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055Y1 - 타일 패널 - Google Patents

타일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055Y1
KR200251055Y1 KR2020010017769U KR20010017769U KR200251055Y1 KR 200251055 Y1 KR200251055 Y1 KR 200251055Y1 KR 2020010017769 U KR2020010017769 U KR 2020010017769U KR 20010017769 U KR20010017769 U KR 20010017769U KR 200251055 Y1 KR200251055 Y1 KR 200251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frame
tiles
panel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성
Priority to KR2020010017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055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욕실 및 화장실 등과 같은 공간의 미장재료로 사용되는 타일패널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면적의 크기를 갖는 프레임에 발포제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타일을 부착하며 화장실 등의 설치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타일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패널은, 소정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가 사각의 함체를 형성하고, 함체의 각 모서리가 연장되어 함체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충전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타일로 형성되는 타일부와, 일면이 다수의 타일에 의해 형성된 타일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타일의 배면에 고정되어 타일부를 지지하도록 사각의 관체가 타일부의 가장자리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타면에 접착 고정되며, 소정부에 발포성 수지가 주입되는 주입홀이 형성되어, 타일의 충전부 및 타일부와 프레임에 충전되는 발포성 수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펄프지와, 타일의 배면에 형성된 충전부와, 타일부와 프레임과, 펄프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충전되어 다수의 타일과,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발포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패널은 일축에 충전부가 생성된 다수의 타일을 뒤집어서 배열시킨 후 그 상측에 발포성 수지를 주입시키고 고화시키면 타일과 프레임과 발포성 수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타일의 부착강도가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내구성이 증대되고, 더욱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조 단가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대량생산에 더욱 적합한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일 패널{tlie panel}
본 고안은 건축물의 욕실 및 화장실 등과 같은 공간의 미장재료로 사용되는타일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면적의 크기를 갖는 프레임에 발포제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타일을 부착하며 화장실 등의 설치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타일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주택의 욕실 및 화장실 내부에는 타일로서 미장 처리되는데, 이런 타일은 직사각형의 판의 형상을 가지며 고온에서 배벌하여 제조된다. 매끈한 정면이 사람이 바라볼 수 있는 쪽에 위치하고, 정면보다 덜 매끈한 배면을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에 타일을 부착하는 시공방법을 일반적으로 '습식 시공'이라 한다. 이런 습식시공 방식으로 타일을 콘크리트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부착되는 타일들이 수평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또한, 타일의 정면이 일편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미장작업의 요건이며, 타일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유지하여 부착한 후에 각 타일 사이에 줄눈을 넣어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된 타일이 안전하게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부착된 타일들의 정면이 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벽체와 타일의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들의 도포 두께 또한 일정해야 한다.
이와 같이, 습식시공 방식으로 타일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타일들의 수평 및 수직 상태와, 일평면 상태에 대하여 각각의 타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이 소요되며, 작업 능률 또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습식시공 방식의 타일 시공작업을 단순화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타일패널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타일패널을 이용하여 시공하는방식을 건식시공 방식이라 한다.
한편, 건식시공에 사용되는 타일 패널의 제작과정은 우선, 사각형상의 타일 틀 내부에 다수개의 타일을 그 측면이 밀착된 상태로 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타일의 배면이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정면은 바닥을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타일 틀의 내부에 프리프레그(prepreg)상태의 발포성 수지 또는 우레탄을 충진한 후에 타일 틀의 내부면적과 동일한 가압판을 충진된 발포성 수지 또는 우레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가압하면서 경화시킨다. 