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818Y1 -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818Y1
KR200143818Y1 KR2019960057652U KR19960057652U KR200143818Y1 KR 200143818 Y1 KR200143818 Y1 KR 200143818Y1 KR 2019960057652 U KR2019960057652 U KR 2019960057652U KR 19960057652 U KR19960057652 U KR 19960057652U KR 200143818 Y1 KR200143818 Y1 KR 200143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ack
bumper
rail
do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517U (ko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7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818Y1/ko
Publication of KR199800445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5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8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xterior fittings, e.g. bumpers, lights, wipers, exhau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범퍼 적재 랙의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조립 공장에서 범퍼를 차체에 조립시 작업자의 힘이 많이 소모 되어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져 작업 기피현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상부 지지대(20)와 하부 지지대(30)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 지지대(40)와, 소정의 경사를 갖고, 상부레일 지지대(26)(26A)에 의해 지지되며, 상면에 형성된 로울러 홈(27) 내측에 복수개의 로울러(28)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턱(29)이 돌출되어 형성된 상부 레일(25)과, 소정의 경사를 갖고, 하부레일 지지대(36)에 지지되며, 상면에 형성된 로울러 홈(27A) 내측에 복수개의 로울러(28)가 설치된 하부 레일(35)과, 상기 하부 지지대(30) 하방에는 브라켓(74)에 안치된 복수개의 바퀴(75)(75A)로 이루어진 랙(10)과; 상기 바퀴(75)가 안내홈(52)에 삽입되고 단면이 ?quot;자 형상인 가이드 레일(50)과; 상면이 만곡부를 형성하고한 받침부재(62)와, 상기 받침부재(62)의 저면에 부착된 보강부재(64)와, 상기 보강부재(64)의 저면에 돌리 로울러(66)가 설치된 돌리(60)로 구성하여, 범퍼가 적재된 랙이 용이하게 이송되고 상기 범퍼가 적재된 돌리가 자동으로 작업자가 있는곳까지 이송되며 작업자가 범퍼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조립 공장에서 사용되는 범퍼를 적재하여 이송하기 위한 랙(RACK)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의 사이에 수직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부 레일과 하부레일이 설치된 랙(RACK)과 랙(RACK)이 유도되는 가이드 레일 및 범퍼가 안착되는 돌리(DOLLY)로 이루어져 랙(RACK)을 용이하게 운반 가능하고 범퍼를 돌리(DOLLY)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적재한 후 자동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 조립 공장에서 범퍼를 차체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범퍼를 들고 적재대에 옮겨 적재한 후에 조립작업을 했기 때문에 작업자의 힘이 많이 소모 되므로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져 작업 기피현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 및 수직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부 레일과 하부레일이 경사지게 설치된 랙(RACK)과 랙(RACK)이 유도되는 가이드 레일과 범퍼가 안착되는 돌리(DOLLY)를 구성하여 랙(RACK)이 용이하게 이동되고 범퍼를 적재한 돌리(DOLLY)가 자동으로 작업자가 있는곳 까지 이송 되어 범퍼를 운반시 작업자의 힘이 많이 드는 불편함을 해결하고 작업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대향되게 형성된 상부 가로지지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상부 세로지지대가 설치된 상부 지지대와, 대향되게 형성된 하부 가로지지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하부 세로지지대가 설치된 하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 지지대와,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갖고, 상기 상부 지지대 상방에 상부레일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면에 형성된 로울러 홈 내측에 복수개의 로울러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턱이 돌출되어 형성된 상부 레일과,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갖고, 상기 하부 지지대 상방에 하부레일 지지대에 지지되며, 상면에 형성된 로울러 홈 내측에 복수개의 로울러가 설치된 하부 레일과, 상기 하부 지지대 하방에는 브라켓에 안치된 복수개의 바퀴로 이루어진 랙(RACK)과; 상기 바퀴가 안내홈에 삽입되고 단면이 ?quot;자 형상인 가이드 레일과; 범퍼가 안착되게 상면이 만곡부를 형성하고, 재질이 고무이며, 대향되게 형성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에 부착되고, 재질이 강철이며, ㄷ자 형상인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저면에 돌리 로울러가 설치된 돌리(DOLLY)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돌리(DOLLY)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랙(RACK) 멈춤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랙(RACK) 15 : 범퍼
