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255Y1 -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 - Google Patents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255Y1
KR200143255Y1 KR2019960041137U KR19960041137U KR200143255Y1 KR 200143255 Y1 KR200143255 Y1 KR 200143255Y1 KR 2019960041137 U KR2019960041137 U KR 2019960041137U KR 19960041137 U KR19960041137 U KR 19960041137U KR 200143255 Y1 KR200143255 Y1 KR 200143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 oscillator
crystal
support
piece
bas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144U (ko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60041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255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9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consisting of quartz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기에서 발진주파수를 얻고자 사용되는 수정진동자의 파손을 방지하고 열팽창등으로 인한 수정진동자의 특성변화를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요지는, 베이스기판(52)상에 기판과 연결되는 연결전극(53)이 형성되어 지지대(54)의 일측단부가 솔더링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54)의 일측단부에는 양측에 전극(57)(57')이 형성된 수정진동자 수정편(55)의 일측단부가 긴밀하게 끼워지는 걸림턱(56)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기판(52)의 상측으로 고정캡(51)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베이스기판상에 접속되는 지지대의 걸림턱에 별도의 접착제 없이 수정편을 끼우는 간단한 구조로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를 조립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면서도, 접착제 사용시 발생되는 열팽창으로 인한 수정진동자의 특성저하가 방지되는 한편, 지지대 걸림턱의 크기를 조정하여 수정편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지지 고정하게 되어 수정편의 크기에 손쉽게 대응토록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
본 고안은 전자기기에서 발진주파수를 얻고자 사용되는 수정진동자의 파손을 방지하고 열팽창등으로 인한 수정진동자의 특성변화를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이스기판상에 기판과 연결되는 연결전극이 형성되어 지지대의 일측단부가 솔더링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단부에는 양측에 전극이 형성된 수정진동자 수정편의 일측단부가 긴밀하게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기판의 상측으로 고정캡이 결합됨으로써, 베이스기판상에 접속되는 지지대의 걸림턱에 별도의 접착제 없이 수정편을 끼우는 간단한 구조로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를 조립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면서도, 접착제의 사용시 발생되는 열팽창으로 인한 수정진동자의 특성저하가 방지되는 한편, 지지대 걸림턱의 크기를 조정하여 수정편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지지 고정하게 되어 수정편의 크기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정진동자는 압전소자이고 기계 진동하며, 발진소자로서 수정(X-tal)을 사용하며, 이는 수정이 온동에 의한 진종 주파수 변화가 적기 때문에 안정된 발진주파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고, 시계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서도 상기 수정진동자의 안정된 발진주파수를 이용하여 사용되며, 이때 소형의 수정진동자가 부착된다.
또한, 최근에는 케이스 내부에 수정진동자가 실장되고, 상기 케이스를 기판상에 접속시키어 표면실장을 용이토록 하는 동시에, 소형화를 용이토록 한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에 있어서는,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라믹인 베이스기판(1)의 상부 일측에는 전극패드(2)가 설치되어 그 상측에는 수정진동자(10)의 수정편(3) 일단부가 에폭시인 도전성접착제(4)로서 접착되고, 상기 베이스기판(1)의 타측에는 상기 수정편(3)의 타단부를 지지토록 하는 금속 지지편(5)이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기판(1)의 상측으로 고정캡(6)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10)에 있어서는,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기판(1)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전극패드(2) 및 지지편(5)에 수정편(3)의 양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전극패드(2)와 수정편(3)의 일단부가 도전성접착제(4)로서 일체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양단부가 지지된 수정편(3)이 발진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에 