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833Y1 - 천정용 환기팬 - Google Patents

천정용 환기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833Y1
KR200142833Y1 KR2019980014018U KR19980014018U KR200142833Y1 KR 200142833 Y1 KR200142833 Y1 KR 200142833Y1 KR 2019980014018 U KR2019980014018 U KR 2019980014018U KR 19980014018 U KR19980014018 U KR 19980014018U KR 200142833 Y1 KR200142833 Y1 KR 200142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etal member
vertical
vertical por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츠키아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980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637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8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를 금속부재를 통하여 앵커볼트에 지지시키는 구성을 갖는 천정용 환기팬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를 일단 떼어낸 후 다시 부착할때에 본체를 금속부재에 쉽고 확실하게 부착되게 하고, 금속부재(12)는 자유상태에 있어서 가로부(13)와 세로부(14)가 이루는 각도(θ2)가 90°보다 큰 약 100°가 되도록 설정하고, 또한 세로부 (14)의 하부에 컬부(18)를 설치하며, 본체(20)를 점검등을 위해 일단 떼어낸 후 다시 부착할때에 앵커볼트(11)가 수직상태로부터 약간 어긋나서 부착되어 있었다고 해도 세로부(14)와 본체(20)의 측면(21a)이 항상 맞붙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본체(20)의 측면(21a)과 금속부재(12)를 나사(25)에 의해 쉽고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용 환기팬
본 고안은 본체를 금속부재를 통하여 앵커볼트로 매달음 지지시키는 구성의 천정용 환기팬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천정용 환기팬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출원공보 실개소62-162541호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천정용 환기팬은 제 1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 이면에 늘어뜨린 상태로 설치된 한쌍의 앵커볼트(1)에 가로부(2a) 및 이 가로부(2a)로부터 아랫쪽으로 연장되는 세로부(2b)를 갖는 역L자상을 이루는 한쌍의 금속부재(2)를 매달고, 이 금속부재(2)에 송풍기(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한 상자모양의 본체(3)를 부착하고 있다. 각 급속부재(2)는 가로부(2a)에 형성된 구멍(4)을 앵커볼트 (1)에 끼운 상태에서 너트(5, 5)를 세게 조임으로써 앵커볼트(1)에 고정 되고, 본체(3)는 그 측면(3a)에 내측으로부터 나사(6)를 금속부재(2)의 세로부(2b)에 형성된 구멍(7)에 조임으로써 금속부재(2)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금속부재(2)에 있어서, 가로부(2a)와 세로부(2b)가 이루는 각도(θ1)는 90°로 설정되어 있다. 또 금속부재(2)에는 본체(3)의 윗면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훅(2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의 천정용 환기팬의 부착작업은 천정판(8)을 부착하기 전에 실시되는 것으로, 훅(2c)을 본체(3)의 상부에 걸게 한 상태에서 본체(3)의 대향하는 2개의 측면(3a)에 금속부재(2)의 세로부(2b)를 대고 본체(3)의 내측으로부터 나사(6)를 구멍(7)에 조임으로써 본체(3)에 금속부재(2)를 우선 부착한다. 다음으로 금속부재(2)가 부착된 본체(3)를 들어 올려서 금속부재(2)의 가로부(2a)에 있는 구멍(4)을 앵커볼트(2)의 하단부에 끼운 다음 너트(5)를 사용하여 앵커볼트(1)에 고정한다. 이 경우 앵커볼트(1)의 평행도가 불완전한 때는 이를 여러차례 수정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 후 본체(3)의 아랫면에 해당하는 개구를 형성한 천정판 (8)이 부착되고, 또 그 개구를 막기 위한 덮개가 본체(3)의 아랫면을 덮도록 부착된다.
한편 본체(3)의 보수·점검등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화장테두리를 떼어낸 상태에서 본체(3)의 내측으로부터 나사(6)를 떼어냄으로써 본체(3)와 금속부재(2)를 분리하여 본체(3)를 천정 이면으로부터 내려서 그 점검등을 실시한다.
