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871Y1 -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871Y1
KR200142871Y1 KR2019930006077U KR930006077U KR200142871Y1 KR 200142871 Y1 KR200142871 Y1 KR 200142871Y1 KR 2019930006077 U KR2019930006077 U KR 2019930006077U KR 930006077 U KR930006077 U KR 930006077U KR 200142871 Y1 KR200142871 Y1 KR 200142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rtical
analog
unit
side pin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5721U (ko
Inventor
강기현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30006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871Y1/ko
Publication of KR940025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57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8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7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passive elements, e.g. 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3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input amplifying stage being one or more operational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량에 관한 정보신호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입력부의 보정량에 관한 정보신호에 따라 적합한 크기를 갖는 직류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입력부의 보정량에 관한 정보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제어부의 디지틀 출력신호를 애널로그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애널로그/디지틀 변환부와; 애널로그/디지틀 변환부의 애널로그 전압신호를 수직회귀 신호에 따라 적분시킨 뒤에 방전시킴으로써 램프파를 발생시키는 적분부와; 수직동기 신호 대응하는 수직 편향신호를 생성하는 수직 편향회로와; 적분부와 수직 편향회로의 출력신호를 합성시키는 파형 합성부와; 파형 합성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패러볼릭 파형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와;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의 출력신호에 수평 편향신호를 진폭변조시키는 수평 편향회로로 구성되어; 별도의 사이드 핀쿠션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회로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가 있고, 또한 패러볼릭 파형에 수직-사이즈 및 수직-선형성 등과 같은 성분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미세하게 사이드 핀쿠션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으며, 패러볼릭 파형의 크기가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전압 제어방식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에 관한 것.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
제1도는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의 동작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어부 40 : 디지틀/애널로그 변환부
50 : 적분부 70 : 파형 합성부
80 :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
이 고안은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side pincushion distortion)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별도의 사이드 핀쿠션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회로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가 있고, 또한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패러볼릭(parabolic) 파형에 수직-사이즈 및 수직-선형성 등과 같은 성분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미세하게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보정할 수 있고, 패러볼릭 파형의 크기가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전압 제어방식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의 컬러 수상관(Color Picture Tube, CPT)이나 컴퓨터의 컬러 모니터(Color Display Tube, CDT)가 평면 사각의 광각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3개의 인라인형 전자빔의 미스컨버전스가 최소로 되도록 편향요크를 설계하면 음극선관 화면의 라스터 형상은 본래의 구형으로는 되지 않고 특히 화면의 좌우변이 활모양으로 내측으로 만곡하는 소위 사이드 핀쿠션 왜곡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는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기한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은, 컬러 수상관이나 컬러 모니터의 형태 및 윤곽으로 인한 화면의 곡률반경이 3개의 전자빔의 컨버전스 반경면보다 커서 결과적으로 편향 전자빔이 표시화면의 중앙부보다 측면인 모서리쪽으로 더 먼거리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서 수평 편향전류를 수직 편향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패러볼릭 파형으로 진폭변조시키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패러볼릭 파형을 이용하여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보정시키는 회로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고번호 제92-923호(공고일자 : 서기 1992년 1월 31일)의 브라운관 좌, 우측면의 실패형 일그러짐 보정회로나, 동 공고번호 제92-4398호(공고일자 : 서기 1992년 6월 29일)의 모니터의 수평폭 조절기능을 겸한 사이드 핀쿠션 보정회로나, 동 공고번호 제92-4400호(공고일자 : 서기 1992년 6월 29일)의 모니터의 사이드 핀쿠션 조정회로나, 동 공고번호 제92-4401호(공고일자 : 서기 1992년 6월 29일)의 사이드 핀쿠션 드라이브 회로나, 동 공고번호 제92-6548호(공고일자 : 서기 1992년 9월19일)의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실패형 찌그러짐 보정 및 수평 사이즈 조정회로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브라운관 좌, 우측면의 실패형 일그러짐 보정회로와, 모니터의 사이드 핀쿠션 조정회로 및 사이드 핀쿠션 드라이브 회로는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서 사이드 핀쿠션 트랜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회로의 전체적인 점유 면적 및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모니터의 수평폭 조절기능을 겸한 싸이드 핀쿠션 보정회로와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실패형 찌그러짐 보정 및 수평 사이즈 조정회로 등을 포함한 종래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는 수평 편향전류를 진폭변조시키기 위한 패러볼릭 파형에 수직-사이즈, 수직-선형성 등과 같은 수직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으로해서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보다 세밀하게 제거시키지 못하고, 사용자가 가변 저항을 조작하여 패러볼릭 파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에 비해 정확하게 제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사이드 핀쿠션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회로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가 