이후, 발포성 수지 혹은 우레탄이 가압된 상태로 경화되면서, 타일들을 일평면상에 위치한 상태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발포성 수지 혹은 우레탄에 의해 고정된 타일 틀로부터 인출하면 타일패널이 제작되며, 타일패널이 제작되는 과정 중에, 배치된 타일들은 모두 수평이 조절된 상태로 배치되며, 또한, 타일 틀이 안착되는 지면에 의해 배치된 타일들이 정면 또는 일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타일 패널은 공장에서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며, 제작된 타일패널은 시공현장으로 이송된 후에 시공현장에서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함으로써, 미장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습식시공 방식에 의한 타일 미장작업보다 쉽고 간편히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타일의 수평조절 및 일평면 조절작업이 필요치 않으며, 타일 사이에 줄눈을 넣는 작업 또한 필요치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일패널은 타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타일을 성형하고, 초벌 및 재벌과 타일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넣는 작업 등을 필요로하는 관계로 많은 제작시간을 소요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타일 자체의 중량이 무겁고 또한 강도가 약하여 타일패널로 성형된 후 이송하는 많은 불편함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설치위치까지 운송하는데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하며, 특히 운송과정과 설치 작업시에 약간의 부주의로도 쉽게 파손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정 두께의 강판을 이용하여 타일을 제작하고, 제작된 타일을 이용하여 취급과 설치가 용이하고, 다양한 규격으로 생산 가능한 타일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패널에 사용되는 타일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패널의 제작을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패널의 발포제 투입을 나타낸 간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일패널 10 : 타일부
20 : 프레임 30 : 발포성 수지
40 : 가이드 패널 50 : 펄프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패널은 소정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가 사각의 함체를 형성하고, 함체의 각 모서리가 연장되어 함체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충전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타일로 형성되는 타일부와; 일면이 상기 다수의 타일에 의해 형성된 상기 타일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타일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타일부를 지지하도록 사각의 관체가 상기 타일부의 가장자리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타면에 접착 고정되며, 소정부에 발포성 수지가 주입되는 주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타일의 충전부 및 상기 타일부와 상기 프레임에 충전되는 발포성 수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펄프지와; 상기 타일의 배면에 형성된 충전부와, 상기 타일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펄프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다수의 타일과,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발포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일을 형성하는 함체의 외측면의 표면에 상기 타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두께의 도금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일을 형성하는 함체의 외측면의 표면에 상기 타일의 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특정 모양 및 형상이 인쇄된 필름이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타일패널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패널에 사용되는 타일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패널의 제작을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패널의 발포제 투입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일패널(1)은 외면을 형성하는 타일부(10)와, 타일부(10)의 하부에 고정되어 타일부(10)를 지지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 지지되는 타일부(10)와 프레임(20)을 고정하는 발포성 수지(50)로 구성된다.
상기 타일부(10)에 사용되는 타일은 얇은 금속의 판재로 형성되며, 판재의 표면에는 금속의 부식을 막기 위한 도금 또는 피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타일(12)은 소정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가 사각의 함체부(14)를 형성하고, 함체부(14)의 각 단부가 연장되어 함체부(14)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충전부(16)가 형성되며, 또한, 타일(12)을 형성하는 함체부(14)의 외측에는 상기 타일(12)의 미관을 아름답게 하도록 다양한 형상이 인쇄된 필름(미도시)이 접착된다.
상기 프레임(20)은 다수의 타일(12)들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타일부(10)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타일부(10)를 지지하도록 사각의 관형 부재가 상기 타일부(10)의 외형과 동일한 직사각의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발포제(20)는 상기 프레임(20)의 일면에 배열된 다수의 타일(12)로 형성된 타일부(10)의 배면에 도포된 후 응고되어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타일부(10)를 일체로 고정한다.
이때, 도포되는 발포제(20)는 상기 타일부(10)를 구성하는 각 타일(12)의 배면에 형성된 충전부(16)에 삽입 충전되어 응고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타일패널의 결합상태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다른 타일패널(1)의 제작에는 타일부(10)를 형성하는 다수의 타일(12)을 배열하기 위한 가이드패널(40)이 마련되며, 가이드패널(40)의 상면에는 상기 타일부(10)를 구성하는 다수의 타일(12)이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각 타일(12)의 간격을 조절하는 다수의 가이드프레임(42)이 배열되어 있으며, 배열된 가이드프레임(42)의 외측으로 상기 프레임(20)의 위치를 제한하는 다수의 걸리돌기(44)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패널(4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프레임(42)의 사이에 상기 타일(12)을 뒤집어 배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균일하게 배열시키고, 배열된 타일(12)의 상부면 상기 프레임(20)을 거치시킨다.
이때, 가이드 패널(40)에 안착되는 각 타일(12)이 접하는 접합면에는 이후 주입되는 발포성수지(50)가 누출되어 가이드프레임(42)에 접착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소정의 기밀성을 갖는 기밀테이프(15)가 접착되며, 상기 프레임(20)과 접하는 타일부(10)의 배면의 외주에는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타일부(10)를 임시로 접착함과 동시에 이후 주입되는 발포성 수지(50)가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타일부(10)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스폰지 재질의 양면 접착 테이프(16)가 부착된다.
이후, 타일부(10)의 상면에 접착 고정된 프레임(20)의 상측으로 배열된 다수의 타일(12)의 충전부(16) 및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충전되는 발포성 수지(50)가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발포성 수지(50)가 주입되는 주입홀(54)이 형성된 펄프지(52)가 상기 프레임(20)의 일면에 접착된다.