20 : 상부지지대 21 : 상부 가로지지대
22 : 상부 세로지지대 25 : 상부레일
26,26A : 상부 레일지지대 27, 27A : 로울러 홈
28 : 로울러 29 : 단턱
30 : 하부 지지대 31 : 하부 가로지지대
32 : 하부 세로지지대 35 : 하부레일
36,36A : 하부 레일지지대 40 : 수직 지지대
50 : 가이드 레일 52 : 안내홈
60 : 돌리(DOLLY) 62 : 받침부재
64 : 보강부재 66 : 돌리 바퀴
70 : 스토퍼 레버 72 : 와이어
74 : 브라켓 75,75A : 바퀴
76 : 마찰부재 78 : 스프링
도 1은 본 고안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 범퍼 적재 랙(RACK) 운반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 돌리(DOLLY)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 랙(RACK)의 멈춤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랙(RACK)(10)은 대향되게 형성된 상부 가로지지대(2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상부 세로지지대(22)가 설치된 상부 지지대(20)와, 대향되게 형성된 하부 가로지지대(3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하부 세로지지대(32)가 설치된 하부 지지대(30)와, 상기 상부 지지대(20)와 하부 지지대(30)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 지지대(40)와, 상기 상부 지지대(20) 상방에 상부레일 지지대(26)(26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상부레일 지지대(26)가 상기 상부레일 지지대(26A)보다 높게 설치되어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갖으며, 상면에 형성된 로울러 홈(27) 내측에 복수개의 로울러(28)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턱(29)이 돌출되어 형성된 상부 레일(25)과, 상기 하부 지지대(30) 상방에 하부레일 지지대(36)(36A)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레일 지지대(36)가 상기 하부레일 지지대(36A)보다 높게 설치되어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갖으며, 상면에 형성된 로울러 홈(27A) 내측에 복수개의 로울러(28)가 설치된 하부 레일(35)과, 상기 하부 지지대(30) 하방에는 브라켓(74)에 안치된 복수개의 바퀴(75)(75A)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50)은 상기 바퀴(75)(75A)가 안내홈(52)에 삽입되고 단면이 자 형상인 것이다.
그리고, 돌리(DOLLY)(60)는 범퍼(15)가 안착되게 상면이 만곡부를 형성하고, 재질이 고무이며, 대향되게 형성된 받침부재(62)와, 상기 받침부재(62)의 저면에 부착되고, 재질이 강철이며, ㄷ자 형상인 보강부재(64)와, 상기 보강부재(64)의 저면에 돌리 로울러(66)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3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스토퍼 레버(70) 하단에 와이어(72)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72) 타단이 브라켓(74) 내부에 중앙부가 힌지 결합된 마찰부재(76)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마찰부재(76)의 하단은 스프링(78)에 의해 탄지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동차 조립공장에서 범퍼(15)를 조립중인 차체에 결합 시키기 위해서는 범퍼(15)를 랙(RACK)(10)에 적재하여 작업 하고자 하는데 까지 운반 하여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우선 범퍼(15)를 랙(RACK)(10)의 상부레일(25)에 놓여진 돌리(DOLLY)(60)의 받침부재(62)위에 올려 놓는다.
보통 하나의 랙(RACK)(10)의 상부 레일지지대(26)(26A)에 형성된 상부레일(25)에는 10개의 돌리(DOLLY)(60)가 올려질 수 있기 때문에 10개의 범퍼(15)를 올려 놓을 수 있고, 상기 돌리(DOLLY)(60)의 받침부재(62)는 재질이 고무로 되어 있어 범퍼(15)적재시 상기 범퍼(15)가 훼손 되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하나의 랙(RACK)(10)의 상부레일(25)의 상면에 놓인 돌리(DOLLY)(60)에 범퍼(15)가 가득 적재되면 상기 범퍼(15)가 적재되지 않은 랙(RACK)(10)에 범퍼(15)를 적재한다.
상기와 같이 범퍼(15)가 랙(RACK)(10)에 가득 적재되면, 상기 랙(RACK)(10)을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 시킨다.
이때, 바닥에는 대향되게 가이드 레일(5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랙(RACK)(10)의 하부 지지대(30)의 저면에 설치된 바퀴(75)(75A)가 상기 가이드 레일(50)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고 유도된다.
