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458Y1 - 패널용 마감재 - Google Patents

패널용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458Y1
KR200143458Y1 KR2019960030211U KR19960030211U KR200143458Y1 KR 200143458 Y1 KR200143458 Y1 KR 200143458Y1 KR 2019960030211 U KR2019960030211 U KR 2019960030211U KR 19960030211 U KR19960030211 U KR 19960030211U KR 200143458 Y1 KR200143458 Y1 KR 200143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nishing material
layer
soft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867U (ko
Inventor
이문재
Original Assignee
이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재 filed Critical 이문재
Priority to KR2019960030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458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8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8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서로 다른 탄성과 유연성을 지닌 경질층과 연질층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구성된 패널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패널용 마감재는 그 사용시 벽면과 밀착되지 못하여 패널용 마감재와 벽면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므로 패널용 마감재와 벽면의 결합상태가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패널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패널(1)의 단부를 감싸주는 경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재질로 되는 경질층(21)과 벽면(W)과 접하는 연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재질로 되는 연질층(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질층(22)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착날개편(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마감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고안의 중요한 용도]
건축내장재패널, 선반패널등의 단부를 처리하는 패널용 마감재에 사용된다.

Description

패널용 마감재
본 고안은 탄성과 유연성이 서로 다른 합성수지로 구성된 패널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는 패널용 마감재의 한쪽 부분이 경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다른 한쪽 부분은 연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구성된 일체형의 패널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패널용 마감재는 건축내장용 패널 또는 선반용 패널등의 설치시 그 단부를 미려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의 패널용 마감재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재질은 경질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진다.
이러한 종래의 마감재는 단순히 패널의 단부를 미려하게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조된 것으로, 마감재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자체가 지니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여 외관이 미려하게 되나, 마감재가 평활성을 갖지 못하는 벽면 등과 접하게 되는 경우에는 벽면과 패널용 마감재가 밀착하지 못하여 벽면과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불필요한 간격은 벽면과 패널용 마감재의 결합상태의 미관을 해치고 그 사용시에는 패널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패널용 마감재와 벽면 사이의 틈에서 곤충이 서식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패널용 마감재를 연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하기도 하였으나, 연질의 합성수지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패널용 마감재를 벽면과 밀착시키기 위하여 그에 상당하는 두께와 탄력성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자체의 중량 및 유연성으로 인하여 패널용 마감재와 패널의 결합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위가 미려하게 처리되지 못하고, 벽면과 패널용 마감재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가 완벽하게 처리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패널용 마감재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패널용 마감재를 벽면과 밀착되게 하여 그 결합상태를 미려하게 하고, 사용시에는 패널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패널용 마감재의 단면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도시된 마감재의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패널용 마감재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W : 벽면
2 : 패널용 마감재 θ : 돌출각도
21 : 경질층 22 : 연질층
23 : 밀착날개편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패널용 마감재(2)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패널(1)의 단부를 감싸주는 경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재질로 되는 경질층(21)과 벽면(W)과 접하는 연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재질로 되는 연질층(22)으로 구성되며, 연질층(22)으로부터 돌출되어 점차로 얇아지는 밀착날개편(23)으로 구성된 패널용 마감재(2)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패널용 마감재(2)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로서 ㄷ자 형상의 경질층(21)의 외부면 전체를 연질층(22)으로 감싸준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외부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연질층(22)으로부터 밀착날개편(23)이 형성된 패널용 마감재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패널용 마감재(2)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경질층(21)과 그 경질층(21)의 외층 전체에 형성된 연질층(22)으로 구성되고, 연질층(22)으로부터 2개의 밀착날개편(23)이 상부와 하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패널용 마감재(2)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패널용 마감재(2)가 벽면(W)과 밀착되는 연질의 밀착날개편(23)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제조되어지는 것으로 그 물리적 특성과 유연성을 가지므로 벽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어도 자체의 탄력 및 유연성으로 인하여 벽면(W)과 밀착되어 패널용 마감재와 벽면의 결합상태가 미려해지고, 패널이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밀착날개편(23)은 벽면(W)과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하여 90도 보다도 크고 180도 보다는 작은 돌출각도(θ)로 형성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20도 내지 150도의 돌출각도(θ)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패널용 마감재(2)를 결합하여 패널을 설치하기 전에는 밀착날개편(23)이 일정한 돌출각도(θ)를 유지하고 있게 되나, 패널(1)과 패널용 마감재(2)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선반 등에 설치한 후에는 그 각도가 패널용 마감재(2)의 벽면(W)과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180도에 거의 근접하게 되므로 밀착날개편(23)이 원래의 돌출각도(θ)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탄성에 의하여 패널용 마감재(2)가 벽면에 더욱 밀착되게 되고, 또한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 인한 마찰력의 증가로 패널용 마감재(2)는 더욱 견고한 상태로 벽면(W)에 고정된다.
제5도는 상기와 같은 사실을 입증하기 위한 사용상태도로서, 제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패널용 마감재(2)를 사용하여 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패널용 마감재(2)의 설치는 먼저 패널용 마감재(2)를 패널(1)에 끼우고, 패널(1)에 끼워진 패널용 마감재(2)의 돌출각도(θ)가 벽면(W)과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180도를 약간 넘어 가도록 젖힌 다음 패널(1)과 패널용 마감재(2)를 벽면(W)사이에 끼워준 후, 패널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설치된 패널용 마감재(2)는 연질층(21)이 갖는 그 자체의 탄성과 유연성, 넓어진 접촉면적으로 인한 마찰력의 증가 및 패널용 마감재(2)의 밀착날개편(23)이 원래의 돌출각도(θ)로 되돌아 가려는 탄성에 의해 패널용 마감재(2)가 벽면(W)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그 결합상태가 미려하게 처리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패널(1)을 벽면(W)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지닌 패널용 마감재(2)의 재질 및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패널용 마감재(2)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단량체인 비닐클로라이드(CH2=CHCl)를 중합시킨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가 주로 사용된다.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탄성과 유연성은 그 조절이 가능한 데,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의 경우 첨가하는 가소제(예를 들면, DOP 등)의 함량조절에 의하며, 가소제는 일종의 용제와 같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의 연화온도를 내리며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합성수지가 탄성과 유연성을 갖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연질층(22) 및 경질층(21)은 열 가소성 합성수지에 대하여 가소제를 다량 첨가하여 높은 탄성과 유연성을 부여한 연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와 가소제를 가하지 않거나 소량 첨가하여 연질층에 비하여 비교적 경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패널용 마감재(2)의 경질층(21)과 연질층(22)의 접합은 여러 가지의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는 개별적으로 성형한 경질층(21)과 연질층(22)을 적당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시킬 수도 있고, 2개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경질층(21)을 성형한 후, 그 위체 연질층(22)을 성형하여 주는 열융착공정에 의해 접합시킬 수도 있다.
접착제를 사용하여 경질층(21)과 연질층(22)을 일체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의 도포공정과 경질층(21)과 연질층(22)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조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접착제의 도포과정에서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도중 경질층(21)과 연질층(22)이 분리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처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조를 위한 설비 및 공임등의 경제적인 문제를 발생하기도 한다.
2개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열융착에 의한 접합은 한벌의 금형내에 경질층(21)을 성형하기 위한 노즐부분을 형성하고 이어서 연질층(22)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주입구와 경질층(21)과 연질층(22)가 접합된 상태로 배출되는 노즐을 갖는 압출기를 사용하면 용이하게 제조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1차적으로 압출성형된 경질층(21)은 금형내에서 열에 의하여 연화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위에 연질의 용융된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접촉을 하게 되므로, 물성이 유사한 동종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는 그 표면에서 서로 엉킴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접촉면이 엉키어진 상태에서 2차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밀려나오게 되며, 이어서 냉각과정을 거치게 되어 마치 하나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경계면을 알 수 없는 물품으로 제조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등에 의하여 제조되고,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패널용 마감재는 연질층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부가 갖는 탄성과 유연성 및 밀착날개편이 원래의 돌출각도로 되돌아 가고자하는 탄성에 의하여 벽면이 매끄럽지 않더라도 패널용 마감재와 벽면이 밀착되어, 그 결합상태가 미려하게 처리되고 사용시에는 패널이 더욱 견고한 상태로 벽면에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패널의 단부를 처리하는 패널용 마감재에 있어서, 패널(1)의 단부를 감싸주는 경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재질로 되는 경질층(21)과 벽면(W)과 접하는 연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그 재질로 되는 연질층(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질층(22)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착날개편(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경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와 연질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마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질층(22)이 경질층(21)의 외층 전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마감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질층(22)이 경질층(21)의 외층 일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마감재.
KR2019960030211U 1996-09-20 1996-09-20 패널용 마감재 KR200143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211U KR200143458Y1 (ko) 1996-09-20 1996-09-20 패널용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211U KR200143458Y1 (ko) 1996-09-20 1996-09-20 패널용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867U KR19980016867U (ko) 1998-06-25
KR200143458Y1 true KR200143458Y1 (ko) 1999-06-15