그리고 본체(3)의 점검등을 실시한 후 본체(3)를 다시 부착하는 경우(제 13 도는 그 모습을 나타내는 것)에는 우선 본체(3)를 들어 올려서 금속부재(2)의 세로부(2b) 사이에 삽입하고 본체(3)의 상부가 금속부재(2)의 훅(2c)에 부딪치기까지 본체(3)를 윗쪽으로 밀어올린다. 이 상태에서 본체(3)를 지지하면서 본체(3)의 내측으로부터 나사(6)를 금속부재(2)의 세로부(2b)에 있는 구멍(7)에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체(3)를 금속부재(2)를 통하여 앵커볼트(1)에 부착할 수 있다. 이 후 화장테두리를 본체(3)의 하면에 부착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종래 구성에 있어서는 본체(3)의 점검등을 실시한 후 본체(3)를 다시 부착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불합리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우선 천정 이면의 앵커볼트(1)는 반드시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고, 예를 들면 제 13 도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제 13 도 오른쪽)의 앵커볼트(1)가 본체(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본체(3)를 금속부재 (2)사이에 삽입하여 본체(3)를 금속부재(2)에 나사(6)를 통해 고정하려 할때 본체(3)의 우측면(3a)과 우측의 금속부재(2)의 세로부(2b)(이점쇄선 참조) 와의 사이에 간격이 생겨버리고, 나사(6)를 세로부(2b)의 부착구멍(7)에 끼울 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본체(3)를 금속부재(2)에 부착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또 본체(3)를 금속부재(2)로부터 분리하여 내리거나 그들 사이에 삽입할 때에 세로부(2b)의 하단부(9)에 긁히거나 부딪쳐서 본체(3)의 측면(3a)을 손상시켜 버릴 염려가 있다. 본체(3)의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도장강판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그 도장이 벗겨지면 녹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를 일단 떼어낸 후 다시 부착하는 경우에 본체를 금속부재에 쉽고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고, 또 본체의 손상을 방지 하며, 나아가서는 본체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천정용 환기팬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 1도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체를 일단 떼어낸 후 다시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 2도는 본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 3도는 금속부재의 사시도,
제 4도는 앵커볼트가 비스듬히 설치된 상태의 종단측면도,
제 5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 1 도 상당도,
제 6도는 금속부재의 측면도,
제 7도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의 횡단평면도,
제 8도는 금속부재의 사시도,
제 9도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금속부재의 측면도,
제 10도는 본체를 금속부재에 임시 지지시킨 상태의 종단측면도,
제 11도는 나사조임할 때의 제 10 도 상당도,
제 12도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측면도,
제 13도는 종래 구성을 나타내는 제 1 도 상당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앵커볼트 12, 29: 금속부재
13, 30: 가로부 14, 31: 세로부
17: 부착구멍 18, 33: 컬부(완곡부)
18a, 28a: 선단부 20: 본체
21: 케이스 28: 완곡부
32: 위치결정부 34: 임시 지지부
35: 임시지지구멍 36: 구부림부
본 고안은 천정 이면에 늘어뜨린 상태로 설치된 한쌍의 앵커볼트와, 가로부 및 이 가로부로부터 아랫쪽으로 연장되는 세로부를 갖고, 상기 각 앵커볼트에 가로부가 고정되어 세로부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금속부재와, 이들 금속부재 사이에 삽입상태로 배치되어 한쌍의 대향측면이 상기 세로부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금속부재를 통하여 상기 앵커볼트에 지지되는 본체를 구비한 천정용 환기팬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금속부재는 자유상태에 있어서 가로부와 세로부가 이루는 각도가 90°보다 커지도록 설정하고, 또한 세로부의 하부에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완곡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완곡부는 만곡형성된 컬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체는 직사각형 상자모양으로 형성하고, 앵커볼트는 본체의 4곳의 모서리부중의 한쌍의 대향하는 2곳의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하고 금속부재는 세로부가 맞붙는 본체의 한쌍의 대향측면에 인접한 측면에 맞붙는 위치결정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부재의 세로부 및 이 세로부와 맞붙는 본체의 측면중의 한쪽측에 다른쪽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임시 지지부를 설치하고, 또한 다른쪽측에 그 임시 지지부와 걸어 맞추어서 본체를 금속부재에 임시 지지시키는 임시 지지구멍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정용 환기팬에 있어서, 앵커볼트에 고정된 각 금속부재는 자유상태에서 가로부와 세로부가 이루는 각도가 90°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의 점검등을 