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307Y1 -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 - Google Patents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307Y1
KR200143307Y1 KR2019960012954U KR19960012954U KR200143307Y1 KR 200143307 Y1 KR200143307 Y1 KR 200143307Y1 KR 2019960012954 U KR2019960012954 U KR 2019960012954U KR 19960012954 U KR19960012954 U KR 19960012954U KR 200143307 Y1 KR200143307 Y1 KR 200143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lbow
tube
metal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189U (ko
Inventor
전영웅
Original Assignee
전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웅 filed Critical 전영웅
Priority to KR2019960012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307Y1/ko
Publication of KR9700631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1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8Bends; Siphons made from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관을 열융착에 의하여 내부에 삽입하여 이중 보강구조를 가지도록 한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에 관한 것으로서, 강도를 높임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직각으로 굴곡된 엘보우 관(1)과, 상기 엘보우 관(1)의 어느 한쪽에 일단이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된 연결관(2)으로 구성된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 내에 삽입되어 접합되는 금속관(3)이 채용된다. 상기 금속관(3)은 열융착에 의하여 연결관(2)에 삽입됨으로써 이것들이 상호 접합되고, 금속관(3)의 자유단(31)의 일부는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관에 연결할 필요가 있는 배관들을 연결할 때 금속관(3)의 자유단(31)을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에 삽입하여 열융착시켜 이것들을 상호 접합하고, 엘보우 관(1)의 다른 연결구멍에 다른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을 삽입하여 열융착시켜 이것들을 상호 접합함으로써 배관들을 상호 다른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동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을 사용하여 배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종래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는 종래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을 사용하여 배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보우 관 2 : 연결관
3 : 금속관 31 : 자유단
본 고안은 예컨대 건축용 배관시 등에 사용되는 배관들을 연결하기 위한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관을 열융착에 의하여 내부에 삽입하여 2중 보강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이음용 관으로는 T형 또는 엘보우형 등으로 이루어져 배관들의 방향을 상호 다르게 하여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대표적인 것들이다.
예컨대 종래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의 예로서 제4도에 도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은 직각으로 굴곡된 엘보우 관(7)과, 상기 엘보우 관(7)의 어느 한 쪽에 일단이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된 연결관(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엘보우 관(7) 및 열결관(8)은 통상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이하 PP-C라 한다)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을 사용하여 PP-C로 된 배관들을 연결하고자 힐 경우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배관(91)의 일단을 상기 연결관(8)에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하여 접합하고, 엘보우 관(7)의 나머지 쪽에는 제 2 배관(92)의 일단을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하여 접합함으로써, 제 1 배관(91) 및 제 2 배관(92)을 상호 다른 방향, 즉 직각방향으로 연결하였다. 여기서는 미도시하였지만, 제 1 배관(91)의 내경이 연결관(8)의 외경보다 큰 경우 제 1 배관(91)에 연결관(8)의 일단을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하여 접합함으로써, 제 1 배관(91)을 연결하는 일도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엘보우형 배관 연결용 관에 있어서는, 구성요소들이 공해 취성이 큰 성질을 가진 PP-C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관(8) 및 제 1 배관(91)과의 연결부가 취약하여 이 부분이 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배관들의 연결부의 강도를 높임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각으로 굴곡된 엘보우 관와, 상기 엘보우 관의 어느 한 쪽에 일단이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되어 접합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된 배관 연결용 이형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내에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되어 접합됨과 아울러 자유단의 일부가 밖으로 돌출되는 금속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엘보우 관 및 열결관은 바람직하게는 PP-C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금속관으로서는 스테인레스 강관, 황동관과 같이 녹이 슬지 않는 것을 채용하면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PP-C로 된 제 1 배관을 연결관 밖으로 돌출된 금속관의 자유단 둘레로 열융착에 의하여 끼워 이것들을 상호 접합함으로써 제 1 배관을 연결 할 수 있다. 또한 엘보우 관의 다른 쪽에 제 2 배관이나 다른 구성요소들의 연결부를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하여 접합함으로써 제 2 배관이나 다른 구성요소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배관의 연결부가 금속관에 의하여 고강도로 보강되고, 따라서 충격 등에 강한 구조를 가지므로,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동 단면도로서, 참조부호 1은 직각으로 굴곡된 엘보우 관이고,2는 상기 엘보우 관의 한쪽에 일단이 삽입되어 연결된 연결관이며, 참조부호 3은 상기 연결관 내부에 자유단의 일부를 남겨놓고 삽입되어 연결된 금속관을 나타낸다.
상기 엘보우 관(1) 및 연결관(2)은 바람직하게는 PP-C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금속관(3)으로는 스테인레스 강관, 황동관 등과 같이 녹이 슬지 않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틸관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연결관(2)은 일단이 엘보우 관(1)의 한쪽 연결구멍에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되어 이것들이 상호 접합됨으로써 엘보우 관(1)에 연결된다. 즉, 이 열융착에 의한 삽입으로 엘보우 관(1)의 한쪽 연결구멍 내에 놓인 연결관(2) 부분의 외주면은 엘보우 관(1)의 내주면과 상호 융착되어 접합됨으로써 견고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관(3)은 상기 연결관(2)의 내부에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되어 이것들이 상호 접합된다. 또한 상기 금속관(3)의 열융착에 의한 접합도 상기한 연결관(2)의 접합과 마찬가지로 금속관(3)의 연결관(2) 내부에 삽입된 부분의 외주면이 연결관(2)의 내주면과 상호 접합됨으로써 견고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관(2)에 삽입된 금속관(3)의 자유단(31)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에 연결의 필요가 있는 배관이나 구성요소를 상기 자유단(31) 둘레에 끼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제3도를 참조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형 배관이음용 관에 의하여 PP-C로 된 제 1 배관(41) 및 제 2 배관(42)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배관(41)을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관(2)에 삽입된 금속관(3)의 외부로 노출된 자유단(31)을 상기 제 1 배관(41)에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한다. 이와 같이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하면, 제 1 배관(41)의 끝과 연결관(2)의 끝이 상호 접합함과 아울러 금속관(3)의 자유단(31) 외주면과 제 1 배관(41)의 내주면이 상호 접합됨으로써 제 1 배관(41)을 본 고안에 따른 관에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배관(42)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 2 배관(42)의 일단을 엘보우 관(1)의 나머지 연결구멍에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한다. 이와 같이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하면, 제 2 배관(42)의 외주면과 엘보우 관(1)의 내주면이 상호 접합됨으로써 제 2 배관(42)을 본 고안에 따른 관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에 있어서는, 엘보우 관(1)의 한쪽 연결구멍에 연결되는 연결관(2)이 금속관(3)에 의하여 보강될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이음용 관에 연결되는 제 1 배관(41)의 연결부도 상기 금속관(3)에 의하여 고강도로 보강되므로 충격 등에 강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엘보우 관형 이형관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T형으로 된 관 또는 직선관에도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금속관을 선택적으로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적용한 것도 본 고안의 사상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

