부에 고정 지지되고 그 타단은 브래킷의 내부에서 다이아프램과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고정너트는 이와 결합되어 지지하는 브래킷 전체와 보다 큰 전단저항을 가지도록 지지됨에 따라서, 견인 자동차가 먼저 선회하여서 견인 자동차와 피견인 자동차의 위치가 직선축선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횡방향 전단력에 보다 강력하게 저항할 수 있게 되어서 견인고리 결합구의 전단파괴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 견인고리(H)가 결합되도록 사이드 멤버(10)의 일단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50)에 있어서,상기 견인고리 결합구(50)는 사이드 멤버(10)에 고정되는 브래킷(20)과, 견인고리(H)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아이볼트(40)가 체결되는 아이볼트 결합단(32)이 상기 브래킷(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너트(30)와, 상기 브래킷(20)의 내측면과 상기 고정너트(30)의 외주면 사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이아프램(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3021U KR200143867Y1 (ko) | 1997-05-31 | 1997-05-31 |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13021U KR200143867Y1 (ko) | 1997-05-31 | 1997-05-31 |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8388U KR19980068388U (ko) | 1998-12-05 |
KR200143867Y1 true KR200143867Y1 (ko) | 1999-06-15 |
Family
ID=1950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13021U KR200143867Y1 (ko) | 1997-05-31 | 1997-05-31 |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43867Y1 (ko) |
-
1997
- 1997-05-31 KR KR2019970013021U patent/KR20014386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8388U (ko) | 1998-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0111902A (ko) |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 |
JP2008007044A (ja) | 牽引フックの取付構造 | |
JP4162043B2 (ja) | 車両用牽引装置 | |
JP2003002136A (ja) | 自動車の牽引フック取付構造 | |
KR200143867Y1 (ko) | 자동차의 견인고리 결합구 | |
KR200176427Y1 (ko) | 자동차 보조 브레이크 등의 마운팅 브래킷 | |
KR0121598Y1 (ko) | 차량용 견인고리 | |
KR100456943B1 (ko) | 자동차용 리어 시트 벨트 엥커 마운팅 구조 | |
JP2005119406A (ja) | 牽引フック取付部構造 | |
JPH10329559A (ja) | プロペラシャフトガード | |
KR100333854B1 (ko) | 트레일링 암의 차체에 대한 연결 구조 | |
KR100395122B1 (ko) | 차량의 리어 견인 후크구조 | |
JPS6340322Y2 (ko) | ||
KR200155730Y1 (ko) | 자동차 견인용 걸고리구조 | |
RU2020081C1 (ru) | Тягово-сцеп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 |
KR100520365B1 (ko) | 차량용 착탈식 견인 고정구 | |
KR100535550B1 (ko) | 차량 후방 견인 후크장치 | |
KR19980051943A (ko) | 차량용 견인훅 어셈블리 | |
RU25711U1 (ru) | Тягово-сцеп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KR200151626Y1 (ko) | 자동차의 견인용 걸이 설치구조 | |
KR200154021Y1 (ko) |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마운팅 구조 | |
KR19980050735U (ko) | 자동차의 너클과 타이로드의 결합구조 | |
JP2000177345A (ja) | 自動車の牽引用フックの構造 | |
KR19980033603U (ko) | 조립식 견인 후크 | |
KR20020032947A (ko) | 자동차의 견인후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