실시해야 하여 본체를 금속부재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대향상태에 있는 각 세로부는 서로 상대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앵커볼트가 수직상태로부터 약간 어긋나게 부착되어 있었다고 해도, 본체를 다시 부착해야 하여 금속부재의 세로부 사이에 삽입했을 때에 그 세로부와 본체의 측면이 항상 맞붙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본체의 측면과 금속부재의 세로부를 나사에 의해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 세로부의 하부에는 선단부가 본체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완곡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를 금속부재에 대하여 올리거나 내릴때에 금속부재로 본체의 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완곡부를 컬부에 의하여 구성하면 본체의 측면을 한층 손상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앵커볼트에 고정된 금속부재는 직사각형 상자모양을 이루는 본체의 대향하는 2곳의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또한 그들 금속부재에는 세로부가 맞붙는 본체의 측면에 인접한 측면에 위치결정부를 설치하면, 본체를 일단 떼어낸 후 다시 부착해야 하여 본체를 금속부재 사이에 삽입할때에 본체의 서로 이웃한 2개의 측면이 각 금속부재의 세로부와 위치결정부에 맞붙고, 2개의 금속부재에 의하여 본체의 가로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체를 금속부재에 삽입할때에 본체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체를 일단 떼어낸 후 다시 부착해야 하여 본체를 금속부재 사이에 삽입했을 때에 임시 지지부와 임시 지지구멍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본체를 금속부재로 임시 지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체를 계속해서 지지할 필요가 없어지고, 나사에 의한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제 1 도 내지 제 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제 2 도에 있어서, 한쌍의 앵커볼트(11)는 천정 이면에 늘어뜨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금속부재(12)는 제 3 도에 상세하게 나타내어져 확실한 바와 같이, 금속부재(12)는 각각 가로부(13) 및 이 가로부(13)로부터 아랫쪽으로 연장되는 세로부(14)를 갖는 역L자상을 이루고 있다. 이 금속부재(12)는 제 1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상태에 있어서 가로부(13)와 세로부(14)가 이루는 각도(θ2)가 90°보다 α분 커지도록 설정하고 있다(θ2=90°+α). 본 실시예에서는 α를 약 10°로 설정함으로써 θ2를 약 100°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각 금속부재(12)의 가로부(13)에는 앵커볼트(11)의 하단부에 끼워 통해지는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세로부(14)에는 상부에 후술하는 본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규제용의 훅(16)이 잘려 일어남으로써 형성되고, 상하방향의 중간부에 부착구멍(17)이 형성되고, 또한 하부에 선단부(18a)가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완곡부로 하여 하측으로 만곡형성된 컬부(1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금속부재(12)는 가로부(13)의 구멍(15)에 앵커볼트(11)의 하단부가 끼워 통한 상태에서 앵커볼트(11)에 나사식으로 맞춘 상하 한쌍의 너트(19)에 의해 가로부(13)를 끼움으로써 앵커볼트(1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본체(20)는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표면에 도장이 실시된 강판제의 케이스(21)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가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본체(20)의 케이스(21)는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면부의 좌우양측에는 금속부재(12)의 훅(16)이 걸어 고정되는 오목상의 걸림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대향하는 2개의 측면(21a)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부착구멍(17)에 대응하는 나사 구멍(23)이 형성되고 나사(25)를 이용하여 본체(20)는 금속부재(12)에 고정된다.
개구부 둘레테두리부에는 플랜지(24)가 설치되어 있다.
천정에는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체(20)를 제거하여 천정판(26)이 부착되고 본체(20)의 하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화장테두리가 부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의 천정용 환기팬의 최초의 부착작업은 천정판 (26)을 부착하기 전에 실시되고 훅(16)을 각 걸림부(22)에 건 상태에서 케이스(21)의 대향하는 2개의 측면(21a)에 금속부재(12)의 세로부(14)를 대고 케이스(21)의 내측으로부터 나사(25)를 나사 구멍(23), 부착구멍(17)에 끼워 넣음으로써 금속부재(12)를 본체(20)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금속부재(12)가 부착된 본체(20)를 들어 올려서 각 금속부재 (12)의 가로부(13)에 있어서의 구멍(15)을 앵커볼트(11)의 하단부에 끼워 통하게 하여 너트(19)에 의해 앵커볼트(11)에 고정한다. 이 후 본체(20) 부분을 제거하여 천정판(26)을 부착하고, 또 도시하지 않은 화장테두리를 본체(20)의 하면을 덮도록 부착한다.