있고, 또한 패러볼릭 파형에 수직-사이즈 및 수직-선형성 등과 같은 성분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미세하게 사이드 핀쿠션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으며, 패러볼릭 파형의 크기가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전압 제어방식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량에 관한 정보신호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입력부의 보정량에 관한 정보신호에 따라 적합한 크기를 갖는 직류전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입력부의 보정량에 관한 정보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제어부의 디지틀 출력신호를 애널로그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애널로그/디지틀 변환부와; 애널로그/디지틀 변환부의 애널로그 전압신호를 수직회귀 신호에 따라 적분시킨 뒤에 방전시킴으로써 램프파를 발생시키는 적분부와; 수직동기 신호에 대응하는 수직 편향신호를 생성하는 수직 편향회로와; 적분부와 수직 편향회로의 출력신호를 합성시키는 파형 합성부와; 파형 합성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패러볼릭 파형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와;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의 출력신호에 수평 편향신호를 진폭변조시키는 수평 편향회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의 구성은, 입력부(10)와, 입력부(1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20)와,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30)와, 제어부(2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애널로그/디지틀 변환부(40)와, 애널로그/디지틀 변환부(40)의 출력단 및 수직회귀 신호선(VRP)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적분부(50)와, 수직동기 신호선(VSYNC)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수직 편향회로(60)와, 적분부(50) 및 수직 편향회로(6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파형 합성부(70)와, 파형 합성부(7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80)와,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80)의 출력단 및 수평동기 신호선(HSYNC)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수평 편향회로(90)로 이루어진다.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80)로서 SGS-THOMSON사의 TDA8145(TV EAST/WEST CORRECTION CIRCUIT FOR SQUARE TUBES) 칩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적분부(50)의 구성은, 애널로그/디지틀 변환부(50)의 출력단에 한쪽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51)과, 저항(R51)의 다른 한쪽단자에 반전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연산 증폭기(OP51)와, 연산 증폭기(OP51)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52)과, 연산 증폭기(OP51)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C51)와, 커패시터(C5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수직회귀 신호선(VRP)에 제어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애널로그 스위치(SW51)와, 연산 증폭기(OP51)의 출력단에 한쪽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53)과, 저항(R53)의 다른 한쪽단자에 한쪽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C5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파형 합성부(70)의 구성은, 적분부(50)의 출력단과 수직편향회로(60)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71)과, 적분부(50)의 출력단과 저항(R71)의 접속점에 한쪽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72)과, 저항(R72)의 다른 한쪽단자에 비반전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반전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연산 증폭기(OP71)와, 연산증폭기(OP71)에 출력단자에 한쪽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C71)와, 커패시터(C71)의 다른 한쪽단자에 한쪽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7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되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가 동작한다.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가 동작하면, 제어부(20)는 입력부(10)를 통해서 입력되는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량에 대한 정보신호를 메모리(30)에 저장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량에 관한 정보신호를 읽어들여 이에 해당하는 디지틀 신호를 디지틀/애널로그 변환부(40)로 출력한다.
디지틀 애널로그/변환부(40)에서는 제어부(3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틀 정보신호에 따라 이를 애널로그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적분부(50)로 출력한다.
적분부(50)에서는 제3도의 (a)와 같이 입력되는 수직회귀 신호 펄스(VRP)가 로우상태인 경우에 애널로그 스위치(SW51)가 오프상태가 되므로, 연산 증폭기(OP51)와 커패시터(C51)로 이루어진 적분회로에 의해서, 저항(R51)을 거쳐서 연산 증폭기(OP51)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신호를 적분함으로써 연산 증폭기(OP51)의 출력신호는 제3도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점차로 전압신호가 적분되는 파형을 형성한다.
그러나, 적분부(50)로 입력되는 수직회귀 신호 펄스(VRP)가 하이상태인 경우에 애널로그 스위치(SW51)가 온 상태가 되므로 커패시터(C51)에 충전되어 잇는 전압이 급속도로 방전하게 되므로 연산 증폭기(OP51)의 출력신호는 제3도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급속히 방전되는 파형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적분부(50)의 연산 증폭기(OP51)의 출력파형은 커패시터(C52)를 거치면서 직류성분이 제거된 뒤에 파형 합성부(70)로 출력된다.
제3도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수직 동기신호(VSYNC)가 수직 편향회로(60)로 입력되면 수직 편향회로(60)에서 제3도의 (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수직 편향회로(VDC)가 발생되어 파형 합성부(70)로 출력된다. 상기한 수직 편향신호(VDC)에는 수직-사이즈, 수직-선형성 등과 같은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파형 합성부(70)에서는 적분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수직 편향회로(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VDC)가 합성된 뒤에, 전압 팔로우어 회로를 형성하고 있는 연산 증폭기(OP71)와 커패시터(C71)를 거치면서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뒤에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80)로 출력된다.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80)는 파형 합성부(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제3도의 (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동기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패러볼릭 파형을 발생시켜서 수평 편향회로(90)로 출력한다.
