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332Y1 -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 Google Patents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332Y1
KR0124332Y1 KR2019940031117U KR19940031117U KR0124332Y1 KR 0124332 Y1 KR0124332 Y1 KR 0124332Y1 KR 2019940031117 U KR2019940031117 U KR 2019940031117U KR 19940031117 U KR19940031117 U KR 19940031117U KR 0124332 Y1 KR0124332 Y1 KR 0124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decorative member
base layer
attached
prefabricated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792U (ko
Inventor
송길섭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2019940031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332Y1/ko
Publication of KR960017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7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3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7Outer coverings for walls with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장식부재(1) ; 상기 장식부재(1)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기재층(2) ; 상기 기재층(2)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는 보강프레임(3) ; 상기의 보강프레임(3)와 상기 장식부재(1)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패드(4)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의 패드(4)가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의 성형시 몰드안에 있던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장식부재와 기재와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대표도면 : 제2도)

Description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식부재 2 : 기재층
3 : 보강프레임 4 : 패드
본 고안은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의 성형시 몰드에 있던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패드(pad)가 설치된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은 욕실의 벽 시공에 많이 사용되며, 이 판넬들을 나사못 또는 치구로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판넬은 하나의 패턴을 이루는 장식부재들로 연결되어 있어서 미감효과가 뛰어나고 다수의 장식부재들이 하나의 시이트형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짧은 시간동안에 시공을 끝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은 일정한 규격을 갖는 한 개이상의 장식부재가 기재층에 부착되어 있고 보강프레임이 기재층의 가장자리에 둘러쌓여 있는 구조를 갖는데, 이러한 벽판넬은, 장식부재와 장식부재사이에 노출된 기재층의 표면이 매끈하지 못하고 벽판넬의 후면 즉 기재층의 이면 역시 매끈하지 못하고 쉽게 찌그러지며, 또한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장식부재가 기재층으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와서 결과적으로 아름다운 미감을 표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내구성부족과 미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장식부재와 기재층사이의 접착력이 강하고 매끄럽고 견고한 표면과 후면을 갖는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은 다수의 장식부재 ; 상기 장식부재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기재층 ; 기재층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는 보강프레임; 상기의 보강프레임과 상기 장식부재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패드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의 패드를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에 설치하는 목적은, 벽판넬 성형공정 중 기재층의 재료인 수지액을 몰드에 주입시 몰드내의 있던 공기를 배출시키고 수지액이 기포없이 장식부재에 바로 부착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벽판넬이 갖고 있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고안의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의 사시도인 제1도 및 단면도인 제2도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는 다수의 장식부재(1)가 일정한 패턴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후면에는 사각형태의 보강프레임(3)이 기재층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는데, 그 상세한 구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장식부재(1) ; 상기 장식부재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기재층(2) ; 상기 기재층(2)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는 보강프레임(3) ; 및 상기 보강프레임(3)과 상기 장식부재(1)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패드(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장식부재(1)로는 타일, 멜라민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수지판 및 대리석 등이 사용되는데, 다수의 장식부재(1)들이 좁은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일정한 패턴으로 기재층(2) 상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기재층(2)의 재료로서는 폴리우레탄포움이 사용되는데, 접착성이 우수하여 판넬 등에 접착시켜 사용되고 있으며 단열성 또한 뛰어나 건축재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기재층(2)의 이면에 방수용 및 표면 평활성 유지를 위하여 글래스 파이버(glass filber)를 접착하기도 한다.
상기 보강프레임(3)은 벽판넬의 형태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고 시공시 벽판넬과 벽판넬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철제로 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패드(4)는 그 구조상 공기는 패드속으로 통과할 수 있지만 기재층의 재료인 수지액은 통과시키지 않는 통상적인 다공성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벽판넬에서는 장식부재와 보강프레임을 서로 부착시키기 위한 양면성 테이프가 사용되었지만, 본 고안의 벽판넬에서는 그 상하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패드(4)가 장식부재와 보강프레임을 부착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의 패드(4)를 이용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은 장식부재와 기재층과의 접착력이 강하고 기재층의 표면과 이면이 매끈하여 깨끗한 미감효과를 나타내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의 패드의 역할을 본 고안의 벽판넬의 성형공정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형공정은 하부몰드와 상부몰드로 이루어진 금형내에서 이루어지는데, 먼저 장식부재를 고정시키며 수지액이 장식부재의 표면으로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하부몰드의 바닥에 지그(jig)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그 상에 장식부재를 배열하는 단계, 패드를 하부몰드의 가장자리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의 패드상에 보강프레임을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보강프레임을 상부몰드로 덮는 단계 및 몰드의 공동(空洞)과 연결되어 있는 상부몰드상의 주입구를 통하여 수지액을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수지액이 몰드안으로 주입됨에 따라 공동에 있던 공기는 보강프레임 아래에 설치된 패드를 통하여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패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구조일 경우, 공동안에 있던 공기는 수지액속에 큰 기포의 형태로 남아있든지 또는 장식부재의 이면 또는 장식부재가 놓여있지 않은 기재층의 표면에 기포로 형성되어, 성형 후 기재층의 강도 및 장식부재와 기재층과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요인될 뿐만 아니라 장식부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 즉 기재층의 표면을 매끄럽지 않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성형시 몰드안에 있던 공기가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위한 패드가 설치된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장식부재와 기재층과의 접착력과 외관이 우수하다.

