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735Y1 - 차량용 간이 테이블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간이 테이블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735Y1
KR200142735Y1 KR2019960042801U KR19960042801U KR200142735Y1 KR 200142735 Y1 KR200142735 Y1 KR 200142735Y1 KR 2019960042801 U KR2019960042801 U KR 2019960042801U KR 19960042801 U KR19960042801 U KR 19960042801U KR 200142735 Y1 KR200142735 Y1 KR 200142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car
vehicle
adjusting devic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722U (ko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2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735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7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60N3/0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of foldable trays mounted on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간이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앞좌석의 배면에 요입공간부를 형성하여 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축설되어 절첩가능토록하여 간단한 음식물의 섭취와 메모 또는 독서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간이 테이블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인바, 종래 간이 테이블은 회전축에 의하여 걸림구가 굴곡요홈을 따라 눌리면서 테이블의 각도를 조절하게끔 되어 있어 조그마한 하중에도 작동되며, 스프링의 탄성력이 이완되면 매입부에서 이탈되어 항상 사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거나 조그마한 진동과 충격에 소음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다른 문제점으로는 사용중 진동과 충격에 상기 테이블이 유동되어 테이블에 올려 놓은 물건 또는 음식물이 바닦으로 떨어져 카페트를 오염시키거나, 심한 악취를 발생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을로써, 테이블의 각도조절이 확실시 되어 사용중 유동되는 일을 해소하며, 이로 인하여 차량 바닦에 음식물 기타 물품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를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간이 테이블의 각도조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간이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앞좌석의 배면에 요입공간부를 형성하여 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축설되어 절첩가능토록하여 간단한 음식물의 섭취와 메모 또는 독서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 량용 간이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현대에 있어서 자동차는 필수적인 장비로 인식되는 바, 승용차가 제한된 활동공간을 갖고 있는 차량의 실내에서 다양한 생활을 누리고자 여러 가지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장거리 여행이나 승차시간이 많은 승차자들은 차내에서 식사를 하거나 음료수 등을 먹는 일이 빈번하다. 그러나 자동차의 실내는 제한된 공간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승차자의 편의를 위한 물건들이 실내공간을 좁히지 않으면서 차량 내부에 설치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같은 이유에서 실내 공간을 최대한 활요하는 방안의 하나로 차내에 테이블을 구비하였으며, 일반적인 차량용 테이블은 탑승자가 주행중 또는 정지중에 음료수 및 음식물을 먹거나 책과 사무를 본다거나 기타 일을 할때 안정되게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테이블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끝단 외면에 굴곡요홈(70)이 형성되고 테이블(80)이 고착된 회전축(60)의 양단을 고정대(40)의 내부축홈(50)에 삽입하여, 삽입홈(100)에 스프링(110)으로 탄지되게 삽입된 걸림구(120)가 회전축(60)의 굴곡요홈(70)에 맞물리도록 고정구(90)를 고정대(40)에 고정볼트로 고정시켜 고정대(40)를 고정볼트로 앞좌석시트(10)의 후면(20)에 형성된 매입부(30)의 양측에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테이블은, 차내에서 음식물을 먹기 위해 테이블(80)을 내릴때 테이블(80)을 하부로 회동시키게 되면 체이블(80)의 회전축(60)이 고정대(40)의 축홈(50)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회전축(60)의 외면에는 굴곡요홈(70)이 형성되어 있고 굴곡요홈(70)에는 고정구(90)의 삽입홈(100)에 삽입되어 스프링(110)으로 탄지되어 있는 걸림구(12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회전축(60)이 회전됨에 따라 걸림구(120)가 눌려지게 되고 걸림구(120)가 눌리면서 회전(60)이 회전되다가 다음의 굴곡요홈에 이르게 되면 걸림구(120)는 스프링(110)이 탄력으로 다시 굴곡요홈(70)에 삽입되어 