Family

ID=1946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211U KR200143458Y1 (ko) 1996-09-20 1996-09-20 패널용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4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867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9057A (en) Sheet blow molding and molding method
EP0893247A4 (en) DECOR FILM OR DECOR FILM, DECOR MATERIAL AND BUILDING MATERIAL MADE THEREOF
EP0881261A4 (en) ACRYLIC SHEET AND MOLDINGS MADE USING SAME
CN105415720A (zh) 塑胶锁扣木质地板底面防水层选材及生产工艺
KR200143458Y1 (ko) 패널용 마감재
GB2030068A (en) Manufacture of structural elements
JP3742460B2 (ja) 弯曲化粧パネルの製法
KR102254869B1 (ko)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JP2007224523A (ja) 連結組立用化粧材
JPS5844152A (ja) プラスチツク製タイル
KR200180669Y1 (ko) 발포압출시트가 합지된 발포단열판재
JP4126893B2 (ja) 化粧材
JPS61146518A (ja) 可撓性シートを有するインモールド成形品の製造方法
KR102254870B1 (ko) 욕실 및 화장실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200373340Y1 (ko) 발포폴리스티렌을 이용한 몰딩마감재
JP3266834B2 (ja) 建築用パネル及び建築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5212474A (ja) 耐候性合成木材
JPS582823B2 (ja) 建築用タイルブロツク製造のための目地形成用枠体
JP2001353738A (ja) 床材とその製造方法
JP2001145579A (ja) アクリル樹脂製浴槽
JPS6237724Y2 (ko)
JPH0688418A (ja) フローリング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33818A (ja) 合成樹脂目地材
KR0124332Y1 (ko)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KR200298233Y1 (ko)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