Claims (3)

  1. 조립식욕실용 벽판넬에 있어서, 다수의 장식부재(1); 상기 장식부재(1)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기재층(2); 상기 기재층(2)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는 보강프레임(3); 및 상기의 보강프레임(3)와 상기 장식부재(1)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공기배출용 패드(4)로 이루어진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용 패드(4)는 공기는 투과시키고 상기기재층(2)의 재료인 수지액은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용 패드(4)의 재질은 다공성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KR2019940031117U 1994-11-23 1994-11-23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KR0124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117U KR0124332Y1 (ko) 1994-11-23 1994-11-23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117U KR0124332Y1 (ko) 1994-11-23 1994-11-23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792U KR960017792U (ko) 1996-06-19
KR0124332Y1 true KR0124332Y1 (ko) 1998-10-15

Family

ID=1939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117U KR0124332Y1 (ko) 1994-11-23 1994-11-23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3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792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91444B (en) Stone cladding system
KR100752399B1 (ko) 조형물 및 그 조형물을 구비하는 구조물
KR0124332Y1 (ko)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GB1236414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anels
KR100927483B1 (ko)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KR20060009528A (ko) 건식공법용 방수판 및 그 제조방법
CN203347101U (zh) 整体卫浴墙板
CN210263685U (zh) 一种装配式瓷砖墙板组件
JP2008163605A (ja) ユニットバスの床パネル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16082A (ko) 건축용 단열판
JP4921957B2 (ja) ユニットバスの床パネル構造の製造方法
KR950001616Y1 (ko) 건축용 외장재
JP4921958B2 (ja) ユニットバスの床パネル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002789U (zh) 一种新型外墙用装饰线条
KR100406643B1 (ko) 우레탄수지로 보강된 욕실용 섬유강화 플라스틱 바닥판 및그 제조방법
JPS6010040A (ja) 装飾面付き防水パネル
CN210316310U (zh) 装配式建筑墙体
CN209883992U (zh) 一种防水卫浴底盘及整体卫浴
JP3333027B2 (ja) タイル調化粧板付きプレキャスト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365990Y1 (ko) 욕실용 천정패널의 처짐방지 장치
KR200251055Y1 (ko) 타일 패널
KR950000611A (ko) 타일이 부착된 판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H0726750A (ja) 浴室ユニット
CN2142068Y (zh) 金属泡塑复合装饰板
JPH02258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