있어서는,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수정편(3)의 일단은 접착제(4)로서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편(5)에 지지됨으로 인하여, 상기 수정편(3)의 진동특성이 저하되는 한편, 상기 전극패드(2)와 지지편(5)이 금속체로서 탄성력이 없게 되어 수정편(3)이 전극패드(2)와 지지편(5)의 지지되는 부분에서 크랙등과 같은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있게 되며, 아울러 접착제(4)가 도포된 전극패드(2) 및 지지편(5)과 수정편(3)의 열팽창율이 다르게 되어 수정진동자(10)의 주파수특성이 변하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베이스기판상에 기판과 연결되는 연결전극이 형성되어 지지대의 일측단부가 솔더링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단부에는 양측에 전극이 형성된 수정진동자 수정편의 일측단부가 긴밀하게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기판의 상측으로 고정캡이 결합됨으로써, 베이스기판상에 접속되는 지지대의 걸림턱에 별도의 접착제 없이 수정편을 끼우는 간단한 구조로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를 조립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면서도, 접착제의 사용할 때 발생되는 열팽창으로 인한 수정진동자의 특성저하가 방지되는 한편, 지지대 걸림턱의 크키를 조정하여 수정편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지지 고정하게 되어 수정편의 크기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는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베이스기판의 내측으로 수정편이 실장되고, 상부에는 고정캡이 결합되는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기판의 상부에는 기판과 연결 접속되는 연결전극이 좌우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정편을 지지토록 하는 지지대의 일측단부가 솔더링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기판의 전후 양측으로 위치되어 그 일측단부에는 상, 하면에 전극이 각각 형성된 수정편의 일측단부가 긴밀하게 끼워지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기판의 상측으로 고정캡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를 마련함에 의한다.
제1도는 종래의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정면 구조도.
재4도는 본 고안인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 51 : 고정캡
52 : 베이스기판 53 : 연결전극
54 : 지지대 55 : 수정편
56 : 걸림턱 57,57' : 전극
58,58' : 전극단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정면 구조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인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베이스기판(52)의 내측으로 수정편(55)이 실장되고, 상부에는 고정캡(51)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기판(52)의 상부에는 기판과 연결 접속되는 연결전극(53)이 좌우양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정편(55)을 지지토록 하는 지지대(54)의 일측단부가 솔더링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54)는 상기 베이스기판(52)의 전후 양측으로 위치되어 그 일측단부에는 상, 하면에 전극(57)(57')이 각각 형성된 수정편(55)의 일측단부가 긴밀하게 끼워지는 걸림턱(5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기판(52)의 상측으로 고정캡(51)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수정편(55)의 상, 하 양측면에 형성된 전극(57)(57')의 단부에는 지지대(54)의 걸림턱(56)에 끼워지면서 접속되는 전극단자(58)(58')가 상호 교차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내지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압전소자이고 기계진동하는 발진소자인 수정을 사용하는 수정진동자(50)를 기판상에 용이하게 결합시키면서 그면적을 소형화시킨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50)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다.
또한,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50)의 베이스기판(52) 내측에는 수정편(55)이 실장되고, 그 상부에는 고정캡(51)이 결합되어 상기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50)는 기판상에 용이하게 실장되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충격에도 보호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기판(52)의 상부에는 연결전극(53)이 좌우 양측으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전극(53)이 기판과 접속되어 실장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연결전극(53)과 지지대(54)의 일단이 솔더링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기판(52)의 전후 양측으로 위치되는 지지대(54)의 일측단부에는 걸림턱(5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턱(56)의 내측으로 상, 하면에 전극(57)(57')이 각각 형성된 수정편(55)의 일측단부가 긴밀하게 끼워지어 상기 수정편(55)은 지지대(54)상에 수평으로 고정토록 된다.