상술한 가이드 패널(40)의 상면 안착되어진 각각의 타일(12)과, 타일부(10)의 상면에 안착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상면에 밀착된 펄프지(52)가 상부 프레스(60a) 및 하부 프레스(60b)로 이루어진 프레스(60)에 삽입된 후 발포성수지(50)를 소정의 압력으로 주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스(60a)에는 상기 프레스(60)의 상면에 접착된 펄프지(52)의 주입홀(54)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발포성 수지(50)가 주입되는 주입부(62)가 형성되어 발포성 수지(50)가 주입되며, 하부 프레스(60b)의 소정부에는 발포성 수지(50)가 주입됨에 따라 충전공간에 있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부가 마련된다.
이후, 발포성 수지(50)의 고화가 이루어지면 가이드 프레임(40)을 적출하고, 가이드 프레임(40)에 안착된 타일 패널(1)을 적출하면 타일 패널(1)이 완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패널은 일축에 충전부가 생성된 다수의 타일을 뒤집어서 배열시킨 후 그 상측에 발포성 수지를 주입시키고 고화시키면 타일과 프레임과 발포성 수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타일의 부착강도가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내구성이 증대되고, 더욱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조 단가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대량생산에 더욱 적합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가 사각의 함체를 형성하고, 함체의 각 모서리가 연장되어 함체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충전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타일로 형성되는 타일부와;
    일면이 상기 다수의 타일에 의해 형성된 상기 타일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타일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타일부를 지지하도록 사각의 관체가 상기 타일부의 가장자리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타면에 접착 고정되며, 소정부에 발포성 수지가 주입되는 주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타일의 충전부 및 상기 타일부와 상기 프레임에 충전되는 발포성 수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펄프지와;
    상기 타일의 배면에 형성된 충전부와, 상기 타일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펄프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다수의 타일과,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발포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을 형성하는 함체의 외측면의 표면에 상기 타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두께의 도금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패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을 형성하는 함체의 외측면의 표면에 상기 타일의 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특정 모양 및 형상이 인쇄된 필름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패널.
KR2020010017769U 2001-06-14 2001-06-14 타일 패널 KR200251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769U KR200251055Y1 (ko) 2001-06-14 2001-06-14 타일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769U KR200251055Y1 (ko) 2001-06-14 2001-06-14 타일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055Y1 true KR200251055Y1 (ko) 2001-11-16

Family

ID=7306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769U KR200251055Y1 (ko) 2001-06-14 2001-06-14 타일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0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825B1 (ko) 2006-12-01 200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욕실용 건식벽체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825B1 (ko) 2006-12-01 200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욕실용 건식벽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371B2 (en) Shower receptor
US8209795B2 (en) Prefabricated shower pan having varying sidewall heights and method of attaching a modular curb
US8181286B2 (en) Drain wall for a prefabricated shower module
US814118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abricated modular shower curb and associated modular shower curb
US20090241258A1 (en)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prefabricated shower benches and associated shower benches
US2008022289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fabricated shower module
US20080222793A1 (en) Ribbed prefabricated polyurethane shower module
CN111852255A (zh) 一种门墙一体化设备井门框及安装方法
KR200251055Y1 (ko) 타일 패널
KR101688570B1 (ko) 조립식 욕실용 하이브리드 벽판넬 시공구조
KR20190034720A (ko) 내외장용 금속 패널
JP2007138443A (ja) 壁用板状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101772001B1 (ko) 화장실용 칸막이패널
JP2006336285A (ja) 改装用防水パン
CN210483005U (zh) 内嵌式高强度防漏浆塑料复合建筑板
CN215213032U (zh) 一种厨卫外窗节点
CN111186001A (zh) 一种喷涂饰面内隔墙或外围护部品制作工艺
CN219219790U (zh) 构造柱模板及构造柱浇筑装置
CN214073056U (zh) 一种淋浴间玻璃固定窗底部与浴缸边缘连接节点结构
CN210598622U (zh) 一种整体卫浴窗套拼接结构
CN217001067U (zh) 一种新型装配式整体浴室
CN220790730U (zh) 一种装配式整体卫浴
KR0124332Y1 (ko) 조립식욕실용 벽판넬
KR100706097B1 (ko) 간이 화장실용 분뇨탱크
KR200365990Y1 (ko) 욕실용 천정패널의 처짐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