회전축(6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테이블(80)을 수평상태로 회동시키기 위해 테이블(80)을 회동시키면 회전축(6)의 양단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굴곡요홈(70)에 걸림구(120)가 삽탈되면서 테이블(80)이 수평상태로 되기까지 회동되게 되면 수평상티로 테이블(80)이 조절되면 걸림구(120)는 굴곡요홈(70)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 테이블(80)은 수평상태로 고정이 되며 그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음식을 먹거나 또는 메모나 책을 올려놓고 독서 등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간이 테이블은 회전축에 의하여 걸림구가 굴곡요홈을 따라 눌리면서 테이블의 각도를 조절하게끔 되어 있어 조그마한 하중에도 작동되며 스프링의 탄성력이 이완되면 매입부에서 이탈되어 항상 사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거나 조그마한 진동과 충격에 소음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사용중 진동과 충격에 상기 테이블이 유동되어 테이블에 올려 놓은 물건 또는 음식물이 바닦으로 떨어져 카페트를 오염시키거나, 심한 악취를 발생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이의 목적은 회전축에 의하여 걸림구가 굴곡요홈을 따라 눌리면서 테이블의 각도를 조절하게끔 되어 있어 조그마한 하중에도 작동되며, 스프링의 탄성력이 이완되면 매입부에서 이탈되어 항상 사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거나 조그마한 진동과 충격에 소음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방지하도록며,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중 진동과 충격에 상기 테이블이 유동되어 테이블에 올려 놓은 물건 또는 음식물이 바닦으로 떨어져 카페트를 오염시키거나, 심한 악취를 발생하게 하는 문제점을 일소에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대에 축설되어 테이블의 각도을 조절하는 회동기어와, 상기 회동기어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끝단은 절곡되어 스토퍼를 형성하고 타측은 손잡이가 구비되어 힌지 회동하도록 형성되되 로드에 연결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과, 상기 브러켓과 작동부재와 연결되어 작동부재의 작동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테이블을 보여주는 것으로(가)는 설치 상태도이며 (나)는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각도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 주는것으로 (가)는 정면도 (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각도조절장치 2 : 고정대
3 : 회동기어 4 : 스토퍼
5 : 손잡이 6 : 작동부재
7 : 가이드 8 : 테이블
9 : 스프링 31 : 걸림부재
32 : 걸림홈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각도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및 평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고정대(2)에 축설되어 테이블(8)의 각도를 조절하는 회동기어(3)가 테이블(8)의 축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동기어는 테이블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고정대(2)의 통공을 관통하여 회동기어(3)의 일측 중심선상으로는 회동기어(3)의 회전을 조절하며, 테이블(8)의 각도를 사용하고자 하는 각도로 조절하는 스토퍼(4)가 회동기어(3)의 외주면에 형상된 걸림부재(31)의 걸림홈(32)에 삽입되고, 그 타측은 손잡이(5)가 구비된 작동부재(6)가 작동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대(2)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7)의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브러켓(7)과 작동부재(6)와 연결되어 작동부재(6)의 작동으로 테이블(8)의 각도를 조절한 후, 회동기어(3)를 유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토퍼(4)를 원위치시키는 스프링(9)이 설치된 구조의 각도조절장치(1)이다.
물론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으로 스위칭수단(11)의 작동에 의하여 정·역모터(12)를 회전시켜 모터의 축(13)에 고정 설치된 구동기어(14)와, 상기 구동기어(14)와 치합되어 모터(12)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동시에 고정축(15)에 고정되어 테이블(8)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감속기어(16)로 이루어진 자동각도조절장치(1a)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살펴보면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부재(6)의 손잡이(5)를 밀면, 상기 작동부재(6)는 걸림부재(31)의 걸림홈(32)에 삽착된 스토퍼(4)가 일측으로 밀리면서 기어(3)의 회전력을 시키며 테이블(8)을 사용하고자하는 위치에서 멈추고, 상기 작동부재(6)의 손잡이(5)를 놓으면 스프링(9)력에 의하여 스토퍼(4)가 걸림부재(31)의 걸림홈(32)에 삽입되어 회동기어(3)의 회전력을 제지한다.
한편, 스프링(9)력에 의하여 복원된 작동부재(6)는 가이드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하여 상기 테이블(8)을 접첩하여 매입홈에 보관하고 할 때에는 테이블을 펼쳐 사용하고자 할 때와 같은 조작방법으로 절첩한다.