한편 본체(20)의 보수·점검등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화장테두리를 떼어낸 상태에서 케이스(21)의 내측으로부터 나사(25)를 떼어냄으로써 본체(20)와 금속부재(12)와의 연결을 떼어내고 본체(20)를 천정 이면으로부터 내린다. 이와 같이 본체(20)를 내린 상태에서 그 점검등을 실시한다. 따라서 금속부재(12)는 앵커볼트(1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본체(20)의 점검등을 실시한 후 본체(20)를 다시 부착하는 경우(제 1 도는 그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에는 우선 본체(20)를 들어 올려서 제 1 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0)의 한쪽, 예를 들면 우측의 상부가 우측의 금속부재(12)의 세로부(14)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본체(20)를 약간 비스듬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본체(20)에서 우측의 세로부 (14)를 우측으로 밀면서 동일 도면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0)의 좌측 상부가 좌측의 금속부재(12)의 세로부(14)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본체(20)를 대략 수평상태로 한다. 그 다음으로 케이스(21)의 좌우의 측면(21a)을 각 세로부(14)에 맞붙게 하면서 각 걸림부(22)가 훅(16)에 걸리기까지 본체(20)를 윗쪽으로 이동시킨다.
훅(16)에 걸림부가 걸려진 상태에서 본체(20)를 지지하면서 케이스(21)의 내측으로부터 나사(25)를 각 세로부(14)의 부착구멍(17)에 끼워 넣고(제 2 도 참조) 본체(20)를 금속부재(12)로 고정하고, 이 후 화장 테두리를 본체(20)의 하면에 부착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된다.
여기에서 제 4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우측의 앵커볼트 (11)가 본체(20)로부터 약간 멀어지는 비스듬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었던 경우(앵커볼트(11)와 앵커볼트 설치면(27)이 이루는 각도(θ3)가 90°보다 약간 작은 경우)에도 각 금속부재(12)는 자유상태에서 가로부(13)와 세로부(14)가 이루는 각도(θ2)가 90°보다 약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20)를 세로부(14) 사이에 삽입할때에 본체(20)에 있어서의 케이스(21)의 측면(21a)이 그들 세로부(14)에 확실하게 맞붙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21)의 측면(21a)과 금속부재(12)의 세로부(14)를 나사(25)에 의해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볼트(11)에 고정된 각 금속부재(12)는 자유상태에서 가로부(13)와 세로부(14)가 이루는 각도(θ2)가 90°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20)의 점검등을 실시하기 위해 본체(20)를 금속부재(12)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대향상태에 있는 각 세로부(14)는 서로 상대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제 1 도 참조).
이 때문에 앵커볼트(11)가 수직상태에서 약간 어긋나서 부착되어 있었다고 해도 본체(20)를 다시 부착해야 하여 금속부재(12)의 세로부(14) 사이에 삽입했을때에는 그 세로부(14)는 바깥쪽으로 눌러져서 본체(20)의 케이스 (21)의 측면(21a)이 항상 맞붙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케이스(21)의 측면 (21a)과 금속부재(12)의 세로부(14)를 나사(25)에 의해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어서, 본체(20)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세로부(14)의 하부에는 선단부(18a)가 본체(20)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컬부(1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20)를 금속부재(12)에 대하여 올리고 내릴때에 금속부재(12)에서 본체(20)의 케이스(21)의 측면(21a)이 손상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에 도장이 실시된 강판으로 제작된 케이스(21)의 도장이 벗겨지는 것을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제 2 실시예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이 다르다.
즉 금속부재(12)에 있어서의 완곡부(28)는 컬부(18)에 대신하여 평판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완곡부(28)는 선단부(28a)측일수록 본체 (20)로부터 멀어지게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또 금속부재(12)로서는 제 6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부(13)를 수평상태로 했을때에 완곡부(28)의 선단부(28a)가 가로부(13)와 세로부(14)의 접어 구부림점(29)으로부터 치수 (A)만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똑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첨가하여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본체(20)의 점검등을 한 후에 본체(20)를 다시 부착해야 하여 금속부재(12) 사이에 삽입할때에 완곡 부(28)가 ハ자모양으로 열린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완곡부(28)의 선단부(28a) 사이의 치수가 본체(20)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20)의 금속부재(12)의 세로부(14) 사이에 삽입되기 쉬운 이점이 있다.
제 7 도 및 제 8 도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제 3 실시예는 상기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이 다르다.
즉 2개의 앵커볼트(11)는 직사각형 상자모양을 이루는 본체(20)의 케이스 (21)에 있어서의 4곳의 모서리부(21b)중 한쌍의 대향하는 2곳의 모서리부 (21b)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각 앵커볼트(11)에 금속부재(29)를 부착하고 있다.