상기와 같이 랙(RACK)(10)이 가이드 레일(50)에 유도되어 작업 하고자 하는 위치로 옮겨지면, 랙(RACK)(10)의 하부 세로 지지대(32)의 중앙부에 힌지 결합된 스토퍼 레버(70)를 젖힌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 레버(70)를 젖히면, 상기 스토퍼 레버(70)의 하부에 연결된 와이어(72)가 당겨지게 되고, 상기 와이어(72)는 브라켓(74)에 안치되어 힌지결합된 마찰부재(76)의 상단을 당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찰부재(76)의 상단이 당겨지면, 상기 마찰부재(76)의 중앙부가 힌지결합 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이 이동하여 바퀴(75A)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마찰부재(76)와 바퀴(75A)의 마찰에 의해 랙(RACK)(10)이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랙(RACK)(10)의 상부레일 지지대(26A) 쪽의 상부레일(25)에서 범퍼(15)를 운반하여 차제에 결합 시키고, 상기 범퍼(15)가 분리된 돌리(DOLLY)(60)는 하부레일 지지대(36A) 쪽의 하부레일(35)에 올려 놓는다.
상기와 같이 하면, 일측의 상부레일 지지대(26)가 타측의 상부레일 지지대(26A)보다 높아 경사를 이루고 있어, 상부레일 지지대(26) 쪽의 상부레일(25)에서 범퍼(15)와 돌리(DOLLY)(60)를 들어내면, 상기 상부레일(25)에 놓여진 범퍼(15)가 적재된 각각의 돌리(DOLLY)(60)들이 자체 무게 의해 상기 상부레일 지지대(26) 쪽으로 자동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돌리(DOLLY)(60)의 보강부재(64)의 양측 저면이 상부레일(25)의 로울러 홈(27) 내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로울러(28)에 접촉되어 범퍼(15)를 적재한 돌리(DOLLY)(60)가 용이하게 이동 되고, 상기 돌리(DOLLY)(60)의 저면에 설치된 돌리 로울러(66)가 상기 상부레일(25)의 단턱(29)에 지지되며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돌리(DOLLY)(60)가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레일(25)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일측의 하부레일 지지대(36A)가 타측의 하부레일 지지대(36)보다 높아 경사를 이루고 있어, 하부레일 지지대(36A)쪽의 하부레일(35)의 상면에 범퍼(15)가 분리된 돌리(DOLLY)(60)를 올려 놓으면, 상기 돌리(DOLLY)(60)의 자체 무게에 의해 상기 하부레일 지지대(36)쪽으로 자동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범퍼(15)가 분리된 돌리(DOLLY)(60)의 보강부재(64) 양측 저면이 하부레일(35)의 로울러 홈(27A) 내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로울러(28)에 접촉되어, 범퍼(15)가 분리된 돌리(DOLLY)(60)가 용이하게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반복하여 상부레일(25)에 적재된 범퍼(15)가 전부 운반되어 차체에 결합되고 상기 범퍼(15)가 분리된 돌리(DOLLY)(60)가 하부레일(35)로 전부 이동되어 적재되면, 작업자는 하부 가로지지대(3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스토퍼 레버(70)를 풀어준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 레버(70)를 풀어주면 당겨졌던 와이어(72)가 풀리게 되고 마찰부재(78)가 하단에 탄지된 스프링(78)에 의해 바퀴(75A)에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마찰부재(78)가 바퀴(75A)에서 분리되면, 다시 바퀴(75A)가 회전할 수있게 되어 랙(RACK)(10)이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후에 작업자는 상부레일(25)에 적제 되었던 범퍼(15)가 전부 조립되고 돌리(DOLLY)(60)만 하부레일(35)에 적재된 랙(RACK)(10)에 다시 새로운 범퍼(15)를 적재하기 위해 범퍼(15) 적재 작업을 하는 곳으로 이송 시킨다.