계속해서, 상기 수정편(55)의 상, 하양측면에 형성된 전극(57)(57')의 단부에는 전극단자(58)(58')가 상호 교차되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정편(55)이 지지대(54)의 걸림턱(56)에 끼워지면서 상기 수정편(55) 상, 하측의 전극(57)(57')은 좌우 양측의 지지대(54)에 분리되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54)상에 수정편(55)이 수평 설치된 베이스기판(52)의 상측에는 고정캡(51)이 결합되어 상기 수정진동자(50)는 안전하게 보호되면서 작동토록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50)의 수정편(55)이 지지대(54)의 걸림턱(56)에 끼워지는 간단한 작업으로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50)의 기판 실장작업이 수행토록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면서도 수정편(55)의 특성은 효율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에 의하면, 베이스기판상에 접속되는 지지대의 걸림턱에 별도의 접착제 없이 수정편을 끼우는 간단한 구조로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를 조립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면서도, 접착제의 사용할 때 발생되는 열팽창으로 인한 수정진동자의 특성저하가 방지되는 한편, 지지대 걸림턱의 크기를 조정하여 수정편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지지 고정하게 되어 수정편의 크기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베이스기판(52)의 내측으로 수정편(55)이 실장되고, 상부에는 고정캡(51)이 결합되는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5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기판(52)의 상부에는 기판과 연결 접속되는 연결전극(53)이 좌우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정편(55)을 지지토록 하는 지지대(54)의 일측단부가 솔더링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54)는 상기 베이스기판(52)의 전후 양측으로 위치되어 그 일측단부에는 상, 하면에 전극(57)(57')이 각각 형성된 수정편(55)의 일측단부가 긴밀하게 끼워지는 걸림턱(5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기판(52)의 상측으로 고정캡(51)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편(55)의 상, 하양측면에 형성된 전극(57)(57')의 단부에는 지지대(54)의 걸림턱(56)에 끼워지면서 접속되는 전극단자(58)(58')가 상호 교차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
KR2019960041137U 1996-11-21 1996-11-21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 KR200143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137U KR200143255Y1 (ko) 1996-11-21 1996-11-21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137U KR200143255Y1 (ko) 1996-11-21 1996-11-21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144U KR19980028144U (ko) 1998-08-05
KR200143255Y1 true KR200143255Y1 (ko) 1999-06-01

Family

ID=1947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137U KR200143255Y1 (ko) 1996-11-21 1996-11-21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2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8682A1 (de) * 1999-04-23 2000-11-23 Murata Manufacturing Co Piezoelektrisches Bauelement und piezoelektrischer Oszillator, bei dem es Verwendung findet
KR20020041870A (ko) * 2000-11-29 2002-06-05 이형도 내충격성을 갖는 수정 진동자
KR100431556B1 (ko) * 2001-11-20 2004-05-12 엘지전선 주식회사 표면실장형 온도보상 수정발진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144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81792B (zh) 小型压电谐振器
CN1881790B (zh) 小型压电谐振器
KR200143255Y1 (ko) 표면실장형 수정진동자
US7116039B2 (en) Crystal unit and holding structure of crystal unit
EP0553718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a vibrator
US4131816A (en) Mechanism and method for supporting a tuning fork-type quartz crystal element
US4872937A (en) Electrical component and method of mounting same
JP4442014B2 (ja) 表面実装型圧電デバイス
JP2002064356A (ja) 圧電振動子
JPH10163605A (ja) 電子回路装置
JP2002076813A (ja) 表面実装用の水晶振動子
GB2342509A (en) Surface mount reed switch having transverse feet formed from leads
JPH0388509A (ja) 圧電振動子
JP4054575B2 (ja) 圧電振動子の支持構造
JP2008136033A (ja) 高安定圧電発振器用導熱トレイ、トレイユニット、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及び高安定圧電発振器
JPH051145Y2 (ko)
JP2003133886A (ja) 水晶振動子
JPH066595Y2 (ja) 圧電発振器
KR200179119Y1 (ko) 세라믹 진동자의 압전소체와 리드프레임 결합장치
JPH11355046A (ja) 水晶発振器のパッケ−ジ構造
JPH08279727A (ja) 表面実装型水晶振動子
JPH10209797A (ja) 表面実装型水晶振動子
JP3128253B2 (ja) 小型水晶発振器
JP2005268580A (ja) 表面実装型セラミックパッケージ
JP2002176330A (ja) 表面実装用の水晶振動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