이 금속부재(29)는 제 8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부(30)와, 이 가로부(30)로부터 아랫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세로부(31)와, 이 세로부 (31)의 한쪽 측면에 설치된 위치결정부(32)와, 이들 세로부(31)와 위치결정부(32)의 하부에 설치된 완곡부(33)를 일체로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중 가로부(30)에는 앵커볼트(11)에 끼워 통해지는 구멍(15)이 형성되고, 또 세로부(31)에는 상부에 훅(16)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하부에 부착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부(30)와 세로부(31)가 이루는 각도는 제 1 실시예와 똑같이 약 100°로 설정되고, 또 세로부(31)와 위치결정부(32)가 이루는 각도는 90°로 설정되어 있다.
또 본체(20)의 케이스(21)에 있어서, 훅(16)에 걸려지는 걸림부(22)는 훅(16)에 대응하여 모서리부(21b)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20)는 케이스(21)가 서로 이웃한 2개의 측면(21a)이 각 금속부재(29)의 세로부(31)와 위치결정부(32)에 맞붙은 상태에서 그들 금속부재(29)에 부착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 7 도에 있어서, 본체(20)의 화살표시 A방향의 위치가 세로부(31)에 의하여 규제되고, 또한 화살표시 B방향의 위치가 위치결정부(32)에 의하여 규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똑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첨가하여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본체 (20)의 점검등을 실시한 후 본체(20)를 다시 부착해야 하여 금속부재(29) 사이에 삽입할때에 본체(20)에 있어서의 케이스(21)가 서로 이웃한 2개의 측면(21a)이 각 금속부재(29)의 세로부(31)와 위치결정부(32)에 맞붙고, 2개의 금속부재(29)에 의하여 본체(20)의 가로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체(20)를 금속부재(29) 사이에 삽입할때에 본체(20)의 가로방향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9 도 내지 제 11 도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제 4 실시예는 상기한 제 2 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이 다르다.
즉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금속부재(12)의 세로부(14)에 나사 구멍(23)의 윗쪽에 위치시키고, 본체(20)측으로 돌출하는 가지지부(34)를 잘라세움에 의해 비스듬히 위를 향해 설치하고 있다. 또 본체(20)에 있어서의 케이스 (21)의 측면(21a)에는 그 가지지부(34)에 걸어 맞추는 가지지구멍 (35)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20)의 점검등을 실시한 후 본체 (20)를 다시 부착해야 하여 금속부재(12) 사이에 삽입했을때에 제 10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0)측의 가지지구멍(35)을 금속부재(12)측의 가지지부(34)에 걸어 맞춤으로써 본체(20)를 금속부재(12)에 가지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체(20)의 부착용 나사(25)를 금속부재(12)측의 부착구멍(17)에 끼워 넣을때에는 제 11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0)의 걸림부(22)가 훅(16)에 의해 걸리기까지 본체(20)를 들어올려서 나사 구멍(23)과 부착구멍 (17)을 합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나사(25)를 부착구멍(17)에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은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작용효과에 첨가하여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본체(20)를 금속부재(12)에 부착할때에 본체(20)를 금속부재(12)에 일단 임시 지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체(20)를 계속 지지할 필요가 없어지고 나사(25)에 의한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제 12 도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제 5 실시예는 상기한 제 4 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이 다르다.