한편,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위칭수단(11)의 작동에 의하여 정·역모터(12)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구동기어(14)를 회동시켜 감속기어(16)를 구동시키면 테이블(8)의 각도가 조절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차량용 간이 테이블은 자동차 앞좌석의 배면에 요입공간부를 형성하여 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축설되어 절첩하 가능토록하여 테이블의 각도를 조절하게끔 되어 있어 조그마한 하중에도 작동되며, 스프링의 탄성력이 이완되면 매입공간에서 이탈되어 항상 사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거나 조그마한 진동과 충격에 소음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방지하도록며,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중 진동과 충격에 상기 테이블이 유동되어 테이블에 올려 놓은 물건 또는 음식물이 바닦으로 떨어져 카페트를 오염시키거나, 심한 악취를 발생하게 하는 문제점을 일소에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탑승자가 주행중 또는 정지중에 음료수 및 음식물을 먹거나 책과 사무를 본다거나 기타 일을 할때 안정되게 놓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간이 테이블에 있어서,
    고정대(2)에 축설되어 테이블(8)의 각도를 조절하는 회동기어(3)와 ,
    상기 회동기어(3)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끝단은 절곡되어 스토퍼(4)를 형성하고 타측은 손잡이(5)가 구비된 작동부재(6)와,
    상기 작동부재(6)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7)과,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간이 테이블의 각도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1)가 스위칭수단(11)의 작동에 의하여 정·역모터(12)를 회전시켜 모터의 축(13)에 고정 설치된 구동기어(14)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동시에 고정축(15)에 고정되어 테이블의 각도를 조절하는 감속기어(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간이 테이블의 각도조절장치.
KR2019960042801U 1996-11-28 1996-11-28 차량용 간이 테이블의 각도조절장치 KR200142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801U KR200142735Y1 (ko) 1996-11-28 1996-11-28 차량용 간이 테이블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801U KR200142735Y1 (ko) 1996-11-28 1996-11-28 차량용 간이 테이블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722U KR19980029722U (ko) 1998-08-17
KR200142735Y1 true KR200142735Y1 (ko) 1999-06-01

Family

ID=1947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801U KR200142735Y1 (ko) 1996-11-28 1996-11-28 차량용 간이 테이블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7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592B1 (ko) 2004-08-27 2006-03-03 주식회사 로템 시트용 테이블 평형장치
KR100883267B1 (ko) 2007-11-09 2009-02-10 대원강업주식회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백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786B1 (ko) * 2000-08-22 2003-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각도조정식 자동차 테이블
KR101551031B1 (ko) 2013-12-27 2015-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석 승객용 테이블장치
KR101966153B1 (ko) * 2017-09-21 2019-04-05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콘솔 테이블 작동 장치
CN115583184A (zh) * 2022-09-29 2023-01-10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安全折叠桌及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592B1 (ko) 2004-08-27 2006-03-03 주식회사 로템 시트용 테이블 평형장치
KR100883267B1 (ko) 2007-11-09 2009-02-10 대원강업주식회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백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722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8741A (en) Backseat butler drink holder
EP2330945B1 (en) Motor mount
KR200142735Y1 (ko) 차량용 간이 테이블의 각도조절장치
JP3972774B2 (ja) 車両用収納テーブル装置
JPH0217374B2 (ko)
JPH078297Y2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FR2752207B1 (fr) Structure de sac de bord destinee a etre stabilisee sur le siege d'un vehicule automobile, a tablette de bord inclinee ou inclinable, sur lequel il sera possible de stabiliser des feuilles ou des stylos, et qui sera transportable
KR0134176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전후 조작장치
KR100726510B1 (ko)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KR200370563Y1 (ko) 자동차 시트 회전장치
JPH0114501Y2 (ko)
KR0173884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JPH051565U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204706B1 (ko) 버스용 손잡이
KR970020651A (ko) 자동차 등받이의 자동조절장치
KR0177429B1 (ko) 자동차 시트 등받이에 장착된 테이블
JPH04169337A (ja) 収納容器
KR200269160Y1 (ko)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장치
KR0177430B1 (ko) 시트 등받이 장착용 테이블
KR970036461A (ko) 자동차용 시트의 룸바 서포트 어셈블리
KR0132601Y1 (ko) 시트 고정장치
KR0142351B1 (ko) 상용차용 백밀러의 절첩장치
KR200147916Y1 (ko) 자동차의 이동식 발받침판 장치
JPH0721385Y2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S63221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