상기와 같이 랙(RACK)(15)이 이송되면, 작업자는 하부레일(35)에 놓여진 돌리(DOLLY)(60)를 상부레일(25)에 올려놓고 다시 범퍼(15)를 적재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는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의 사이에 수직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부 레일과 하부레일이 설치된 랙(RACK)과 랙(RACK)이 유도되는 가이드 레일과 범퍼가 안착되는 돌리(DOLLY)로 이루어져, 범퍼가 적재된 랙(RACK)이 용이하게 이송되고 상기 범퍼가 적재된 돌리(DOLLY)가 자동으로 작업자가 있는곳 까지 이송 되며 작업자가 범퍼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자동차 조립공장에서 사용되는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에 있어서, 대향되게 형성된 상부 가로지지대(2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상부 세로지지대(22)가 설치된 상부 지지대(20)와, 대향되게 형성된 하부 가로지지대(3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하부 세로지지대(32)가 설치된 하부 지지대(30)와, 상기 상부 지지대(20)와 하부 지지대(30)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 지지대(40)와,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갖고, 상기 상부 지지대(20) 상방에 상부레일 지지대(26)(26A)에 의해 지지되며, 상면에 형성된 로울러 홈(27) 내측에 복수개의 로울러(28)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턱(29)이 돌출되어 형성된 상부 레일(25)과,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갖고, 상기 하부 지지대(30) 상방에 하부레일 지지대(36)에 지지되며, 상면에 형성된 로울러 홈(27A) 내측에 복수개의 로울러(28)가 설치된 하부 레일(35)과, 상기 하부 지지대(30) 하방에는 브라켓(74)에 안치된 복수개의 바퀴(75)로 이루어진 랙(RACK)(10)과; 상기 바퀴(75)가 안내홈(52)에 삽입되고 단면이 ?quot;자 형상인 가이드 레일(50)과; 범퍼(15)가 안착되게 상면이 만곡부를 형성하고, 재질이 고무이며, 대향되게 형성된 받침부재(62)와, 상기 받침부재(62)의 저면에 부착되고, 재질이 강철이며, ㄷ자 형상인 보강부재(64)와, 상기 보강부재(64)의 저면에 돌리 로울러(66)가 설치된 돌리(DOLLY)(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3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스토퍼 레버(70) 하단에 와이어(72)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72) 타단이 브라켓(74) 내부에 중앙부가 힌지 결합된 마찰부재(76)의 상단에 연결며, 상기 마찰부재(76)의 하단에 스프링(78)에 의해 탄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
KR2019960057652U 1996-12-27 1996-12-27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 KR200143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652U KR200143818Y1 (ko) 1996-12-27 1996-12-27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652U KR200143818Y1 (ko) 1996-12-27 1996-12-27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517U KR19980044517U (ko) 1998-09-25
KR200143818Y1 true KR200143818Y1 (ko) 1999-06-15

Family

ID=1948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652U KR200143818Y1 (ko) 1996-12-27 1996-12-27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8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48B1 (ko) * 2008-03-19 2014-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패널 이송용 스토리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517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0806A (en) Elevating apparatus
JP2008239019A (ja) トレーラ
US6324992B1 (en) Hybrid carrying truck
JPH01502897A (ja) 運搬車
KR200143818Y1 (ko) 범퍼 적재 랙(rack)의 운반장치
JP4336782B2 (ja) 運搬用台車
JPH08133467A (ja) 荷物搬出入用のパレット移送装置
JP2596665B2 (ja) トラック等の荷台構造
JP3097431B2 (ja) 洗車機
JPS5820577Y2 (ja) スライド式ベルトコンベヤ
JP2579974Y2 (ja) 重量物の支承搬送装置
US3068809A (en) Conveyor trackway
JP3246422B2 (ja) 搬送装置
JPH088938Y2 (ja) 吊下搬送装置のハンガー揺れ止め機構
KR920005923Y1 (ko) 화물용 곤도라의 전복방지용 가이드 이송장치
JPH074493U (ja) 低位置での搬送物の移載を可能にした搬送車
JPS63220913A (ja) ロ−ルチヨツク組替装置
JPS6240224B2 (ko)
JPH09315530A (ja) コンベア装置
JPH0730565Y2 (ja) スラットコンベヤ
JPH04118364A (ja)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荷取り扱い装置
JPS603010Y2 (ja) 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H08113331A (ja) 運搬台車
JP4090149B2 (ja) 搬送体牽引用コンベヤ
JPS6040378Y2 (ja) 台車利用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