즉 가지지부(34)의 선단부에 세로부(14)와 대략 평행하게 되는, 또는 세로부(14)측을 향하는 구부림부(36)를 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본체(20)를 금속부재(12)에 대하여 올리고 내릴때에 가지지부(34)의 선단부에서 본체(20)의 케이스(21)의 측면(21a)이 손상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4 및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가지지부를 본체(20)의 케이스(21) 측에 설치하고, 가지지구멍을 금속부재(12)의 세로부(14)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지지부는 비스듬하게 아래를 향하여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본체 (20)의 케이스(21)는 도장강판에 한정되지 않고 합성수지제이어도 좋은 등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앵커볼트에 고정된 각 금속부재는 자유상태에서 가로부가 이루는 각도가 90°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의 점검등을 실시해야 하여, 본체를 금속부재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대향상태에 있는 각 세로부는 서로 상대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앵커볼트가 수직상태로부터 약간 어긋나서 부착되어 있었다고 해도 본체를 다시 부착해야 하여 금속부재의 세로부 사이에 삽입했을때에 그 세로부와 본체의 측면이 항상 맞붙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본체의 측면과 금속부재의 세로부를 나사에 의해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 세로부의 하부에는 선단부가 본체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완곡부가 설치되면 본체를 금속부재에 대하여 올리고 내릴때에 금속부재에서 본체의 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완곡부를 컬부에 의하여 구성하면 본체의 측면이 한층 손상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앵커볼트에 고정된 금속부재는 직사각형 상자모양을 이루는 본체의 한쌍의 대향하는 2곳의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또한 그들 금속 부재에는 세로부가 맞붙는 본체의 한쌍의 대향측면의 이웃하는 측면에 맞붙는 위치결정부를 설치하면 본체를 일단 떼어낸 후 다시 부착해야 하여 본체를 금속부재 사이에 삽입할때에 본체의 서로 이웃한 2개의 측면이 각 금속부재의 세로부와 위치결정부에 맞붙어서 2개의 금속부재에 의하여 본체의 가로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써, 본체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체를 일단 떼어낸 후 다시 부착해야 하여 본체를 금속부재에 삽입할때에 본체를 금속부재에 임시 지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체를 계속해서 지지할 필요가 없어지고 나사에 의한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천정 이면에 늘어뜨린 상태로 설치된 한쌍의 앵커볼트와, 가로부 및 이 가로부로부터 아랫쪽으로 연장되는 세로부를 갖고, 상기 각 앵커볼트에 가로부가 고정되어 세로부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금속부재 및,
    이들 금속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한쌍의 대향측면이 나사에 의해 상기 세로부에 고정되어 금속부재를 통하여 상기 앵커볼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본체를 구비한 천정용 환기팬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금속부재는 자유상태에 있어서 가로부와 세로부가 이루는 각도가 90°보다 커지도록 설정하고, 또한 세로부의 하부에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완곡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완곡부는 만곡형성된 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용환기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가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앵커볼트가 본체의 4곳의 모서리부중의 한쌍의 대향하는 2곳의 모서리부에 배치되고,
    금속부재가 금속부재의 세로부가 접촉하는 본체의 한쌍의 대향측면과 이웃하는 측면에 맞붙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4. 상기 금속부재의 세로부 또는 그 세로부와 맞붙는 본체의 측면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한쪽에 임시지지부가 형성되고,
    그 다른쪽에는 임시지지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임시지지부는 다른쪽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임시유지구멍은 상기 임시지지부와 걸어맞추어서 본체가 금속부재에 매달려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KR2019980014018U 1994-07-12 1998-07-23 천정용 환기팬 KR20014283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980694A JP3256378B2 (ja) 1994-07-12 1994-07-12 天井用換気扇
JP94-159806 1994-07-12
KR1019950003179 1999-01-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179 Division 1994-07-12 1999-0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2833Y1 true KR200142833Y1 (ko) 1999-06-01

Family

ID=2648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018U KR200142833Y1 (ko) 1994-07-12 1998-07-23 천정용 환기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8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245B1 (ko) * 2023-05-02 2023-08-30 정난희 수동식 환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245B1 (ko) * 2023-05-02 2023-08-30 정난희 수동식 환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0189A (en) Lay-in light fixture retainer clip
US4908908A (en) Back door hinge mounting structure
US20170135467A1 (en) Device for fixing a frame in a through-orifice in a panel
KR200142833Y1 (ko) 천정용 환기팬
US4711322A (en) Elevator cab
JP3256378B2 (ja) 天井用換気扇
DE59704932D1 (de) Zur Montage in einem Loch in einer Wand bestimmtes Element
KR200274769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커버 고정용 클램프
JPH06207450A (ja) 太陽エネルギー収集屋根の採光体固定具
KR100820335B1 (ko) 점검커버 부착구조
JP2661501B2 (ja) 起立部材取付構造
JP2004244953A (ja) 天井板取付具
JPH05231007A (ja) 工事現場用囲い板及びその敷設構造
JPH11275735A (ja) 電線接続箱
JP3051519U (ja) ケーブルトレイ用カバー装置
JP3220464U (ja) 雪止め金具
JPS6022866Y2 (ja) 自在ドア−用帯状シ−トの掛け金具
JP3058838U (ja) 化粧用ルーバーの取付装置
JPH052324Y2 (ko)
KR940002908Y1 (ko) 고정 체결구
JPS5939367Y2 (ja) 天井照明器具反射板の取付構造
JP2533005Y2 (ja) 量水器用筺体の開閉蓋
JPH046412Y2 (ko)
JPH11234843A (ja) ケーブルトレイ用カバー
JP2023000585A (ja) 折板屋根におけ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