수평 편향회로(90)에서는,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80)로부터 입력되는 패러볼릭 파형에 수평 동기신호(HSYNC)를 진폭변조시킴으로써 제3도의 (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수평 편향전류를 발생시켜 편향요크의 수평 편향코일(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한다. 따라서 수직 동기신호(VSYNC)의 한주기 동안에 수평 편향전류의 진폭이 점차적으로 증가되었다가 감소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화면의 좌우측면으로 편향되는 전자빔의 편향정도가 크게 되어 화면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이 보정된다. 이 경우에 수평 편향회로(9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편향전류에는 수직-사이즈 및 수직-선형성 등과 같은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화면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이 보다 세밀하게 보정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는 입력부(10)를 통해서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량에 관한 정보신호를 제어부(20)로 입력시킴으로써 화면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량을 조절할 수가 있으며, 제어부(20)는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보정량이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별도의 사이드 핀쿠션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회로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가 있고, 또한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패러볼릭 파형에 수직-사이즈 및 수직-선형성 등과 같은 성분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미세하게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보정할 수 있고, 패러볼릭 파형의 크기가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전압 제어방식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사이드 핀쿠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러한 효과는 텔레비젼의 컬러 수상관이나 컴퓨터의 컬러 모니터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량에 관한 정보신호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0)와; 입력부(10)의 보정량에 관한 정보신호에 따라 적합한 크기를 갖는 직류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와; 입력부(10)의 보정량에 관한 정보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30)와; 제어부(20)의 디지틀 출력신호를 애널로그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애널로그/디지틀 변환부(40)와; 애널로그/디지틀 변환부(40)의 애널로그 전압신호를 수직회귀 신호에 따라 적분시킨 뒤에 방전시킴으써 램프파를 발생시키는 적분부(50)와; 수직동기 신호에 대응하는 수직 편향신호를 생성하는 수직 편향회로(60)와; 적분부(50)와 수직 편향회로(60)의 출력신호를 합성시키는 파형 합성부(70)와; 파형 합성부(70)의 출력신호에 따라 패러볼릭 파형을 발생하여 출력하는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80)와; 패러볼릭 파형 발생부(80)의 출력신호에 수평 편향신호를 진폭변조시키는 수평 편향회로(9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적분부(50)는 수직 신호(VRP)에 따라 온/오프되는 애널로그 스위치(SW51)와, 애널로그 스위치(SW51)가 오프되는 경우에는 애널로그/디지틀 변환부(50)의 출력신호를 적분시키다가 애널로그 스위치(SW51)가 온되는 경우에는 이를 급격히 방전시킴으로써 램프파를 발생시키는 연산 증폭기(OP51) 및 커패시터(C51)와, 연산 증폭기(OP51)의 출력신호의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커패시터(C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형 합성부(70)는 적분부(50)의 출력신호와 수직 편향회로(60)의 출력신호를 와이어드 오아시킴으로써 합성한 뒤에 이를 전류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압 팔로우어를 구성하는 연산 증폭기(OP71)와, 연산 증폭기(OP71)의 출력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커페시터(C7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
KR2019930006077U 1993-04-16 1993-04-16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 KR200142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077U KR200142871Y1 (ko) 1993-04-16 1993-04-16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077U KR200142871Y1 (ko) 1993-04-16 1993-04-16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721U KR940025721U (ko) 1994-11-18
KR200142871Y1 true KR200142871Y1 (ko) 1999-06-01

Family

ID=1935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077U KR200142871Y1 (ko) 1993-04-16 1993-04-16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8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152B1 (ko) * 1997-10-14 200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의 기하학적 왜곡 보정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721U (ko) 199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2871Y1 (ko) 음극선관의 사이드 핀쿠션 왜곡 보정장치
KR100634255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 장치
EP1089556B1 (en) Display correction waveform generator for multiple scanning frequencies
JPH08237674A (ja) 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US6774585B2 (en) Display correction waveform generator for multiple scanning frequencies
KR960006079B1 (ko) 프로젝션 티브이(tv)의 디지탈 컨버전스 조정장치
RU2094953C1 (ru) Мониторный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KR100671204B1 (ko) 다이나믹 포커스 제어장치
JPH0758975A (ja)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信号発生回路
JPH10112810A (ja) 画面補正回路
JP2545773B2 (ja) 左右ピン歪補正回路
KR100241426B1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다이나믹 포커스 보정회로
KR960003420Y1 (ko) 등변사다리꼴 왜곡 보정회로
JPS6199475A (ja) マルチ走査形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H09284591A (ja) ビデオモニタの調整システム
JPS63275218A (ja) 鋸歯状波発生回路
JPH06164968A (ja)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電圧調整回路
JPH04276789A (ja) カラーモニターのモアレ低減補正回路
JPH0470266A (ja) デイスプレイ装置
JPH05252411A (ja) 糸巻ひずみ補正装置
JP2001320602A (ja) 画歪み補正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陰極線管
JP200007842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1169196A (ja) 水平リニアリティ補正回路
JPH11252398A (ja) 水平リニアリティ補正回路
JPH08102956A (ja)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