  1. 직각으로 굴곡되고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엘보우 관(1)과, 상기 엘보우 관(1)의 어느 한 쪽에 일단이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되고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연결관(2)으로 구성된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내에 열융착에 의하여 삽입되어 자유단(31)의 일부가 밖으로 돌출되는 금속관(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3)은 스테인레스 강관, 황동관 또는 스틸관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
KR2019960012954U 1996-05-22 1996-05-22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 KR200143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954U KR200143307Y1 (ko) 1996-05-22 1996-05-22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954U KR200143307Y1 (ko) 1996-05-22 1996-05-22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189U KR970063189U (ko) 1997-12-11
KR200143307Y1 true KR200143307Y1 (ko) 1999-06-01

Family

ID=1945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954U KR200143307Y1 (ko) 1996-05-22 1996-05-22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3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189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84494B1 (pl) Sposób łączenia rur powlekanych
JPH0514153B2 (ko)
US20100133804A1 (en) Method of replacing pipe couplings
US5829793A (en) Self-restrained adapter system for connecting plastic pipe system to metallic pipe system
US6045033A (en) Pipe connection and method
CN112178308A (zh) 管件连接结构
KR200143307Y1 (ko) 엘보우형 배관 이음용 관
KR102372761B1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JP2589006Y2 (ja) パイプ継手
JP2562781B2 (ja)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
CN213685654U (zh) 管件连接结构
GB2280006A (en) Push-fit pipe coupling
KR200206336Y1 (ko) 관체 연결구
KR102264914B1 (ko) 관 연결 방법
CN217540038U (zh) 袖管三通
JPH05340495A (ja) 複合管およびその接続構造
GB2349188A (en) Connection for corrugated or ribbed pipes
KR200153023Y1 (ko) 동관 이음용 소켓
JPH0681988A (ja) パイプ結合用迅速結合要素
SK280788B6 (sk) Potrubná spojka
JP2001268765A (ja) コルゲート管の接続方法
KR20190001974U (ko) 플렌지 어댑터 니플
KR970005209B1 (ko) 관 이음쇠
JPS6112469Y2 (ko)
JPH06346997A (ja) 角度可変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